$\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율 향상을 위한 특성 분석 및 기계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29 no.1, 2019년, pp.26 - 33  

강호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손근수 (한화시스템) ,  손민우 (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  송유석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드로이드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여러 권한을 요구하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공격자는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정보 및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기존의 모바일 백신은 시그니처(signature) 기반의 악성 애플리케이션 탐지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상 애플리케이션으로 가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의 탐지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악성 애플리케이션 탐지율 향상을 위한 특성(feature)을 연구 및 분석하고, 여러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는 기존의 모바일 백신으로는 탐지가 어려운 악성 애플리케이션까지 탐지가 가능한 기계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APK 파일 내의 권한과 API에 대한 정적 분석을 통해 악성 앱 탐지를 위한 특성을 연구하고, 해당 특성이 실제로 정상과 악성 앱을 얼마나 정확히 구분하는지 살펴보기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데이터셋에 적용시켰다.
  • 악성 앱과 관련한 특성 연구를 목적으로 권한과 API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악성 앱과 정상 앱, 각각이 지닌 권한과 API의 개수를 확인하고자 히스토그램과 정규 분포를 도표화하였다.
  • 여러 기계학습 모델 적용 결과, MLP 모델이 평균적 으로 약 93%정도의 탐지율 성능을 보였으나, 오탐과 미탐을 줄일 수 있다면 탐지율을 더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기계학습에서 오탐과 미탐을 줄일 수 있 는 새로운 악성 앱 탐지 모델을 고안하였다.

가설 설정

  • 3. API에 대해서 동일하게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나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서비스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GPS 정보 수신, 인터넷 연결, 메시지 송수신 등)들이 단말기 내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권한(permission)으로 구분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특정한 서비스의 기능이 동작하기 위해서 그에 해당하는 권한이 필요하며, 동일한 서비스 군에 있는 앱들은 대체로 서로 비슷한 유형의 권한들을 보유한다.
기계학습 모델 적용 이전에 Decision Tree를 활용하여 무엇을 구할 수 있나요? 즉, Decision Tree 분석은 정상을 정상으로 분류하는 True Positive(TP), 악성을 악성으로 분류하는 True Negative(TN)를 계산함으로써 실제로 관련있는 권한 및 API들 각각의 경로와 분류된 경로의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에서 악성 앱 탐지율을 향상을 위해 적용해본 기계학습 모델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최종적으로는 Perceptron,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ron), RF(Random Forest) 등 여러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시켜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모바일 백신으로 탐지가 어려운 악성 앱 탐지율을 향상시키고, 오탐과 미탐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기계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un-Hao Yung and Wen-Shenq Juang, "Static and Dynamic Integrated Analysis Scheme for Android Malware", Journal of Electronic Science an Technology, Vol.15, No.3, pp.246-250. 2017. 

  2. Jae-wook Jang, Jaesung Yun, Aziz Mohaisen, Jiyoung Woo, and Huy Kang Kim, "Detecting and classifying method based on similarity matching of Android malware behavior with profile," SpringerPlus, 5:273, December 2016. 

  3. Jae-wook Jang, Jaesung Yun, Jiyoung Woo, and Huy Kang Kim, "Andro-profiler: anti-malware system based on behavior profiling of mobile malware,"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 737-738, April 2014. 

  4. 김동욱 외,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악성 행위 분석을 통한 특징 추출과 머신러닝 기반 악성 어플리케이션 분류",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9권 제1호, pp.27-35, 2018. 

  5. Pengbin Feng. et al, "A Novel Dynamic Android Malware Detection System with Ensemble Learning", IEEE Access, Vol.6, pp.30996-31011, 2018. 

  6. Sebastian Raschka and Vahid Mirjalili, Python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with Python, scikit-learn, and TensorFlow, 2nd Edition, Packt Publishing, September 2017. 

  7. A.M. Aswini, P.Vinod, "Android Malware Analysis Using Ensemble Features", Security, Privacy, and Applied Cryptography Engineering: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SPACE 2014, Pune, India, October 18-22,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