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 인두 자기공명 검사 시 최적의 진단영상 장치 선택에 관한 정량, 정성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is on Optimizing Diagnostic Imaging Device Selection in Nasopharynx MRI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3 no.7, 2019년, pp.1035 - 1043  

구은회 (청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5 T와 3.0 T 비 인두 MRI 검사 후 SNR과 CNR을 평가하여 최적의 Tesl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명의 PACS로 전송된 Nasopharynx MRI검사 환자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장비로는 1.5 T, 3.0 T MRI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T1 WI과 T1 지방소거 영상에서 각 Tongue, Spinal Cord, Masseter Muscle, Fat, Parotid Gland, Tumor의 조직에 대하여 일정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SNR와 CNR을 평가하였다. 6가지의 조직에 대하여 정량적 분석으로 SNR과 CNR을 평가하였고,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한 영상의 질을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표본 T검증과 Wilcoxon Signed Ranks사용하였으며, p 값이 0.05이하일 때 유의성을 두었다. 본 실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 T1 WI 과 T1 지방소거를 1.5 T와 3.0 T를 비교했을 때 T1 WI에 대한 3.0 T가 평균 SNR(124.75±), CNR(118.91±)로 정량적 분석에서 SNR과 CNR값이 1.5 T평균 SNR(73.15±), CNR(60.5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T1 지방소거에서 3.0 T가 평균 SNR(101.10±), CNR(81.24±)로 1.5 T의 평균 SNR(78.47±), CNR(65.7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하여 4등급으로 평가했을 때 1.5 T 장비가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결론적으로 두 기기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부분 에서는 3.0 T 장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성적 평가 부분에서는 1.5 T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장비에 대한 장단점을 고려할 때 상호보완적으로 장비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is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optimal Tesla by evaluating SNR and CNR, after testing 1.5 T and 3.0 T. The randomly selected patients tested by nasopharynx MRI transmitted in PACS were applied to the research. Two MRI units(1.5 T, 3.0 T)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As a meth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T 장비를 권고 한다.[5] 이에 본 연구는 비인두 검사 시 조영제 주입 전, 후 최적의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비 및 펄스시퀀스를 비교하였다. MRI의 고자 장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은 조직의 자화율이 다른 두 조직 간의 경계면에서 자화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국소자장이 왜곡되고, 세차주파수와 위상의 차이 때문에 자장의 세기가 다르게 된다.
  • 5 T가 유의성 있는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러한 두 기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프로토콜의 적용, 질환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기기선택에서 높은 진단적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이다.
  • [11,12]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이 기법은 인체에 굴곡부위나 움직임이 민감한 부위에 대하여 영상구성 기법 및 영상의 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1.5 T 장비와 3.0 T 장비를 이용하여 비 인두 MRI 검사 후 정량, 정성적 분석을 하여 최적의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진단 장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공명영상이란 무엇인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병리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병변을 진단할 수 있는 장비로서 현재 여러 분야에서 진단적 영상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200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3.
3.0 T 장비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 굴곡된 부위에 1.5 T 장비를 권하는 이유는? 하지만 자기장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인공물들이 유발되어 진단적 정보가 떨어지게 된다.[4] 인체의 굴곡이 심한 부위는 Bulk Artifact가 발생하여 조직의 정확한 공명 주파수가 인가되지 못하며, 임상적으로 굴곡된 부위는 Motion Artifact가 심하므로 1.5 T 장비를 권고 한다.[5] 이에 본 연구는 비인두 검사 시 조영제 주입 전, 후 최적의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비 및 펄스시퀀스를 비교하였다.
자기공명영상 3.0 T 장비는 1.5 T 장비에 비해 어떤 점이 우수한가? 0 T 장비는 사람을 대상으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2] 3.0 T 장비는 1.5 T 장비에 비해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검사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1.5 T 장비 보다 영상의 해상도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3] 또한, 3.0 T 장비는 짧은 시간 안에 영상을 획득하고 높은 해상도를 해결 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장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인공물들이 유발되어 진단적 정보가 떨어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 Tempel-Brami, Y.S Schiffenbauer, A. Nyska, N. Ezov, I. Spector, R. Abramovitch, R. R. Maronpot, "Practical Applications of in Vivo and ex Vivo MRI in Toxicologic Pathology Using a Novel High-performance Compact MRI System," Journal of Toxicologic Pathology, Vol. 43. No. 5. pp. 633-650, 2015. 

  2. L. Lu, K. Xu, C. Han, C. Xu, H. Xu, Y. Dai, Y. Rong, S. Li, L. Xie, "Comparison of 3.0T MRI with 3D LAVA sequence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for the assessment of accessory hepatic veins in Budd-Chiari syndrome,"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45. No. 2. pp. 401-409, 2017. 

  3. T. Masakatsu, C. S. Richard, Z. Mauricio, E J. Jorge, A. Ersan, P. Ertan, S. Kazur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ison of 3.0 T and 1.5 T MR imaging of the liver in patients with diffuse parenchymal liver disease," European journal of Raiology, Vol. 72. No. 2. pp. 314-320, 2009. 

  4. X. Q. Xu, H. Hu, H. Liu, J. F. Wu, P. Cao, H. B. Shi, F. Y. Wu, "Benign and malignant orbita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Differentiating using multiparametric MRI at 3.0T,"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45. No. 1. pp. 167-176, 2017. 

  5. M. Zaitsev, J. Maclaren, M. Herbst, "Motion artifacts in MRI: A complex problem with many partial solutions,"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42. No. 4. pp. 887-901, 2015. 

  6. H. Sant'Ovaia, G. Marques, A. Santos, C. Gomes, A. Rocha,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in human tissues: a study case ," Journal of Biometals, Vol. 28. No. 6. pp. 951-958, 2015. 

  7. H. Guerini, P. Omoumi, F. Guichoux, V. Vuillemin, G. Morvan, M. Zins, F. Thevenin, J. L. Drape, "Fat Suppression with Dixon Techniques in Musculoskele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Pictorial Review," Journal of Seminars Musculoskelet Radiology, Vol. 19. No. 4. pp. 335-347, 2015. 

  8. M. H. Lev, S. F. Kulke, A. G. Sorensen, J. L. Boxerman , T. J. Brady, B. R. Rosen, B. R. Buchbinder, R. M. Weisskoff, "Contrast-to-noise ratio in functional MRI of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 with sprodiamide injection,"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7. No. 3. pp. 523-527, 1997. 

  9. E. Kaldoudi, S. C. Williams, G. J. Barker, P. S. Tofts, "A chemical shift selective inversion recovery sequence for fat-suppressed MRI: theory and experimental validation,"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11. No. 3. pp. 341-355, 1993. 

  10. J. Frahm, A. Haase, W. Hanicke, D. Matthaei, H. Bomsdorf, T. Helzel, "Chemical shift selective MR imaging using a whole-body magnet, " Journal of Radiology, Vol. 156. No. 2. pp. 441-444, 1985. 

  11. T. Wada, O. Togao, C. Tokunaga, R. Funatsu, K. Kobayashi, Y. Nakamura, "Effect of the saturation pulse duration on chemical exchange saturation transfer in amide proton transfer MR imaging: a phantom study, " Journal of Radiological Physics and Technology, Vol. 9. No. 1. pp. 15-21 , 2015. 

  12. J. S. Lee, E. H. Goo, C. S. Park, S. Y. Lee, H. J. Lee, "A Study on Compensation for Imaging Qualities Having Artifact with the Change of the Center Frequency Adjustment and Transmission Gain Values at 1.5 Tesla MRI,"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Vol. 20, No. 4, pp. 244-252, 2009. 

  13. Y. J. Kim, N. Lee, J. Yu, H. Lee, G. An, S. Bang, J. Chang, D. Chang, "Three-dimensional volu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alysis of the soft palate and nasopharynx in brachycephalic and non-brachycephalic dog breeds,"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and Science, Vol. 81. No. 1. pp. 113-119, 2019. 

  14. W. J. Lee, B. S, An. Y. S. Park,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of Low-dose Protocol in Chest CT: Comparison of Standard-dose Protoc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ol. 37. No. 2. pp. 84-89, 2012. 

  15. M. J. Sormaala, J. P. Ruohola, V. M. Mattila, S. K. Koskinen, H. K. Pihlajamaki " Comparison of 1.5T and 3T MRI scanners in evaluation of acute bone stress in the foot," BMC Musculoskelet Disord, Vol. 12. No. 128, 2011. 

  16. M. A. Bernstein, J. 3rd. Huston, H. A. Ward, "Imaging artifacts at 3.0T,"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24. No. 4. pp. 735-746, 2006. 

  17. Y. Zhao, X. Yan, Z. Zhang, W. Zhao, Z. Liu, J. Li, "Self-adapting multi-peak water-fat reconstruction for the removal of lipid artifacts in chemical exchange saturation transfer (CEST) imaging,"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ol. 82. No. 5. pp. 1700-1712, 2019. 

  18. M. Klauss, A. Lemke, K. Grunberg, D. Simon, T. J. Re, M. N. Wente, F. B. Laun, H. U. Kauczor, S. Delorme, L. Grenacher, B. Stieltjes, " Intravoxel incoherent motion MRI for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ass forming chronic pancreatitis and pancreatic carcinoma," Journal of Investigative Radiology, Vol. 46. No. 1. pp. 57-63, 2011. 

  19. J. O. Neumann, H. Giese, A. Biller, A. M. Nagel, K. Kiening, " Spatial Distortion in MRI-Guided Stereotactic Procedures: Evaluation in 1.5-, 3- and 7-Tesla MRI Scanners," Journal of Stereotactic and Functopma; Neurosurgery, Vol. 93. No. 6. pp. 380-386, 2015. 

  20. J. H. Lee, Y. S. YU, J. S. Lee, I. C. Im, "Application of the Orally Inserted Guiding Device for the Improved Motion Artifacts of the Cervical Spine MRI," Journal of Korean Society Radiology, Vol. 8. No. 6,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