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과류 4종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
Relative Abundance of Stink Bugs on Four Stone Fruits (Prunus spp.)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8 no.4, 2019년, pp.313 - 317  

양창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이선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이성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서미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윤정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최병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노린재류는 여러 과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우리는 핵과류 4종(매실, 체리, 자두, 복숭아)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와 상대적인 풍부도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핵과류 과수원에서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가시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4종이었다. 조사기간 중에 4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는 썩덩나무노린재(65%), 갈색날개노린재(26%), 가시노린재(7%), 알락수염노린재(2%) 순이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매실, 체리, 복숭아에서 우점종이었던 반면, 자두에서는 갈색날개노린재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핵과류 과실에 발생하는 노린재는 성충이 81%이었고 약충이 19%이었다. 한편 핵과류 과종별 노린재의 발생은 생육초기보다는 생육후기에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핵과류 과수원에서는 수확기에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관리방안에 대한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ink bugs (Hemiptera: Pentatomidae) ar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fruit trees in Kore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relative abundance of stink bugs on four stone fruits,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cherry (Prunus avium L.), plum (Prunus salicina Lindl), and peach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1993)에 대한 연구 결과가 있으나 이들 나라에서도 핵과류에 발생하는 노린재에 대해 연구 결과가 그다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핵과류 4종(매실, 체리, 자두, 복숭아)의 과실을 가해하는 노린재의 종과 시기별 발생 밀도를 조사하여 방제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린재가 주는 피해는? , 2015). 한편, 일부 핵과류 과수원에서는 노린재류가 과실을 가해하는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가해 종과 방제 방법에 대한 재배가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 결과가 없어 효과적인 정보의 제공이 곤란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핵과류는 무엇이 있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에 속하는 핵과류인 매실(Prunus mume Sieb. et Zucc), 자두 (Prunus salicina Lindl), 복숭아[Prunus persica (L.) Batsch]가고소득 작물로 인식되면서 점차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농업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8년에 25,857ha이었던이 3과종의 재배면적이 2018년에는 38,733ha로 증가하였다.
핵과류 과수원에 발생하는 노린재 중에서 썩덩나무노린재가 주요 해충인 이유는? 본 연구결과는 국내 핵과류 과수원에 발생하는 노린재 중에서 썩덩나무노린재가 주요 해충임을 보여준다. 이 종은 핵과류 4과종에 발생하는 전체 노린재의 65%를 차지하였는데, 매실, 체리, 복숭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자두에서 두 번째로 많이 발견된 종이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콩(Son et al., 2000), 감귤(Kim et al., 2000), 유자(Choi et al., 2000), 단감(Lee et al., 2009), 사과(Lee et al., 2015), 오디(Lim et al., 2017) 등에도 큰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핵과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이 종에 대한 발생 생태 연구와 효과적인 방제기술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갈색날개노린재는 핵과류 4과종에 발생하는 전체 노린 재의 26%를 차지하였는데, 특히 자두에서는 썩덩나무노린재 보다 더 많이 발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J., Cho, M.R., Park, C.H., Kang, T.J., Kim, H.H., Kim, D.H., Yang, C.Y., 2014. Halo spot symptom induced by oviposi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grape fruits: molecular diagnosis by a species-specific DNA amplification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ymptom. Korean J. Appl. Entomol. 53, 281-286. 

  2. Choi, D.S., Kim, K.C., Lim, K.C., 2000. The status of spot damage and fruit piercing pests on yuzu (Citrus junos) fruit. Korean J. Appl. Entomol. 39, 259-266. 

  3. Choi, D.S., Ko, S.J., Ma, K.C., Kim, H.J., Kim, D.I., Kim, H.W., 2015. Damage, occurrence, and optimal control period of Eurytoma maslovskii affecting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fruit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Appl. Entomol. 54, 191-197. 

  4. Kim, D.H., Kwon, H.M., Kim, K.S., 2000. Current status of the occurrence of the insect pests in the citrus orchard in Cheju island. Korean J. Appl. Entomol. 39, 267-274. 

  5. Lee, H.S., Chung, B.K., Kim, T.S., Kwon, J.H., Song, W.D., Rho C.W., 2009. Damage of sweet persimmon fruit by the inoculation date and number of stink bugs, Riptortus clavatus, Halyomorpha halys and Plautia stali. Korean J. Appl. Entomol. 48, 485-491. 

  6. Lee, S.M., Kim, S.J., Yang, C.Y., Shin, J.S., Hong, K.J., 2014. Host plant, occurrence, and oviposition of the eurytomid wasp Eurytoma maslovskii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3, 381-389. 

  7. Lee, S.Y., Yoon, C., Do, Y.S., Lee, D.H., Lee, J.S., Choi, K.H., 2015.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esticides against hemipteran pests on apple orchard. Korean J. Pestic. Sci. 19, 264-271. 

  8. Lim, J.R., Moon, H.C., Kim, D.W., Kwon, S.J., Han, S.G., Kwak, D.O., 2017. Occurrences of insect pests on fruit-producing mulberry plant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Appl. Entomol. 56, 203-212. 

  9. Moriya, S., Shiga, M., Maguchi, M., 1987. Analysis of light trap records in four major species of fruit-piercing stink bugs, with special reference to body size variation in trapped adults of Plautia stali Scott. Bull. Fruit Tree Res. Stn, 14, 74-94. 

  10. Morrison, W.R. III, Blaauw, B.R., Short, B.D., Nielsen, A.L., Bergh, J.C., Krawczyk, G., Park, Y.L., Butler, B., Khrimian, A., Leskey, T.C., 2019. Successful management of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in commercial apple orchards with an attract-and-kill strategy. Pest Manag. Sci. 75, 104-114. 

  11. Oda, M., Nakanishi, Y., Uesumi, Y., 1981. Ecological studies of stink bugs attacking fruit trees. Report 3: development and seasonal prevalence by rearing of the brown-winged green bug, Plautia stali Scott and brown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mista Uhler. Bull. Nara Agric. Exp. Stn. 12, 131-140. 

  12. Qin, W., 1990. Occurrence rule and control techniques of Halyomorpha picus. Plant Prot. 16, 22-23. 

  13. Shiga, M., Moriya, S., 1984. Utilization of food plants by Plautia stali Scott (Heteroptera, Heteroptera, Pentatomidae), an experimental approach. Bull. Fruit Tree Res. Stn. 11, 107-121. 

  14. Son, C.K., Park, S.G., Hwang, Y.H., Choi, B.S., 2000. Field occurrence of stink bug and its damage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5, 405-410. 

  15. Ueno, W., Shoji, T., 1978. Ecology and control of fruit pest stink bugs. Part II: characteristics of stink bug damage. N. Jpn. Pest Res. Bull. 29, 17. 

  16. Umeya, K., 1976. Outbreak of stink bugs in fruit trees. Plant Prot. 30, 133-141. 

  17. Watanabe, K., 1996. Characteristic of damages of Lygocoris (Apolygus) lucorum (Meyer-Dur) (Heteroptera: Miridae) and Halyomorpha halys (Stal) (Heteroptera: Pentatomidae) on cherry. Ann. Rept. Plant Prot. North Japan 47, 143-144. 

  18. Yamanaka, T., Teshiba, M., Tuda, M., Tsutsumi, T., 2011. Possible use of synthetic aggregation pheromones to control stinkbug Plautia stali in kaki persimmon orchards. Agr. Forest Entomol. 13, 321-331. 

  19. Yang, C.Y., Kim, S.J., Yang, S.J., Cho, M.R., 2012. Seasonal adult occurrence of four clearwing moths in Suwon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51, 443-447. 

  20. Yang, C.Y., Kim, D.H., Kim, H.H., Kang, T.J., Cho, Y.S., 2016. Distribution ratios of Grapholita molesta and G. dimorpha larvae in pest-damaged fruits of five Rosaceae fruit trees. Korean J. Appl. Entomol. 55, 313-317. 

  21. Zhang, C.T., Li, D.L., Su, H.F., Xu, G.L., 1993. A study o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lyomorpha picus and Erthesina fullo. Forest Res. 6, 271-2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