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축물의 단열재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rnal Insulation of Buildings Over 20 Years Old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9 no.6, 2019년, pp.539 - 547  

김현진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  최세진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건축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로 공급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자 신축 또는 기존건물에 대한 녹색건축인증(G-SEED) 및 에너지효율등급,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등을 일정조건 이상인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건물에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을 줄이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자재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건물외피 구성 재료 중 총 열 저항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건축물에 시공된 단열재의 경시변화에 대한 명확한 자료가 부족하여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판단기준인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요량 산정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이에 2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의 리모델링 현장에서 단열재(압출법,비드법)를 직접 채취하여 단열재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압출법(XPS)은 생산초기 품질기준인 KS M 3808보다 열전도율은 48%, 압축강도는 36%가 저하되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고, 비드법(EPS)의 경우 단열재 두께가 50mm인 경우 열전도율과 압축강도, 굴곡파괴하중 등이 생산초기 품질기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드법의 경우 단열재 두께를 고려하여 현재의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 요량을 기존대로 산정하고, 압출법의 경우는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 산정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gned a climate change agreement to prevent global warming. Yet currently, the fossil fuels have been widely used in to supply building energy for cooling and heating.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G-SEED), an energy efficiency rating for new or existing bu...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준공이후 22∼38년 경과된 노후건축물을 대상으로 실제 시공된 단열재의 열전도율, 압축강도 및 굴곡파괴하중 등의 성능을 비교·검토함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효율등급 및 그린리모델링 시공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지난 3년(‘16년~18년)동안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단열재의 종류(압출법 및 비드법) 및 생산년도별로 열적성능변화 등을 파악하고 현재와 같이 성능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건축물의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 산정 방식의 적합성과 단열재의 내구연한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지구온난화 방지를 목표로 체결한 협약은?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목표로 “2015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을 체결했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을 BAU대비 37% (315백만Tco2-eq, 국내: 25.7%, 해외: 11.
에너지절감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는 이유는?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목표로 “2015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을 체결했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을 BAU대비 37% (315백만Tco2-eq, 국내: 25.7%, 해외: 11.3%)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당 해도(2030) 목표배출량을 536백만Tco2-eq으로 설정한 바 있다. 또한 2018년「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에서는 당초 국내 감축량을 25.7%에서 32.5%로 상향(해외감축분 4.5%)하고 추가 감축분에 해당하는 58백만Tco2-eq의 50%를 건물부문으로 할당함으로써 건물부문의 경우 9개 분야 총 감축목표량(276.5백만Tco2-eq)중 산업부문 다음으로 많은 65백만Tco2-eq를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따라서 건축물에서의 에너지절감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특히 전국 건축물 710만여 동 중 67%(477만동)을 차지하고 있는 15년 이상 된 노후건축물에 대한 녹색건축물 전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국제사회적으로 도입한 건축적 제도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건축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로 공급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자 신축 또는 기존건물에 대한 녹색건축인증(G-SEED) 및 에너지효율등급,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등을 일정조건 이상인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건물에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을 줄이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자재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건물외피 구성 재료 중 총 열 저항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mendment of the 2030 GHG Reduction Roadmap and 2018-2020 Emissions Allocation Plan [Internet]. Sejong(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8-[cited 2019 Dec 17]. Available from: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540853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ule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2016. 

  3. Kang JS, Jeong YS, Kim GW, Choi GS, Lee S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nductivity change of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with long-time elapse III.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Oct;25(1):164-8. http://www.aik.or.kr/html/search.jsp 

  4. KS M ISO 11561, Ageing of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Determination of the long-term change in the rmal resistance of close-cell plastics(accelerated laboratory test methods).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09. 

  5. KS M 3808, Cellular polystyrene(PS) for thermal insulation.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11. 

  6. Feist W, Ebel W, Pfluger R, Kirchmair M. 25 Jahre Passivhaus Darmstadt Kranichstein [Internet]. Hessem(Deutschland): Passivehaus Institut damstadt; 2016 Sep[cited 2019 Dec 17]. 40 p. Available from: https://passiv.de/de/05_service/03_fachliteratur/030101_neubau_wohnungsbau/06_passivhaus_kranichstein_25_jahre_bericht/06_passivhaus_kranichstein_25_jahre_bericht.html. 

  7. Lim SH, Lee GC. Changes in insulation performance of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for building construction by accelerated durability test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6 Dec;16(6):595-601. https://doi.org/10.5345/JKIBC.2016.16.6.595 

  8. Choi BH, Kang JS.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accorfing to long-term ag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013 Nov;25(11):617-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