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인공강수 가능성 진단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Cloud Seeding as a Measure of Air Quality Improve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9 no.5, 2019년, pp.609 - 614  

송재인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염성수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ud seeding experiment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alleviate severe air pollution problem because, if successful, artificially produced precipitation through cloud seeding could scavenge out some portion of air pollutants. As a first step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such experiment, seedabili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계획은 서울의 PM10 농도를 기준치인 2003년 평균값 69 μg m-3에서 40   μg m-3까지 42%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시행됐다.
  • 그러나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에 대한 인공강수 실험 성공 가능성에 관해서는 더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구름 관측자료와 재분석장 자료, 문헌조사 등을 통해 미세먼지가 높을 때 인공강수의 가능성을 통계적인 관점에서 평가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발생시의 능동적 대처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발생시의 능동적 대처방안으로는 인공강수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이 있다. 이 방법은 구름씨 살포를 통해 인공적으로 강수계를 발달시켜 비를 내리거나 강우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인공강수를 위한 필수적인 선결조건이 구름의 존재유무와 응결된 물의 양인 이유는 무엇인가? (2008)은 구름씨 살포 유용성(seedability) 판단에 있어 응결된 물의 양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인공적으로 수증기를 공급하거나 기온을 낮춰 포화에 이르게 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응결가능한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도 없기 때문에, 구름이 존재하더라도 인공강수를 통해 내릴 수 있는 비의 양은 응결된 물의 양보다 많을 수 없다.
계측 운량은 무엇인가? 운량은 운고계를 이용한 계측 값과 사람의 눈을 이용한 목측 값 두 자료를 모두 분석하였다. 계측 운량은 운고계로 주어진 시간동안 구름의 발생빈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엄밀히 말하면 운량이 아니라 구름발생빈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계측은 무인관측이므로 시, 공간적 해상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uintjes, R. T., 1999: A review of cloud seeding experiments to enhance precipitation and some new prospects. Bull. Amer. Meteor. Soc., 80, 805-820. 

  2. Buckeridge, D. L., R. Glazier, B. J. Harvey, M. Escobar, C. Amrhein, and J. Frank, 2002: Effect of motor vehicle emissions on respiratory health in an urban area. Environ. Health Perspect., 110, 293-300. 

  3. Han, H., C. H. Jung, H. S. Kum, and Y. P. Kim, 2017: The revisit on the $PM_{10}$ reduction policy in Korea: focusing on policy target, tools and effect of 1st air quality management pl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Environ. Policy Admin., 25, 49-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shimoto, A., T. Kato, S. Hayashi, and M. Murakami, 2008: Seedability assessment for winter orographic snow clouds over the Echigo Mountains. Sci. Online Lett. Atmos., 4, 69-72. 

  5. Hur, S.-K., H.-R. Oh, C.-H. Ho, J. Kim, C.-K. Song, L.-S. Chang, and J.-B. Lee, 2016: Evaluating the predictability of $PM_{10}$ grades in Seoul, Korea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synoptic patterns. Environ. Pollut., 218, 1324-1333, doi:10.1016/j.envpol.2016.08.090. 

  6. Kim, C.-K., S. S. Yum, S.-N. Oh, J.-C. Nam, and K.-H. Chang, 2005: A Feasibility study of winter orographic cloud seeding experi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 Meteor. Soc., 41, 997-10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 C., and Coauthors, 2017: Recent increase of surfac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Sci. Rep., 7, 4710, doi: 10.1038/s41598-017-05092-8. 

  8. Lee, H.-J., Y. Jeong, S.-T. Kim, and W.-S. Lee, 2018: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over South Korea and their future projection. J. Climate Change Res., 9, 423-4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 C.-H. Ho, and Y.-S. Choi, 2011: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 Environ., 45, 7240-7247, doi:10.1016/j.atmosenv.2011.08.071. 

  10. ME, 2005: Metropolitan atmospheric environment management basic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80 pp (in Korean). 

  11. ME, 2013: The 2nd metropolitan atmospheric environment management basic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111 pp (in Korean). 

  12. ME, 2018: Annual atmospheric environment report 2017,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80 pp (in Korean). 

  13. Mircea, M., S. Stefan, and S. Fuzzi, 2000: Precipitation scavenging coefficient: influence of measured aerosol and raindrop size distributions, Atmos. Environ., 34, 5169-5174. 

  14. Norris, G., S. N. YoungPong, J. Q. Koenig, T. V. Larson, L. Sheppard, and J. W. Stout, 1999: An association between fine particles and asthma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children in Seattle. Environ. Health Perspect., 107, 489-493. 

  15. Pino, P., T. Walter, M. Oyarzun, R. Villegas, and I. Romieu, 2004: Fine particulate matter and wheezing illnesses in the first year of life. Epidemiology, 15, 702-708. 

  16. Pope 3rd, C. A., D. V. Bates, and M. E. Raizenne, 1995: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time for reassessment? Environ. Health Perspect., 103, 472-480. 

  17. Seo, J.-H., E.-H. Ha, B.-E. Lee, H-S. Park, H. Kim, Y.-C. Hong, and O.-H. Yi, 2006: The Effect of $PM_{10}$ on Respiratory-related Admission in Seoul. J. Kor. Soc. Atmos. Environ., 22, 564-5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Zhang, L., and R. Vet, 2006: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concerning size-dependent aerosol removal. China Part., 4, 272-28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