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KD 추출액내 KCl 제거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조업조건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Ion Exchange Resin operating conditions for removal of KCl from CKD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088 - 1095  

장영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예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김지유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일건 (평화엔지니어링) ,  이주열 ((주)애니텍) ,  박병현 ((주)애니텍) ,  김성철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상문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김성수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KD 추출액은 시멘트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인 CKD를 시멘트 원료로 재사용하기 위해 공정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KCl을 추출한 폐수이며, 폐수처리시설 증설 등의 문제로 추출액 무방류 및 이를 재이용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법을 적용하여 KCl을 제거한 결과, 이온교환 후 추출액의 pH는 12.7에서 pH 2 미만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이온교환수지의 H+가 이온교환을 거쳐 추출액에 용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온교환의 선택성에 의해 Ca2+, K+ 순서로 제거되었으며, K+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접촉시간의 증가가 필요함을 판단하였다. 이온교환수지와 직접접촉시간이 약 6배 높은 접촉시간을 갖는 회분식장치에서 연속흐름식장치 대비 4배 높은 K+ 제거 효율을, 7배 높은 Cl- 제거 효율을 확인하였다. 양이온교환수지의 H+가 음이온교환수지의 OH- 대비 1.2배 빠른 교환속도를 가짐을 추출액 pH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KD extract is wastewater from which KCl in CKD has been removed to reuse CKD as a cement raw material, and tried to reuse no extracts due to problem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expansion. As a result of removing KCl by the ion exchange method, the pH of the extract after ion exchang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온교환수지는 Fig. 1과 같은 (a) 회분식장치(batch system)를 또는 (b) 연속흐름식장치(continuous system)를 이용해 접촉시간별 성능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a) 회분식장치의 경우 이온교환수지를 일정량 충진 한 후,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20 ℃, 70 rpm으로 30min동안 반응하였다.
  • 본 연구는 시멘트 산업 폐수 재이용을 위해 이온교환법을 적용하여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KCl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수지는 염류의 수용액과 접촉 시 이온의 농도차이로 인해 이온교환이 이루어지는 원리로써, 다양한 접촉횟수 및 접촉량에 따라 이온 교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 있다[20,21].
  • 본 연구에서는 CKD 추출액 폐수를 재이용하고자 공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KCl를 제거하기 위하였으며, 이온교환수지를 활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KCl을 추출한 폐수인 CKD 추출액을 삼양 社의 강산성, 강염기성 이온교환수지와 접촉하여 K+와 Cl-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수지는 Fig.
  •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단순 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 또는 중금속 제거를 위한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대부분 폐수 내 중금속 제거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고 무기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CKD 재이용수의 사용을 위한 이온교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산업 공정 중 CKD 탄산화 공정에서 발생된 추출액(폐수)의 재이용을 위해 이온교환수지를 적용한 KCl 추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KD 추출액은 무엇인가? CKD 추출액은 시멘트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인 CKD를 시멘트 원료로 재사용하기 위해 공정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KCl을 추출한 폐수이며, 폐수처리시설 증설 등의 문제로 추출액 무방류 및 이를 재이용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법을 적용하여 KCl을 제거한 결과, 이온교환 후 추출액의 pH는 12.
CKD를 바로 재이용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중 CKD를 이루고 있는 Ca2+는 CO2 와 반응하여 CaCO3 자원을 생산할 수 있으며[10,11], 시멘트 원료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이온이다. 그러나 Ca2+과 함께 함유되어 있는 K+, Cl-은 킬른 동체 내부 코팅 또는 링을 형성하여 원료 이송을 방해하며, 시멘트 품질 저하의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추출용제를 이용해 이온(KCl)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시멘트연료로 재사용해야 한다[12-15]. 그 후 CKD내 KCl을 제거한 후의 산업용수, 즉 폐수는 추출된 KCl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시설 증설 등 부지의 필요, 경제적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추출액 재순환을 위한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추출액 재순환을 위한 다양한 기술로는 역삼투법(reverse osmosis), 전기투석법(electrodialysis), 정삼투법(forward osmosis), 막이용 증류법(membrane distillation), 증발법(evapotation), 침적법(precipitation), 이온교환수지법(ion exchangeresin) 등 매우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16]. 그 중 삼투법과 전기투석법, 막이용 증류법은 고농도의 폐수에 활용될 수 없어 약 200,000ppm의 폐수 농도를 갖는 시멘트 산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 D. Song, J. H. Hong, Y. S. Um, S. B. Lee, D. G. Kim, J. S. Kim,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 $CO_2$ ) in cement 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3, No.2, pp.158-168, (2007). 

  2. S. J. H. Oh, "Beneficial Uses of Cement Kiln Dust", Ceramist, Vol.20, No.1, pp.103-118, (2017). 

  3. J. V. Lombardi, R. Bazante-yamaguishi, F. F. Madeira, P. L. Concilio, N. P. P. Caruso, E. Barbieri, "Potassium chloride and sodium chloride as reference toxicants to assess quality of toxicity tests carried out with the microcrustacean cladocera ceriodaphnia dubia", Inst. Pesca, Vol.44, No.3, From: DOI: 10.20950/1678-2305.2018.311. 

  4. S. K. Yoon, S. J. Myeong, T. H. Jang, J. S. Kim, S. H. Lee, K. H. Kim, E. C. Jeon, "Development of $CO_2$ emission factors for alternative fuels with assessment of emission reduction in cement 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4, No.2, pp.189-195, (2008). 

  5. Y. H. Lee, D. H. Han, S. M. Lee, H. K. Eom, S. S. Kim, "A study on the Cation Extraction and Separation in Cement Industrial By-products for Applications to the Carbonation Process", Appl. Chem. Eng., Vol.30, No.1, pp.34-38, (2019). 

  6. H. S. Shin, S. Y. Yoo, W. B. Jeong, C. C. Pei, S. S. Kim, C. G. Han, "Quality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with Vartances in Incorporating Ratio of CKD and Adding Ratio of Stability Agent",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6, No.2, pp.67-70, (2006). 

  7. J. Jeon, M. J. Kim, "Carbon Dioxide Storage and Calcium Carbonate Production through Indirect Carbonation Using Paper Sludge Ash and Chelating Reagents"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Vol.28, No.3, pp.35-44, (2019). 

  8. R. Siddique, "Utilization of cement kiln dust (CKD) in cement mortar and concrete-an overview", Resources Conservation & Recycling, Vol.48, pp.315-338, (2006). 

  9. M. S. Konsta-Gdoutos, S. P. Shah, "Hydration and Properties of novel blended cements based on cement kiln dust and blast furnace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33, pp.1269-1276, (2003). 

  10. C. G. Han, Y. S. Hwang, S. S. Kim, C. S. Cha,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Kiln Dust(CKD)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Incorporating CK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Vol.20, No.11, pp.83-90, (2004). 

  11. S. Nasipude, S. bagwan, A. C. Ranveer, "Minimization of cement kiln dust",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s in engineering research and technology, Vol.2, No.4, (2015). 

  12. K. Wang, S. P. Shah, A. Mishulovich, "Effects of curing temperature and NaOH addition on hydra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of clinker-free CKD-fly ash binde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34, pp.299-209, (2004). 

  13. L. Kalina, J. Koplik, F. Soukal, J. Masilko, L. Jaskowiecova, "Potential uses of geopolymers to immobilize toxic metals from by-products materials",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urnal, Vol.11, No.3, pp.579-584, (2012). 

  14. M. Lachemi, M. Sahmaran, K. M. A. hossain, A. Lotfy, M. Shehata, "Properties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incorporating cement kiln dust and slag", Cement & concrete composites, Vol.32, pp.623-629, (2010). 

  15. S. R. Hong, H. S. Kim, E. G. Kwak, S. G. Park, J. M. Kim, "Characteristics of Recycled Fine Aggregate by Sodium Carbonated Water",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Vol.14, pp.97-102, (2011). 

  16. J. H. Sim, J. J. Seo, J. H. Seo, D. H. Kim, "Comparative Study on Recovery of Nickel by Ion Exchange and Electrodialysis", Vol.28, No.6, pp.640-647, (2005). 

  17. K. B. Park, J. H. Cho, S. B. Jeon, Y. Y. Lim, K. J. Oh, "Characteristics of Heat Stable Salts Treatment Using Anion Exchange Resins in $CO_2$ Absorption Process", Clean Technology, Vol.21, No.1, pp.22-32, (2015). 

  18. C. G. Park, H. S. Kim, J. M. Lee,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agnetic ion Exchange Resin in the Exist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KSFM Journal of Ruid Machinery, Vol.17, No.2, pp.35-40, (2014). 

  19. S. S. Hong, N. Y. Jang, Y. S. Won, C. H. Lee, "The study of Treatment and reuse of chromium rince wastewater with ion exchange resins", Proceedings of KSEE, 29. April-1.March, (2004). 

  20. H. K. Ahn, I. H. Rhee, H. J. Jeong, "A study on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Solution",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Vol.12, No.1, pp.447-450, (2006). 

  21. T. K. Moon, G. L. Foutch, "Mixed-Bed ion Exchange", Chemical Industry and Technology, Vol.11, No.1, pp.12-17, (1993). 

  22. S. K. Kwun, M. J. Yu, T. M. Jung, M. S. Kim, "Nitrate Removal in Rural Groundwater Using Ion Exchange Resi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16, No.2, pp.193-198,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