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hermodynamic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Aniline by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143 - 1152  

이동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이병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UV-Vis법을 이용하여 가용화상수(Ks)와 열역학 함수들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온염과 유기물의 첨가가 가용화상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Ks값의 변화를 계면활성제 종류별로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가용화상수로부터 구한 여러 열역학적 함수를 비교하고 검토함으로써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현상에 대한 Gibbs 자유에너지와 엔탈피 변화 값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엔트로피 변화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가용화상수 값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계면활성제의 탄소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온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용화에 대한 Gibbs 자유에너지값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n-부탄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ibbs 자유에너지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tudy the solubilization of aniline by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the solubilization constant (Ks) and thermodynamic functions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by using the UV-Vis method. The solubilization constants of aniline with the change of temperature were measured, 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아닐린은 약염기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에 의한 가용화현상에 대한 열역학적 연구 분석이 거의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의 알킬기의 길이, 알콜류의 첨가, 이온성 무기염의 첨가에 따른 아닐린의 가용화실험을 통하여 열역학적 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 그 동안 본 연구실에서는 양이온계면활성제 용액에서 페놀 및 벤조산 이성질체들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간편한 UV-Vis법을 이용하여 염료, 의약품, 폭약, 플라스틱, 고무화학제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닐린의 가용화 현상을 연구하였다. 특히 아닐린은 약염기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에 의한 가용화현상에 대한 열역학적 연구 분석이 거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 분자의 특성과 구조는 무엇인가? 계면활성제 분자들은 한 분자내에 소수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수용액 상에서 친수성기는 전기 이중층을 띄는 표면을, 소수성기는 중심부를, 그리고 중심부와 표면사이에서는 palisade층으로 나누어지는 미셀(micelle)이라는 집합체 구조를 이룸으로써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이룬다[1]. 일반적으로 유기성 혹은 무기성 분자들은 미셀과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미셀의 표면혹은 미셀의 내부로 녹아 들어간다.
가용화란 무엇을 뜻하는가? 계면활성제 분자들은 한 분자내에 소수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수용액 상에서 친수성기는 전기 이중층을 띄는 표면을, 소수성기는 중심부를, 그리고 중심부와 표면사이에서는 palisade층으로 나누어지는 미셀(micelle)이라는 집합체 구조를 이룸으로써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이룬다[1]. 일반적으로 유기성 혹은 무기성 분자들은 미셀과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미셀의 표면혹은 미셀의 내부로 녹아 들어간다. 이러한 현상을 가용화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비극성의 유기성 분자들은 소수성을 띠는 미셀의 중심부로 가용화되며, 지방족 알코올과 같은 극성 그룹을 가진 분자들은 미셀의 표면에서 탄소수가 3-5개 정도의 깊이에 형성되는 palisade층에 가용화된다[2,3,4,5].
가용화 현상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그리고 염이나 당류와 같이 물에 가용화 될 수 있는 친수성이 매우 큰 극성물은 미셀내에 공존될 수 없지만 표면에 흡착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가용화 현상은 일종의 평형반응으로 취급되며, 가용화되는 물질의 특성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해서 생성되는 미셀의 크기와 특성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가용화되는 물질과 미셀과의 상호작용의 세기와 종류에 따라서 가용화상수 값과 미셀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도 크게 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R. Mallikarjun, D. B. Dadyburjor, "Thermodynamics of Solubilization", J. colloid Interface Sci., Vol. 84, No.1, pp.73-90, (1981). 

  2. L. Sepulveda, "Absorbances of Solution of Cationic Micelles and Organic Anions" J. colloid Interface Sci., Vol.46, No.3, pp. 372-379, (1974). 

  3. N. M. Lee, B. H. Lee,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4-Chlorobenzoic Acid by Lauryl Sulfobetaine Mixed Surfactant Systems", J. Korean Oil chem. Soc., Vol.31, No.4, pp. 612-622, (2014). 

  4. C. A. Bunton, L. Sepulveda, "Hydrophobic and Coulombic Interactions in the Micellar Binding of Phenols and Phenoxide Ions", J. Phys. Chem., Vol.83, No.6, pp. 680-683, (1979). 

  5. B. H. Lee, "Effects of Substituent, n-Butanol, and Sodium Chloride on the Solubilization of 4-Alkylphenols in TTAB Solutions", Colloid Interface Sci Commun, Vol.25, pp. 12-15, (2018). 

  6. P. D. Burgo, E. Junquera, E. Aicart, "Mixed Micellization of a Nonionic-Cationic Surfactant System Constituted By n-Octyl- ${\beta}$ - D-Glucopyranoside/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H_2O$ . An Electrochemocal, Thermodynamic, and Spectroscopic Study", Langmuir, Vol.20, No.5, pp. 1587-1596, (2004). 

  7. S. J. Bachofer, U. Simonis, "Determination of the Ion Exchange Constants of Four Aromatic Organic Anions Competing for a Cationic Micellar Interface", Langmuir, Vol.12, No.7, pp. 1744-1754, (1996). 

  8. B. J. Kim, S. S. Im, S. G. Oh, "Investigation on the Solubilization Locus of Aniline-HCl Salt in SDS Micelles with 1H NMR Spectroscopy" Langmuir, Vol.17, No.2, pp. 565-566, (2001). 

  9. G. C. kresheck, "Comparison of the Calorimetric and van't Hoff Enthalpy of Micelle Formation for a Nonionic Surfactant in $H_2O$ and $D_2O$ Solutions from 15 to $40^{\circ}C$ ", J. Phys. Chem. B, Vol.102, No.34, pp. 6596-6600, (1998). 

  10. D. C. Lee, B. H. Lee, "Effect of NaCl, n-Butanol, and Temperature on the Micellization of Ammonium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in Aniline S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2, pp. 407-416, (2019). 

  11. Y. Moroi, R. Matuura, "Thermodynamics of Solubilization into Surfactant Micelles: Effect of Hydrophobicity Both Solubilizate Surfactant Molecules", J. colloid Interface Sci., Vol.125, No.2, pp.456-462, (1988). 

  12. C. Hirose, L. Sepulveda, "Transfer Free Energles of p-Alkyl-Subsituted Benzene Derivatives, Benzene, and Toluene from Water to Cationic and Anionic Micelles and to n-Heptane" J. Phys.Chem., Vol.85, pp. 3689-3694, (1981). 

  13. C. A. McMahon, B. Hawrylak, D. G. Marangoni, R. Palepu, "Calorimetric and NMR Investigations of the Micellar Properties of Sodium Dodecyl Sulfate in Aqueous Mixtures of Isomeric Butanediols", Langmuir, Vol.15, No.2, pp. 429-436, (1999). 

  14. N. M. Lee, B. H. Le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urfactant structure on the solubilisation of 4-chlorobenzoic acid by various surfctants", J. Chem. Thermodynamics, Vol.101, pp.1-6, (2016). 

  15. B. H. Lee, "Study on the micellization of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by using the solubilization of 4-alkyphenol", Colloids and Surfaces A, Vol.578, pp. 123599, (2019). 

  16. B. H. Lee, "Realtionship between the Micellization of TTAB and the Solubilization of p-Bromophenol TTAB Solution", J. Korean Chem. Soc., Vol.57, No.6, pp. 665-671,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