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V LED를 이용한 가정용 소독기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a domestic disinfector using UV LED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9 no.6, 2019년, pp.264 - 269  

주왕 (한서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 ,  성영 (한서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 ,  강승민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  지문환 (한서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UV LED 적용하여 가정용 소독기를 제조하기 위한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UV LED 살균거리 및 시간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정용 소독기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컴퓨터 보조디자인 소프트웨어, 3D 프린트, 레이저 절달 등 기술을 사용하여 3가지 서로 다른 UV LED 작동방식의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모델 대해 장단점 분석을 진행하여 최종 디자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sign for household sterilizer applying UV LED was studied. Based on UV LED sterilization distance and time data, the concept of home disinfectioner design was presented. Using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 aided design software, 3D printing and laser cutting, etc., three different UV LED oper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ure 1은 자외선 파장과 광출력에 따른 응용분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75 nm 대역의 자외선 LED의 소독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디자인을 연구하였으며, Fig.1에서와 같이 적용 및 응용가능성을 보였다.
  • 또한 지금까지 가정용 소독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도어개폐방식이여닫이 방식으로 되어있어 제품을 넣고 꺼내기가 불편하고 제품들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향후 친환경성 살균, 소독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UV LED를 사용하여 가정용 살균기에 적용하고, 서랍식의 개폐 방식을 적용하고 회전구동방식을 적용함으로서 살균효과를 높인 제품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가설 설정

  • 5. Photographs of design skitches (a) Design concept 1 (b) Design concept 2 (c) Design concept 3 (d) concept 3 open mode. red part is UV LED compon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독 캐비닛이란 무엇인가? 소독 캐비닛이란 적절한 용적과 장비가 있고 물리적, 화학적 또는 둘을 결합한 원리로 소독하는 기구이다. 또 일반 장식장보다 밀폐성이 뛰어나 개미와 해충피해를 막고 소독에 이은 2차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가정용 식기 소독캐비닛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1].
가정용 식기 소독캐비닛이 많이 보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독 캐비닛이란 적절한 용적과 장비가 있고 물리적, 화학적 또는 둘을 결합한 원리로 소독하는 기구이다. 또 일반 장식장보다 밀폐성이 뛰어나 개미와 해충피해를 막고 소독에 이은 2차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가정용 식기 소독캐비닛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1].
UV LED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현재 자외선 기술의 단점은 무엇인가? 살균기 제품은 다년간의 발전을 거쳐 관련 기술이 점차 성숙한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미 점점 더 많은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2]. 그러나 현재 자외선 기술을 사용하여 소독하는 살균기는 대부분 수은램프를 사용하는데[3], 수은램프는 UV LED 칩에 비해 부피가 너무 크고, 출력이 낮으며 최근 친환경성과는 부적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수명도 짧은 단점이 있다[4]. 또한 지금까지 가정용 소독 캐비닛은 일반적으로 도어개폐방식이여닫이 방식으로 되어있어 제품을 넣고 꺼내기가 불편하고 제품들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Z.C, Zang, "Home intelligent disinfection cabinet design", Hebei Agricultural Machinery 7 (2018) 58. 

  2. T. Wang, S.Y. Ma, Y.Q. Jang and Z. Han,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he optical wave disinfection in household tableware cabinet", J. Appliance Science & Technology 12 (2018) 24. 

  3. W.S. Yu, "Simulation and optimization design of the drying and ozone decomposition system in a sterilizer", M.S. Thesis (Southeast Univ., 2019) p. 9. 

  4. B.S. Kim, "The study of polymer hardened characteristic using the UV-LED multiplex concentrate lighting method", M.S. Thesis (Wonkwang Univ., 2017) p. 3. 

  5. Y. Li, "AlGaN base deep uv LED MOCVD epitaxial growth", D.S. Thesis (Huazhong Univ., 2015) p. 12. 

  6. G.H. Zang and J.S. Yu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deep UV LED", China Light & Lighting 3 (2012) 4. 

  7. G.Y.X. Xia, X.Q. Nu, Y.Y. Chen, Q. Xu and W.T. Li, "Experimental study of disinfection effect of LED ultraviolet light", Chinese Journal of Disinfection 34 (2017) 1. 

  8. B. He, "Study on LED Lighting and UV Germicidal Lamp and Its Key Technology", M.S. Thesis (Beijing Jiaotong Univ., 2014) p. 18. 

  9. X.Q. Huang, "The applied research of interaction design in industrial design", M.S. Thesis (Qilu Industrial Univ., 2014) p. 2. 

  10. L.T. Hu, "Study of co-experience design for internet product", M.S. Thesis (Beijing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Univ., 2015) p. 18. 

  11. J. Forlizzi and S. Ford, "The Building Blocks of Experience: An Early Framework for Interaction Designers", In D. Boyarski & W.A. Kellogg (Eds.), (Communications of the ACM, New York, 2000) p. 419. 

  12. Y.Y. Ding, L. Jiang and Y. Dan, "The destructive effect of ultraviolet irradiation on ABS", Automobile Technology & Material 4 (2017) 10. 

  13. S.Z. Wang, "Uv-proof glass research", China Building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6 (1995) 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