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입유박 대체 비료자원 발굴을 위한 농업부산물 발생량 추정 및 양분 함량 조사
Estimation of Agricultural By-products and Investigation on Nutrient Contents for Alternatives of Imported Oil-cakes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7 no.4, 2019년, pp.71 - 81  

안난희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상민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조정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이초롱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료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부존자원인 농업부산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발생량을 추정하고, 주요 비료 성분 (질소, 인산, 칼리) 함량을 선행연구 및 자료들을 수집하여 향후 수입 유박 대체를 위한 국내 자원 발굴 및 활용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8년 농작물 생산량과 환산계수를 활용하여 주요 34종의 농작물 부산물의 연간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전체 농업부산물 중 볏짚이 50.3%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 왕겨가 8.7%로 벼 재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이 전체 5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농촌지역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40종에 대한 비료 성분 (질소, 인산, 칼리)의 함량을 목록화 하였으며, 농업부산물의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의 평균 함량은 각 1.43%, 0.59%, 1.90%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26종의 농업부산물의 연간 질소공급 잠재량을 추정한 결과 44,911톤의 질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농업부산물들은 질소, 인산, 칼리 등 비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유기질 비료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아주까리 유박의 비료 성분 함량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농업부산물은 발생하는 시기나 장소, 양분 함량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며 국내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비료 및 퇴비 연구를 통하여 수입 유박을 대체하는 자재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mprove availability of agricultural by-products, national natural resources that could be used as fertilizer source, by estimating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collecting main contents of fertilizer substances from previous studies and data, in order to be used as ba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료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부존자원인 농업부산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발생량을 추정하고, 주요 비료 성분 (질소, 인산, 칼리) 함량을 선행연구 및 자료들을 수집하여 향후 수입 유박 대체를 위한 국내 자원 발굴 및 활용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비료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농산물에 대한 잠재적인 부산물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농업부산물의 바이오매스 발생량을 추정한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촌에서 발생하는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미곡 (논벼, 밭벼), 맥류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밀), 잡곡 (옥수수, 메밀), 두류 (콩, 팥, 녹두), 서류 (감자, 고구마), 조미채소 (고추, 마늘), 과수 (사과, 배, 감, 포도, 복숭아) 및 버섯폐배지 (느타리, 팽이, 새송이) 등이 있다.

가설 설정

  • 주요 농작물의 비료 성분 함량은 논문, 연구보고서, 한국 표준사료 성분표 등 문헌조사를 통하여 목록화 하였으며 농업부산물에 대한 연간 질소 공급 잠재량은 각 농업부산물의 건조 중량에 질소 성분함량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부산물의 수분량은 Yoon(2014)의 연구보고서에서 인용하였으며 조사되지 않은 보리⋅메밀의 짚은 볏짚을, 콩⋅팥⋅녹두의 깍지는 땅콩 깍지를, 팥⋅녹두의 줄기는 콩 줄기를, 감귤⋅복숭아의 전정지는 그 외 과수전정지의 평균으로 가정하였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질비료의 원료는 무엇인가? 현재 유통되고 있는 유기질비료는 단일 원료에 의해 제조된 것 보다 2종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유박, 혼합유기질비료, 유기복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유기질비료의 원료는 식물성과 동물성으로 구분되며, 식물성은 아주까리 유박, 채종 유박, 대두박, 미강 유박 등이 있고, 동물성은 어박 및 골분 등이 있다. 원료 중 아주까리 유박은 아주까리 종실에서 기름을 짜고 남은 부산물로 성분함량은 질소 4.
전체 농업부산물중 가장 많은 것은 무엇인가? 2018년 농작물 생산량과 환산계수를 활용하여 주요 34종의 농작물 부산물의 연간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전체 농업부산물 중 볏짚이 50.3%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 왕겨가 8.
비료자원을 위한 농업부산물 중 왕겨는 몇 퍼센트인가? 전체 농업부산물 중 볏짚이 50.3%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 왕겨가 8.7%로 벼 재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이 전체 5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National Fourth Five-Year Plan for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6). 

  2. Kim, M. S., Kim, S. C., Yun, S. G., Park, S. J. and Lee. C. 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circulated", Journal of the KORRA, 26(1), pp. 21-28. (2018). 

  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Standard of fertilizer use by crop", RDA. (2017). 

  4. Kim, S. J., "Variations of growth characteristics,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accessions of castor bea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2012). 

  5. Yoon, J. O.,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food proteins from castor bean protein", Kor. J. Food. Sci. Technol., 12(4), pp. 263-217. (1980). 

  6. Yun, H. B., Kaown, D. I., Lee, J. S., Lee, Y. J., Kim, M. S., Song, Y. S. and Lee, Y. B., "The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contents in organic fertilizer", Korean J. Soil Sci. Fert., 44(3), pp. 498-501. (2011). 

  7. Cho, K. R., Won, T. J., Kang, C. S., Lim, J. W. and Park, K. Y., "Effects of mixed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yield and nitrogen use efficiency in paddy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2(3), pp.152-159. (2009). 

  8. Kim, K. C., Ahn, B. G., Ko, D. Y., Kim, J. and Jeong. S. S., "Effects of expellar cake fertilizer on soil properties and Tah Tasai chinese cabbage yield in organic greenhouse farm", Korean J. Environ Agric., 33(3), pp. 149-154. (2014). 

  9. Lee, S. M., "Long-term effects of organic matters in upland soil", Research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09). 

  10. Hong, S. G., "Evaluation of agricultural biomass resources for renewable energy", The Korean Society of Agri. Engineers, 46(3), pp. 85-92. (2004). 

  11. Park, W. G., Park, N. B., Shin, J. D., Hong, S. G. and Kwon, S. I., "Estimation of biomass resource conversion factor and potential production in agricultural sector", Korean J Environ Agric., 30(3), pp. 252-260. (2011).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13. Yoon, S, I., "Biomass circulation area (Biopia) model construction and guidebook development in cultivation-forestry-livestock Industry", Research Repor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14. Lee, Y. H., "Study on yield survey and feeding technology of garlic by-product as a ruminant Feed", Konkuk University Master Thesis. (2013) 

  15. Kim, Y. I., Bae, J. S., Jung, S. H., Ahn, M. H. and Kwak, W. S., "Yiel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nt mushroom(Pleurotus ryngii, Pleurotus osteratus and 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according to mushroom species and cultivation types", J. Anim. Sci & Technol., 49(1), pp. 79-88. (2007). 

  16. Park, W. G., "Characteristics and agricultural utilization of organic resources in rural areas", Research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13). 

  17. Shin, K. S., Kim, C. H., Lee, S. E. and Yoon, Y. M.,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agricultural by-product in greenhouse vegetable crops", Korean J. Soil Sci. Fert., 44(6), pp. 1252-1257. (2011). 

  18. Kim, D. G., "Development of soil management technology using garden by-products applied to northern temperate zones", Research Report,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19). 

  19. NIAS, Korean standard feed ingredient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20. Lim, D. G.,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By-Product Fertilizer", Soil & Fertilizer., 2, pp. 28-66. (2000). 

  21. Yoon, Y. M., Seo, D. S., Kang, C. Y., Kim, W. T. and Choi. J. Y.,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recycling technology for organic waste resources", Research Report 83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