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Stereo Camera based Twin Camera Module System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2 no.6, 2019년, pp.537 - 546  

김태연 (SW Convergence Education Institute, Chosu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휴대하기 편하고 3D 콘텐츠 제작이 용이한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제안한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은 2D 스테레오 카메라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변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눈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Test Platform을 이용하여 좌, 우 두 개의 렌즈로 촬영된 스테레오 입체 영상의 좌, 우 영상 간의 시차에 따른 회전(Rotation), 기울기(Tilt)에 대한 보정을 평가하였다. 또한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의 거리오차(Depth Error)를 검증하여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을 3D 입체 영상과 준비 영상으로 변화하여 외부에 출력하면 각기 다른 3D 입체 영상 제작 방식에 따른 출력장치에 맞춰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생성된 영상을 준비 영상과 입체 영상을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해 출력하여 많은 제품에 적용하기 쉽고 간편하게 3D 입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actualizes the twin camera module system that is portable and very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3D contents. The suggested twin camera module system is a system to be able to display the 3D image after converting the inputted image from 2D stereo camer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

Keyword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휴대하기 편하고 3D 콘텐츠 제작이 용이한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제안한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은 2D 스테레오 카메라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변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이와 같은 문제점 및 제약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단안 디지털 카메라에 특성과 크기가 같은 두 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소형 3D 카메라 모듈인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고 3D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모듈을 구현하고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문제점 및 제약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단안 디지털 카메라에 특성과 크기가 같은 두 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소형 3D 카메라 모듈인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고 3D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모듈을 구현하고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epth 변화 따른 오차율을 통해 트윈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Z(Depth)값을 성능평가의 오차율 원인이라 보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물체를 나란하게 세운 뒤 오른쪽 물체를 일정 길이만큼 Z(Depth)를 변경하여 두 물체 사이의 깊이의 오차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트윈 카메라 모듈로 측정하였다.
  •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Test Platform을 이용하여 좌, 우 두 개의 렌즈로 촬영된 스테레오 입체 영상의 좌, 우 영상 간의 시차에 따른 회전(Rotation), 기울기(Tilt)에 대한 보정을 평가하였다. 또한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의 깊이 오차 (Depth Error)를 검증하여 트윈 카메라 모듈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안식 카메라 방식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스테레오 방식의 3D 입체 영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크게는 일안식 카메라 방식과 양안식 카메라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안식 카메라 방식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것으로, 두 대의 카메라 광축(Rig)을 서로 평행하게 맞추고, 두 카메라 사이의 일정한 거리만을 유지하도록 수평 배열하여 3D 입체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3D 입체 영상을 3D 입체 영상 출력장치를 통해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3D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4][5]
3D 입체 영상 기술이 최근에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3D 입체 영상 기술은 사용자들의 니즈와 맞물려 게임, 영화, 디지털 TV, 디지털 콘텐츠, 광고, 인터넷, 모바일 영역, 가상현실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와 결합되어 새로운 부가가치 및 부가산업들을 파생시키는 등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영상의 특징점 추출을 위해 SIFT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1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였다. 이는 모든 영상 프레임에서 추출의 수가 많고 일정하기 때문에 3D 공간을 복원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SIFT 알고리즘은 영상에서 코너점 등 식별이 용이한 특징점들을 선택한 후 각 특징점을 중심으로 로컬 패치에 대하여 그림 5와 같이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ae Hoon Jung, "Object Tracking Method Based on Optimized 3D Trajectory and Normalized Size Information Using Camera Calibration," Doctorate Thesis, Chaun-Ang University, 2017. 

  2. Byung Wan Han and Sung Jun Lim, “Development of HD Resolution Stereoscopic Camera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Depth of Obje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 pp. 351-357, 2013. 

  3. Jong sub Park, June Seok Hong, and Woo Ju Kim, “A Study on Intuitive IoT Interface System using 3D Depth Camera,”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2, No. 2, pp. 137-152, 2017. 

  4. Cheon Lee, Hy ok Song, Byeong ho Choi,, and Yo Sung Ho, “Multi-view Generation using High Resolution Stereoscopic Cameras and a Low Resolution Time-of-Flight Camera,”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7, No. 4, pp. 239-249, 2012. 

  5. Young soo Prak, Nam bo Hur, Kyung soo Pyo, and Chung kun Song, "A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Quality Assessment,"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 16, No. 2, pp. 321-330, 2011. 

  6. Hyoung chul Shin, Sang hoon Kim, and Kwang hoon Sohn, "Hybrid Stereoscopic Camera System,"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16, No. 4, pp. 602-613, 2011. 

  7. Jung Hyun Kim, “3D graphic-based stereoscopic camera considering visual fatig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24, No. 4, pp. 89-98, 2011. 

  8. Seon Min Rhee, Jog Moo Choi, and Soo Mi Choi, “A Method for Reproducing Stereo Images to Adjust Screen Parallax on a 3D Display,”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Vol. 16, No. 4, pp. 1-10, 2010. 

  9. Chang Yoon Kim and Woo Sik Lee, “Developing Stereo-vision based Drone for 3D Model Reconstruction Structures in Disaster Sit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6, pp. 33-38, 2016. 

  10. S. Michalik, S. Michalik, J. Naghmouchi, and M. Berekovic, " Real-time smart stereo camera based on FPGA-SoC," 2017 IEEE-RAS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Robotics (Humanoids), pp. 311-317, 2017. 

  11. Oh-Young Kwon, and Kyoung-Taek Seo, “3D Reconstruction Using a Single Camer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12, pp. 2943-2948, 2015. 

  12. A. Y. Rahman, S. S. Sumpeno, and M. H. Pumomo, "Arca Detection and Matching Usin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Method of Stereo Camera,"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 Computing, Intelligent System and Information Technology (ICSIIT), pp. 66-71, 2017. 

  13. T. Sattler, B. Leibe, and L. Kobbelt, “Efficient & Effective Prioritized Matching for Large-Scale Image-Based Locliz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 Machine Intelligence, Vol. 39, No. 9, pp. 1744-1756, 2017. 

  14. S. Avidan and A. Shashua, “ Trajectory Triangulation: 3D Reconstruction of Moving Points from a Monocular Image Sequence,”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 Machine Intelligence, Vol. 22, No. 4, pp. 348-357, 2000. 

  15. Ji Jung Jung, Gwang Lee, and Bong Keun Kim, “A Study on Stable Service of Marker 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3D Location Measurement of Beacon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2, No. 5, pp. 883-890, 201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