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파랑 해안 침식폭 예측모델을 이용한 침식한계선(ECL) 설정
Erosion Control Line (ECL) Establishment Using Coastal Erosion Width Prediction Model by High Wave Height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33 no.6, 2019년, pp.526 - 534  

박승민 ((주)혜인이엔씨 기술연구소) ,  박설화 ((주)혜인이엔씨 기술연구소) ,  이정렬 (성균관대학교 수자원대학원) ,  김태곤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verage coastline and the erosion control line introduced as the management coastline, and the average shoreline (MSL) was established from the observed coastline. Also, the median grain size and the wave height of 30-years return period were applied. The erosion control line (ECL) was establi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표해안선은 일단 결정되면 변하지 않는 해안선이나 평가해안선은 기후의 변화 그리고 유역, 연안, 해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론으로는 충분한 관측 자료의 확보나 믿을 만한 예측 수단의 개발로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그 방법론을 소개 한다. 아래 Fig.

가설 설정

  • ) 자료나 해빈축척계수(A)로부터 입사하는 고파랑의 쇄파고에 따라 해빈정선의 전진⋅후퇴의 경향을 파악 하여 침식폭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충분히 긴 시간 지속 적으로 파랑이 입사하며, 파고가 낮은 평상파가 지속될 경우 해빈단면이 1:m의 일정 경사면을 회복한다고 가정하였고, 개념에 대한 정의는 아래 Fig. 5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해역행위제한선이란 무엇인가? 연안해역행위제한선(Offshore action control line, OACL)은 연안에서 발생하는 준설공사 등과 같이 연안 표사계의 침식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공사 또는 행위를 제한하는 준설공사 등과 같이 연안 표사계의 침식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공사 또는 행위를 제한하는 해안선으로 해안선 설정은 장기간의 수심측량 자료로부터 수심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수심을 기초로 설정한다. 이를 설정하는데 깊게 관련된 수심으로는 이동한계 수심(Closure depth)이 있다.
연안해역행위제한선을 설정하는데 깊게 관련된 수심은 무엇인가? 연안해역행위제한선(Offshore action control line, OACL)은 연안에서 발생하는 준설공사 등과 같이 연안 표사계의 침식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공사 또는 행위를 제한하는 준설공사 등과 같이 연안 표사계의 침식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공사 또는 행위를 제한하는 해안선으로 해안선 설정은 장기간의 수심측량 자료로부터 수심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수심을 기초로 설정한다. 이를 설정하는데 깊게 관련된 수심으로는 이동한계 수심(Closure depth)이 있다.
연안침식관리선이 평형해안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연안침식관리선(ECL)은 해안침식의 단기적인 해안선 변화 개념으로 폭풍 및 태풍 내습시 해안 침식으로부터 주거시설, 호안 도로, 식생공간 등을 보호하기위한 해안선으로 평형해안선으로 부터 해안선 침식폭 만큼의 완충 여유폭을 설정하여 결정한다. 즉, 연안침식관리선은 평형해안선과 달리 재해적인 관점에서 고파랑이나 단기적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해안선 후퇴에 따른 해안도로 및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한 관리해안선이다. 이 해안선은 장기간 관측자료로부터 빈도분석을 통해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ean, R.G., 1977. Equilibrium Beach Profiles: U.S. Atlantic and Gulf Coasts. Technical Report No. 12,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Delaware. 

  2. Dean, R.G., 1991. Equilibrium Beach Profile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Jounal of Coastal Research, 7(1), 53-84. 

  3. Dean, R.G., Charles, L., 1994. Equilibrium Beach Profiles: Concepts and Evaluation. Report UFL/COEL-94/013, Department of Coa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University of Florida. 

  4. DEFRA. 2006. Shoreline Management Plan Guidance. PB 11726. 

  5. Kim, D.S,. Lee, K.L., 2015. Seasonal Changes of Shorelines and Beaches on East Sea Coast,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2), 147-164. 

  6. Kim, M.K., Yoon, J.S., 2010. Characteristic Analysys of Songdo Beach, Busan, Shoreline Change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4(1), 53-59. 

  7. Kim, T.K., Lee, J.L., 2018. Analysis of Shoreline Response due to Wave Energy Incidence Using Equilibrium Beach Profile Concept.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32(2), 116-122. https://doi.org/10.26748/KSOE.2018.4.32.2.116 

  8.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2017.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Coastal Erosion Management Policy. 

  9. Kriebel, D.L., Dean, R.G., 1993. Convolution Method for Time-Dependent Beach Profile Response.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Ocean Engineering, 119(2), 204-226.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93)119:2(204) 

  10. Larson, M., Kraus, N.C., 1989. SBEACH: Numerical Model for Simulating Storm-Induced Beach Change-Report 1 Empirical Foundation and Model Development. Technical Report, CERC-89-9, US Army Corps of Engineering. 

  11. Miche, R., 1944. Mouvement Ondulatoires De La Mer en Profondeur Constante ou Decroissante. Annales de Ponts et Chaussees. 

  12. Miller, J.K., Dean, R.G., 2004. A Simple New Shoreline Change Model. Coastal Engineering, 51(7), 531-556.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4.05.006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8. Development of Coastal Erosion Control Technology.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D Report. 

  14. NOAA, 2012. A Report of the National Coastal Zone Management Program: How Coastal States and Territories Use No-Build Areas along Ocean and Great Lake Shorefronts. 

  15. Park, J.C., Han, K.M., Kim, J.J., 1993. A study on the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Shoreline Change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7(1), 156-161. 

  16. Park, I.H., Lee, Y.K., 2007. Long-Term Shoreline Change and Evaluation of Total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on Hupo Beach.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1(4), 15-20. 

  17. Son, C.B., Lee, S.K., 200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oreline Change during Beach Proces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14(3), 55-60. 

  18. The Province of Gangwon. 2017. Coastal Erosion Monitoring of East Sea Report. 

  19. The Province of Gangwon. 2018. Coastal Erosion Monitoring of East Sea Report. 

  20. Van Rijin, L.C., 2010. On the Use Setback Lines for Coastal Protection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Practice, Problems and Perspectives, Concepts and Science for Coastal Erosion Management. 

  21. Western Australian Planning Commission, 2006. State Coastal Planning Policy. 

  22. Yates, M.L., Guza, R.T., O'Reilly, W.C., 2009. Equilibrium Shoreline Response: Obersrvations and Modeling.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4(C9), C09014. https://doi.org/10.1029/2009JC0053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