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항의 국민주택 건립 배경과 건축·도시적 특징
Construction Background, Architectural and Urban Characteristics of National Housing in Janghang

大韓建築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計劃系, v.35 no.12 = no.374, 2019년, pp.127 - 136  

박성신 (군산대학교 건축해양건설융합공학부 건축전공) ,  정재욱 (군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Housing in Janghang was built intensively from the mid 1970s to the early 1980s, and has become a collective complex at Jangma-ro and Shinchangdong-ro. This Company House is a typical building for employee welfare, at the same time shows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general...

주제어

참고문헌 (15)

  1. Ahn, Y. B. (1977). A Research on Optimum Space Standard for National Housing, Review of Architecture & Building Science, 21(77), 46-52. 

  2. Jeon, N. I. (2010). Spatial History of Korean Housing: 한국 주거의 공간사, Dolbegae. 

  3. Jeon, N. I., Son, S. K., Yang, S. H., & Hong, H. O. (2009). Social History of Korean Housing: 한국 주거의 사회사, Dolbegae. 

  4. Johnson, C. (2012). Bricoleur and Bricolage: From Metaphor to Universal Concept, Paragraph, 35(3), 355-372. 

  5. Kang, D. J. (2013). Exploring a Definition Of Urban Heritage with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253-267. 

  6. Kim, T. Y. (2015). A Research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old Samcheok Company Housing in Donghae City: focused on A and No. 2, 3 Houses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7(1), 19-26. 

  7. Lim, C. B. (2011). Korean Housing, Typology and History: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Dolbegae. 

  8. Pak, S. S.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arehouse in Gunsan and Its Value as Industrial Heritag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0(6), 21-40. 

  9. Park, C. S. (2017). Historical Memories of Korean Dwelling: 거주박물지, Jib. 

  10. Park, J. M., & Sung, J. S. (2012). A study on the industrial heritage in Jang hang,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2), 107-120. 

  11. Song, H. J., & Han, D. S. (2015).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Standard Design in the 1970s, Journal of KHA Conference, 232-239. 

  12. Yoon, J. S. (1977). A Future Prospect for National Housing, Review of Architecture & Building Science, 21(77), 33-37. 

  13. Yoon, J. W., & Lee, C. Y. (1997). A study on the site and floor plan type of official reside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aegu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3), 39-48. 

  14. http://futureheritage.seoul.go.kr (2019.11.20) 

  15. http://kosis.kr (2019.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