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의 정책적 목표를 중심으로 한 STEAM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as an Educa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205 - 213  

강지연 (충북대학교 교육혁신연구원) ,  진석언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이후 우리나라의 중요 교육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이후,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STEAM 교육의 정책적 목표를 중심으로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물들 중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보고하고 있는 연구물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관련 연구물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총 177편의 연구물들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연구물들로부터 추출한 통계치를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인 .69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교육의 효과성 요인별로 확인한 효과크기는 .58~.74 정도로 나타났으며, STEAM흥미, STEAM역량, STEAM학업성취, STEAM진로 등의 요인 모두에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셋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STEAM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보고한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중학생 대상 STEAM 교육의 활성화가 더욱 절실하다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11, when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STEAM education in schools, many STEAM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many researches on STEAM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This meta-analysi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STEAM education by calculating effect sizes using statistics fro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게재논문, 석박 사 학위논문, 정기간행물, 연구보고서,중에서 융합인재교육과 관련한 연구물들을 빠짐 없이 수집하는 것을 분석 대상의 수집과 관련한 1차적인 목표로 삼았다. 자료검색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우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립 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구글 스칼라 등에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에서 ‘융합인재’, ‘융합인재교육’, ‘융합교육’, ‘STEAM 교육’, ‘STEAM 프로그램’ 등의 검색어를 사용하여 기본 서지정보 및 획득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는 2011년 이래 우리나라의 교육분야 국가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보고한 연구물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물들의 효과크기 계산을 위한 STEAM 교육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국가정책으로서의 STEAM 교육의 목적 및 목표인 ‘STEAM 흥미’, ‘STEAM 역량’, ‘STEAM 학업성취’, ‘STEAM 진로’ 로 설정하고, 개별 연구들이 보고 하고 있는 통계치들을 통해 다양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는 2011년도 이후 국가정책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STEM 교육에서 출발한 STEAM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융합인 재교육’으로 명명되어 8년여 동안 교육현장에 확산되었으며, 교육전문가들에 의해 연구·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 적용되고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 교육에 적용할 STEAM 교육을 새로이 '융합인재교육' 이라 명명하고,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배양하는 교육”이라 정의하였다[5].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과학기술 분야로의 진출을 유도함으로써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강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교육방법으로 “수학, 과학 등의 기초 학문에 뿌리를 두고, 기술, 공학의 연계성과 함께 예술적 소양 함양을 목표로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향후 과학기술 분야에서 활약하게 될 인재 양성을 위한 STEM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에, 예술 및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를 키워내고자 함을 알 수 있다[6].
  • 미국의 STEM 교육에서 출발한 STEAM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융합인 재교육’으로 명명되어 8년여 동안 교육현장에 확산되었으며, 교육전문가들에 의해 연구·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STEAM 교육 프로그램들이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그 목적을 얼마나 달성해 왔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STEAM 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에 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계산하고 종합하였다.
  • 그러나, 개별 연구로부터의 효과크기 계산을 위한 통계치의 추출과 함께 개별 연구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타당성이 확보된 메타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코딩 양식을 활용한 개별 연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STEAM 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에 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계산하고 종합하였다. 최근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메타분석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으나, STEAM 교육의 효과를 정책적 목표를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STEAM 교육의 정책목표에 근거한 STEAM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STEAM 교육의 4개 효과성 요인별로 확인해 본 결과 STEAM 흥미(.65), STEAM 역량(.74), STEAM 학업성취(.63), STEAM 진로(.58) 의 4개 변인 모두에서 중간 크기 이상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STEAM 교육의 특징은? 본 연구는 2011년도 이후 국가정책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STEM 교육에서 출발한 STEAM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융합인 재교육’으로 명명되어 8년여 동안 교육현장에 확산되었으며, 교육전문가들에 의해 연구·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STEAM 교육 프로그램들이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그 목적을 얼마나 달성해 왔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STEAM 교육의 효과성 요인에 속하는 것은? 본 연구는 2011년 이래 우리나라의 교육분야 국가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STEAM 교육의 효과성을 보고한 연구물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물들의 효과크기 계산을 위한 STEAM 교육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국가정책으로서의 STEAM 교육의 목적 및 목표인 ‘STEAM 흥미’, ‘STEAM 역량’, ‘STEAM 학업성취’, ‘STEAM 진로’ 로 설정하고, 개별 연구들이 보고 하고 있는 통계치들을 통해 다양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Sanders. (2008).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2. G. Yakman (2008). $ST\Sigm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Online]. http://steamedu.com/ 

  3. J. S. Kim. (2007). Exploration of STEM Education as a New Integrated Education for Technolog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7(3), 1-29. 

  4. J. S. Kim (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2) , 124-139. 

  5.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1). Research on The 2nd National Basic Plan for Human Resources in S&T(2011-2015). 

  6. J. Y. Kim. (2012). A Study on K-12 STE(A)M policy for The Creative Talented.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7. Y. H. Choi, M. J. Kim & Y. J. Kim (2019).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on the Accessibility to STEAM Programs. Brain, Digital, & Learning, 9(3), 125-137. DOI : 10.31216/BDL.2019.9.3.125 

  8. H. I. Chae & S. G. Noh. (201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on STE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 44-57. 

  9. H. J. Noh & S. H. Paik (2014). STEAM experience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in 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375-402. 

  10. H. J. Park et al. (2012). Components of 4C-STEAM Education and a Checklist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533-557. 

  11. E. Jolly, P. B. Campbell & L. Perlman. (2004). Engagement, capacity and continuity: A trilogy for student success. GE Foundation. 

  12. A. Carnevale, N. Smith & M. Melton. (2011).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enter on Education and the Workforce. [Online]. https://cew.georgetown.edu/wp-content/uploads/2014/11/stem-complete.pdf 

  13. I. Olkin. (1996). Meta-analysis: Current issues in research synthesis. Statistics in Medicine, 15, 1253-1257. DOI : 10.1002/(SICI)1097-0258(19960630)15:12%3C1253::AID-SIM303%3E3.0.CO;2-R 

  14. D. S. Park(2007). Understanding and Applying Educational Evaluation. Seoul: Kyoyook Book. 

  15. H. Cooper & L. Hedges. (1994). Research synthesis as a scientific enterprise. In H. Cooper & L. V. Hedges(Eds.), The Handbook of reserch synthesis(pp. 3-14).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6. S. D. Hwang. (2014). Meta Analysis. Seoul: Hakjisa. 

  17. S. Wood & E. Mayo-Wilson. (2012). School-based mentoring for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22(2), 257-269. DOI : 10.1177/1049731511430836 

  18. L. V. Hedges & I. Olkin.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Orlando, FL: Academic Press. 

  19.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DOI : 10.4324/9780203771587 

  20. R. G.. Orwin & R. F. Boruch. (1983). RRT meets RDD: statistical strategies for assuring response privacy in telephone surveys. Public Opinion Quarterly, 46, 560-571. DOI : 10.1086/268752 

  21. G. C. Banks, S. Kepes & M. A. McDaniel. (2012). Publication Bias: A call for improved meta-analytic practice in the organizational sc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20(2), 182-196. DOI : 10.1111/j.1468-2389.2012.00591.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