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력단절여성의 자녀상호작용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Child Interaction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Career-interrupted Women :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13 - 22  

임은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자녀상호작용,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녀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8차년도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868명의 경력단절여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녀상호작용(β=-.184), 부부갈등(β=.427), 사회적지지(β=-.096)이며 32.3%의 설명력을 보였고, 부부갈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또한 자녀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시대에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지원하는 관점에서 이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예방·경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interaction,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interrupted women's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between 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of 8th Panel Study o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부갈등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 이 두 변인은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로 확인되었으며, 그러나 부부갈등만을 유일한 매개변수로 살피는 연구는 드물었다. 경력단절여성은 취업에서 비취업 상태가 되며 이 과정에서 자녀 양육 역할에 따른 부부관계의 상당한 변화와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부부갈등이 양육스트레스를 초래하는지, 그리고 자녀양육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부부갈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 이처럼 경력단절여성들이 자녀상호작용과 이를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 마련의 과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부부갈등은 이들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는 중대한 역학 작용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및 부부갈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인과관계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절벽 시대’에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기반으로 예방 및 경감 대책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여성의 경제활동 수준을 향상시키면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경력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일-가정 양립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녀관련 변인, 배우자관련 변인, 환경관련 변인 중 각각 자녀상호작용,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를 주요한 예측 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수 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자녀요인인 자녀상호작용과 부부요인의 부부갈등, 그리고 환경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꼽는다[8]. 자녀상호작용의 경우 경력단절여성에게 특히 초기 단계에 육아가 익숙하지 않아 즉각적인 반응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9].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경력이 단절된 초기 단계에 심하다가 점차 기울기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다[6]. 그런데 경력단절 초기단계에 양육스 트레스가 높은 여성의 경우 부정적인 자아형성으로 경력 포기 뿐만 아니라 향후 출산포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
부부갈등이 생기면 아이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경력단절여성들은 이른바 독박육아를 떠맡게 되고, 부부관계에서 이전과 다른 힘과 역할의 불균형으로 부부갈등이 일어난다. 부부 사이에 불화가 생기면 어머니는 신체적, 정서적 에너지가 고갈되며 정서적으로 지친 나머지 아이의 정서적 욕구를 감당하기 어려 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는다[11]. 이는 첫째 아이가 태어난 후에 결혼생활 만족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 (2016). '2016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ry. 

  2. M. J. Kang. (2014). An Analysis Effects on Re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3. J. M. Hwang. (2014). Family?Nation?Society Reproduction, Sociology of families and intimacy. Seoul : Dasan Books. 

  4. H. J. Moon. (2004).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2(11), 109-122. 

  5. J. H. Seo & J. K. Kim. (2012).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fancy Maternal Parenting Stres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3, 101-121. 

  6. S. R. Park, B. R. No, H. J. Park & S. H. Yi. (201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rajectorie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ren's Temperament and Internalizing Problems: Multiple Group Ananlysi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9(1), 119-148. 

  7. H. K. Yom, J. S. Kim & E. E. Yim. (2019).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Trajectories and Causal Structure of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3(2). 

  8. M. H. Lim & M. J. Lee.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9(4), 147-178. 

  9. Clarke-Sterwart. K. A. (1988). "The effects of infant day care reconsidered" reconsidered: Risks for parents, children, and researhers. Early Child Research Quaterly, 3(3), 293-318. DOI :10.1016/0885_2006(88)90006-3. 

  10. Phillippe Aries (2003), (L)enfant et la vie famillale sous l'ancien regime. Seoul: Saemulgyoul Books. 

  11. John W. Jacobs. (2014), All You Need is Love and Other Lies About Marriage: How to Save Your Marriage Before It's Too Late, Seoul: HAKJISA PUBLISHER. 

  12. K. I. Choi. (2019). An analyzing of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with early children: Using API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 417-423. DOI :10.14400/JDC.2019.17.5.417. 

  13. Y. J. Lee & M. J. Jin. (2013). Social Capital and Parental Stress of Marri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Varitions by Employment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51(2), 229-239. 

  14. M. A. Kuk. (2018). Career-interrupted Women, Why Did They Quit Their Jobs? Journal of Women's Studies, 28(1), 251-282. 

  15. G. H. Shin & H. S. Shim. (2018).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Experiences: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227-237. DOI :10.15207/JKCS.2018.9.12.227. 

  16. K Nina & C. Alice. (1996). Mother-infant Reengagement Following the Still-face: The Role of Maternal Emotional Availiability in Infant Affect Regulation,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19(3), 259-370. DOI :10.1016/S0163_6383(96)90034_X. 

  17. E. H. Lee & Y. J. Yang. (2018).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37-44. DOI :10.22156/CS4SMB.2018.8.2.037. 

  18. B. John.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 Basic Books. 

  19. A. N. Kim & Y. S. Kwon. (2014).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375-384. DOI :10.14400/JDC.2014.12.10.275. 

  20. van IJzendoom, M. H. (1995).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parental Responsiveness, and Infant Attachment: A meta-analysis 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7(3), 387-403. DOI :10.1037/0033_2909.117.3.387. 

  21. R. Abidin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 :10.1207/s15374424jccp2104_12. 

  22. M. R. Jung, B. S. Lee, J. Y. Kwon, S. K. Park & E. Y. Kan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 715-728. DOI :10.5934/KJHE.2012.21.4.715. 

  23. S. M. Kang & J. A. Park. (2019). The Effect of Mather's Child Rearing Behavior on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122-132. DOI :10.22156/CS4MB.2019.9.10.122. 

  24. S. N. Seo, S. G. Lee & S. H. Lim. (2012).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Journal Digital Convergence, 10(8), 327-333. DOI :10.14400/JDPM.2012.10.8.327. 

  25. EBS DocuPrime, Mother Shock: #3 I am Mom, 2011.6. 

  26. J. M. Gottman & C. I. Notarius. (2002). Marital Research in the 20th Century and a Research Agenda for the 21st Century, Family Process, 41(2), 172. 

  27. C. H. Oh. (2018). Sociology of Marriage & Parenting, Humanist Publishing. 

  28. J. H. Keum & D. S. Kim. (2014).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52(2), 141-150. 

  29. H. Y. Min & Y. M. Lee.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rital Conflict, Child-rearing Stress and Affection -Rejection Parenting for Mothers of Preschoole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27(6), 203-213. 

  30. S. W. Seo & D. K. Lee. (2013).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and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5), 279-298. 

  31. J. H. Park & M. S. Lee. (2014). The Effect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on Depression in Their Transitional Perio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32(3), 45-63. 

  32. H. Moon & H. S. Kang. (2018).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logical Factors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421-428. DOI :10.15207/JKCS.2018.9.12.421. 

  3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DOI :10.1097/00006842_197609000_00003. 

  34. H. Y. Baek. (2012).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ged Participating in Senior Citizen's Cent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8(4), 73-92. 

  35. R. Jacobson. (1986). Female Alcoholics: a contrlled Ct brain scan and clin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DOI :10.1111/j.1360_0443.1986.tb00386.x. 

  36. C. A. Chun & S. Y. Park. (1996).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34(5), 115-130. 

  37. E. H. Ju & Y. Lee. (2001).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Stress of Japanes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Human Ecology, 15, 89-106. 

  38. J. Greenberg. (1990). Employee theft as a reaction to underpayment inequity: The hidden cost of pay cu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5), 561-568. DOI :10.1037/0021_9010.75.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