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지향성과 창의적 사고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전문지식과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xpertise and motivation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171 - 179  

김현우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송찬섭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다정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신호균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직에서 지식의 습득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식의 습득과 관련된 변수 중 학습지향성을 선정하여 이를 통해 구성원이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지향성,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능력의 매개 과정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대구·경북에서 제조업 종사자을 대상으로 296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계층적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 결과, 학습지향성은 창의적사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문지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의 발현에 대해 구성요소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고, 학습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시사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식의 함양을 통해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조직 관리 방안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knowledge acquisition on creativity in an organization. We selected the learning orientation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ivation in the mediating process of learning orientation, profes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을 발현하는 구성요인과 선행변수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지향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지향성이 창의성의 요인들과 관계를 세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결과적으로 학습지향성은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은 전문지식을 통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기는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지향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지향성이 창의성의 요인들과 관계를 세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창의성의 발현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술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창의성의 구성요인인 창의적 사고능력, 전문지식, 동기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았으며 이에 더해 환경요인으로 학습지향성이 미치는 영향도 함께 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습지향성은 창의적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은 전문지식을 통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에 앞서,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신뢰성은 Cronbach-α 계수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3. 전문지식은 창의적 사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지향성이란? 학습지향성은 조직의 구성원에게 학습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직의 문화이다[20]. Baker & Sinkula(1999)가 개발한 문항을 사용하여 이를 측정하였으며, Likert의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로 총 6개 문항을 측정하였다[18].
학습지향성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학습지향성은 학습몰입(Commitment to learning), 비전공유(Shared vision), 개방성(Open mindedness)으로 구성된다[21]. 학습몰입은 구성원들이 학습활동을 당연하게 여기고 높은 수준의 가치로써 받아들이는 것이다.
창의성(Creativity)의 원인변수는 어떻게 확대되고 있는가? 창의성(Creativity)은 개인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3], 관련 연구들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주로 다뤄지는 원인 변수는 과거 성격[3]이나 인지능력[4], 지능[5], 내재적 동기[6, 7]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서 리더십[8, 9], 기업가정신[10], 흡수역량[11] 등의 조직환경으로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Tang, C. & Ye, L. (2015). Diversified knowledge, R&D team centrality and radical creativity.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24(1), 123-135. 

  2. Im, S. & Workman Jr, J. P. (2004). Market orientation, creativity,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high-technology firms. Journal of Marketing, 68(2), 114-132. 

  3.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4. Hogarth, R. M. (1987). Judgement and choice: The psychology of decision. 

  5. Getzels, J. W. & Jackson, P. W. (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Explorations with gifted students. 

  6. Amabile, T. M. (1997).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1), 39-58. 

  7. Mumford, M. D. & Gustafson, S. B. (1988).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1), 27. 

  8. Lee, S. K., Noh, Y. S. & Kang, E. K.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to Innovation Behavior: The moderate effect of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4), 69-77. https://doi.org/10.14400/JDC.2018.16.4.069 

  9. Cheung, M. F. Y. & Wong, C. S. (2011).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der support, and employee creativity.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32(7), 656-672. https://doi.org/10.1108/01437731111169988 

  10. Cho, Y. H., Han, B. C., Kim, E. K., Song, C. & Lee, S. K. (2018).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ivation i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bsorption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in th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243-256. https://doi.org/https://doi.org/10.14400/JDC.2018.16.12.243 

  11. Han, B., Cho, Y., Song, C., Kim, E. & Lee, S. (2018).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Absorptive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87-197. https://doi.org/https://doi.org/10.14400/JDC.2018.16.10.187 

  12.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 

  13. Jang, E. Y., Lee, K. H. & Park, D. J. (2013).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on creativ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5), 115-132. 

  14. Pack, J. W,, & Son, S. Y. (2016). Authentic Leadership and Creativ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3 (4), 15-34. 

  15. Malik, M. A. R., Butt, A. N. & Choi, J. N. (2015). Rewards and employee creativ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creative self­efficacy, reward importance, and locus of contro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6(1), 59-74. 

  16. Baek, Y, J. & Kim, E. S. (2012). Individual and collective creativ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networks. In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111-125. 

  17. Lee. S. P, & Kim, S. H. (2016).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reativity: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Trus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3(1), 381-397. 

  18. Kim, K. H. (2008). Caus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Behavior,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SMEs,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Hurley, R. F. & Hult, G. T. M. (1998).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 integ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Marketing, 62(3), 42-54. 

  20. Baker, W. E. & Sinkula, J. M. (1999). The synergistic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7(4), 411-427. 

  21. Sinkula, J. M., Baker, W. E. & Noordewier, T. (1997). A framework for market-based organizational learning: Linking values, knowledge, and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5(4), 305. 

  22. DiBella, A. J., Nevis, E. C. & Gould, J. M. (1996).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3(3), 361-379. 

  23. Calantone, R. J., Cavusgil, S. T. & Zhao, Y. (2002). Learning orientation,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1(6), 515-524. 

  24. Lee, H. B. & Lee, S. C. (2008). A Study on Strengthening of Learning Orientation for Environmental Organizations'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Korean Organization Science Bulletin, 5(3), 1-27. 

  25. S. H. On, K. H. Park & Y. K. Choi.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n the Quality Commitment of Employee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3), 1323-1346. 

  26. Khedhaouria, A., Montani, F. & Thurik, R. (2017). Time pressure and team member creativity within R&D projects: The role of learning orientation and knowledge sourc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5(6), 942-954. https://doi.org/10.1016/j.ijproman.2017.04.002 

  27. Gray, P. H. & Meister, D. B. (2004). Knowledge sourcing effectiveness. Management Science, 50(6), 821-834. 

  28. Gray, P. H. & Meister, D. B. (2006). Knowledge sourcing methods. Information and Management, 43(2), 142-156. https://doi.org/10.1016/j.im.2005.03.002 

  29. Valentine, M. A., Staats, B. R. & Edmondson, A. C. (2014). Competing effects of individual and team experience on knowledge sourcing behavior. Harvard Business School. 

  30. Kim, H. J. & Seol, H. D. (2014). Mediating Effects of Integrative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5(4), 223-247. 

  31. Hang, Y. M. & Lee, K. C. (2016).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Learning about Entrepreneurship on Creativit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1(5), 165-174. 

  32. Cang, J. Y. & Koo, J. S. (1998). The Effects of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2(2), 39-77. 

  33.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34. VandeWalle, D. (199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domain goal orientation instru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7(6), 995-1015. https://doi.org/10.1177/0013164497057006009 

  35. Kostopoulos, K. C. & Bozionelos, N. (2011). Team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learning: Psychological safety,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36, 385-415. https://doi.org/10.1177/1059601111405985 

  36. Choi, J. I. (1995). A Study on Determinants of Group Creativity .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7. Kim, H. S.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ity diagnostic measurement too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4), 269-303. 

  38.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 

  39. Kim. I., Yoo, K. & Kim, Y.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Venture Enterprises on the Increase Firms' Revenu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29-341. https://doi.org/https://doi.org/10.15207/JKCS.2017.8.12.329 

  40. Pyo, H. I. (1999). WHAT STRATEGY AFFECTS TO R&D IN MANUFACTURING SMEs?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21(2), 35-62. 

  41. Sim, W., Jang, E. & Noh, K. (2019).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Sub-factors on Innovative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5), 104-116.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5.104 

  42. Koh, Y. H. & Song, C. S.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R&D capac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of administrative position -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orien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187-197. https://doi.org/10.14400/JDC.2019.17.10.187 

  43. Baumeister, R. F., Bratslavsky, E., Muraven, M. & Tice, D. M. (1998).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5), 1252-1265. 

  44. Song, C. S., Lee, S. K., Kim, Y. K. & Kang, E. G.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to Goal Setting in the ag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Self-regulatory depletion and non-depletion gro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51-164. https://doi.org/10.14400/JDC.2016.14.3.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