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록 공중합체 3차원 패턴의 제조 방법 및 그 구조 특성
Fabrication of Free-Standing Three-Dimensional Block Copolymer Patterns on Substrate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9 no.12, 2019년, pp.804 - 811  

최홍균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mportance of three-dimensiona (3D) nano patterns and structures has recently emerged, interest in the study of 3D structures of block copolymers has increased. However, most existing studies on block copolymer 3D patterns on substrates are limited to simple 3D structures such as a multi-la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크기와 형태의 주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의 블록공중합체 3차원 구조를 기판 위에 free-standing한 형태로 제조하고 그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사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층의 2차원 블록공중합체 패턴과 3차원 블록공중합체 패턴이 연결된 구조를 제조하고 차원이 다른 두 종류의 나노구조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하지만 향후 블록공중합체 3차원 패턴의 보다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3차원 블록공중합체 패턴이 기판 위에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크기와 형태의 주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의 블록공중합체 3차원 구조를 기판 위에 free-standing한 형태로 제조하고 그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사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층의 2차원 블록공중합체 패턴과 3차원 블록공중합체 패턴이 연결된 구조를 제조하고 차원이 다른 두 종류의 나노구조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기존의 블록공중합체 3차원 패턴에 관한 연구는 기판 전체에 균일한 다층 형태의 단순한 구조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 리소그라피로 제작한 주형과 전사방법을 사용하여 기판 위에 free-standing한 블록 공중합체의 3차원 패턴을 구현하는 실험 방법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 3차원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 폭이 넓은 주형에서 제조된(w/L0 >5) 블록공중합체 3차원 구조의 경우는 자유 기판에서 나타나는 단순 적층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지만 좁은 폭의 주형에서(w/L0 <5) 제조된 3차원 구조의 경우는 단순 적층 구조와는 다른 위 아래 층 구조가 서로 연결되어있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3차원 구조가 형성되었다.
  • 향후 블록공중합체의 3차원 패턴의 실제적 응용을 위해서는 기판 위에서 3차원 구조가 기존의 2차원 구조와 연결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따라서 3차원 구조와 2차원 구조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사 공정 중 필름을 뒤집어 전사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기판 위에 2차원 구조와 3차윈 구조가 연결된 패턴을 제조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Fig.

가설 설정

  • 1(a)(i) 공정과 마찬가지로 용액 어닐링 공정 진행 후 전사를 위해샘플을 buffered oxide etchant 용액 위에 띄워 주형 및 실리키층을 녹여서 고분자 필름을 기판과 분리 시킨다.29)새로운 실리콘 기판으로 수면 위의 고분자 필름을 전사시키는데 이 때 기판의 전사될 면을 수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향하여 필름을 전사하면 상하 반전이 되어 전사된다. 결과적으로 기판에 블록공중합체의 2차원 단층구조가 형성되고 이에 연결된 3차원 구조가 동시에 구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rected self-assembly(DSA)기술이란? 특히 블록공중합체는 경제적인 비용으로 기존 포토리소그라피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미세 나노패턴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패턴을 잘 제어한다면 기존의 포토리소그라피 방법의 해상도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리소그라피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9) 이에 따라 주형(template)를 이용한 블록공중합체 미세 패턴의 제어 방법인 directed self-assembly(DSA)기술이 제시되어 최근 십여 년간 이 분야에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4,9–11) 그 동안 DSA를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에 관한 연구는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상에 맞게 평면(기판)에서의 라인, 닷 패턴 등 2차원 패턴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왔다.
블록공중합체의 장점은? 블록공중합체는 미세 상분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나노패턴 및 나노 구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동안 에너지 소자,1,2) 전자 소자,3,4) 플라즈모닉 센서5,6) 및 멤브레인 필터7,8)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연구되어왔다. 특히 블록공중합체는 경제적인 비용으로 기존 포토리소그라피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미세 나노패턴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패턴을 잘 제어한다면 기존의 포토리소그라피 방법의 해상도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리소그라피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DSA를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에 관한 연구는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상에 맞게 평면(기판)에서의 라인, 닷 패턴 등 2차원 패턴 형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물리적 한계가 가까워짐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도입되었나?? 4,9–11) 그 동안 DSA를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에 관한 연구는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상에 맞게 평면(기판)에서의 라인, 닷 패턴 등 2차원 패턴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선폭을 줄이는 방법을 통한 2차원 패턴의 집적도 향상이 물리적 한계에 가까워짐에 따라 반도체 업체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3D NAND, FinFET 등 3차원 구조를 소자 공정에 응용하여 집적도를 높이는 3차원 설계를 도입하였고 향후 3차원 구조의 소자는 더욱 다양하게 응용 및 발전될 것이다. 이에 따라 DSA 의 차세대 리소그라피 공정으로써 응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블록공중합체의 3차원 패턴에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 S. Young, W. F. Kuan and T. H. Epp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52, 1 (2014). 

  2. C. K. Jeong, K. M. Baek, S. Niu, T. W. Nam, Y. H. Hur, D. Y. Park, G. T. Hwang, M. Byun, Z. L. Wang, Y. S. Jung and K. J. Lee, Nano Lett., 14, 7031 (2014). 

  3. D. J. C. Herr, J. Mater. Res., 26, 122 (2011). 

  4. H. C. Kim, S. M. Park, W. D. Hinsberg and I. R. Division, Chem. Rev., 110, 146 (2010). 

  5. C. Hagglund, G. Zeltzer, R. Ruiz, I. Thomann, H. B. R. Lee, M. L. Brongersma and S. F. Bent, Nano Lett., 13, 3352 (2013). 

  6. S. K. Cha, J. H. Mun, T. Chang, S. Y. Kim, J. Y. Kim, H. M. Jin, J. Y. Lee, J. Shin, K. H. Kim and S. O. Kim, ACS Nano, 9, 5536 (2015). 

  7. S. P. Nunes and A. Car, Ind. Eng. Chem. Res., 52, 993 (2013). 

  8. H. Uehara, M. Kakiage, M. Sekiya, D. Sakuma, T. Yamonobe, N. Takano, A. Barraud, E. Meurville and P. Ryser, ACS Nano, 3, 924 (2009). 

  9. S. Ji, L. Wan, C. C. Liu and P. F. Nealey, Prog. Polym. Sci., 54-55, 76 (2016). 

  10. C. Cummins, T. Ghoshal, J. D. Holmes and M. A. Morris, Adv. Mater., 28, 5586 (2016). 

  11. M. Luo and T. H. Epps, Macromolecules, 46, 7567 (2013). 

  12. B. Yu, P. Sun, T. Chen, Q. Jin, D. Ding, B. Li and A.-C. Shi, Phys. Rev. Lett., 96, 138306 (2006). 

  13. B. Yu, B. Li, Q. Jin, D. Ding and A.-C. Shi, Soft Matter, 7, 10227 (2011). 

  14. C. T. Bezik, G. P. Garner and J. J. De Pablo, Macromolecules, 51, 2418 (2018). 

  15. T. Higuchi, A. Tajima, K. Motoyoshi, H. Yabu and M. Shimomura, Angew. Chemie. Int. Ed., 47, 8044 (2008). 

  16. J. M. Shin, M. P. Kim, H. Yang, K. H. Ku, S. G. Jang, K. H. Youm, G. R. Yi and B. J. Kim, Chem. Mater., 27, 6314 (2015). 

  17. R. Deng, F. Liang, W. Li, Z. Yang and J. Zhu, Macromolecules, 46, 7012 (2013). 

  18. L. S. Grundy, V. E. Lee, N. Li, C. Sosa, W. D. Mulhearn, R. Liu, R. A. Register, A. Nikoubashman, R. K. Prud'homme, A. Z. Panagiotopoulos and R. D. Priestley, ACS Nano, 12, 4660 (2018). 

  19. F. Rose, J. Bosworth, E. Dobisz and R. Ruiz, Nanotechnology, 22, 350603 (2011). 

  20. J. Y. Kim, B. H. Kim, J. O. Hwang, S.-J. Jeong, D. O. Shin, J. H. Mun, Y. J. Choi, H. M. Jin and S. O. Kim, Adv. Mater., 25, 1331 (2013). 

  21. J. W. Jeong, W. I. Park, L. M. Do, J. H. Park, T. H. Kim, G. Chae and Y. S. Jung, Adv. Mater., 24, 3526 (2012). 

  22. A. Rahman, P. W. Majewski, G. Doerk, C. T. Black and K. G. Yager, Nat. Commun., 7, 13988 (2016). 

  23. I. Manners, R. A. Register, R. L. Davis, A. Nunns, S. Y. Kim, J. Gwyther and P. M. Chaikin, Nano Lett., 14, 5698 (2014). 

  24. S. K. Cha, D. Yong, G. G. Yang, H. M. Jin, J. H. Kim, K. H. Han, J. U. Kim, S.-J. Jeong and S. O. Kim, ACS Appl. Mater. Interfaces, 11, 20265 (2019). 

  25. J. Y. Kim, B. H. Kim, J. O. Hwang, S.-J. Jeong, D. O. Shin, J. H. Mun, Y. J. Choi, H. M. Jin and S. O. Kim, Adv. Mater., 25, 1331 (2013). 

  26. N. L. Y. Wu, X. Zhang, J. N. Murphy, J. Chai, K. D. Harris and J. M. Buriak, Nano Lett., 12, 264 (2012). 

  27. D. Sundrani, S. B. Darling and S. J. Sibener, Nano Lett., 4, 273 (2004). 

  28. H. Yabu, T. Higuchi and H. Jinnai, Soft Matter, 10, 2919 (2014). 

  29. S. Y. Yang, I. Ryu, H. Y. Kim, J. K. Kim, S. K. Jang and T. P. Russell, Adv. Mater., 18, 709 (2006). 

  30. J. Chai, D. Wang, X. Fan and J. M. Buriak, Nat. Nanotechnol., 2, 500 (2007). 

  31. N. Materials, S. I. Synthesis and B. C. Templates, ACS Nano, 5, 4600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