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유산 아카이브 통합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Services for Cultural Heritage Archive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9 no.1, 2019년, pp.117 - 136  

박희진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산 관련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문화유산 정보자원을 보다 일반인에게 쉽게 접근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유산 아카이브 통합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을 관리, 보존하고 있는 문화재청 소속기관의 아카이브 현황을 분석하고 활용가치가 높은 문화유산 정보자원의 통합 서비스를 위해 다중개체 모형의 문화유산 메타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국내외 데이터 연계 모델 표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of integrated services for Cultural Heritage Archives that belo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archives of major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at manage and preserve Korean cultu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관련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문화유산 정보자원을 보다 일반인에게 쉽게 접근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유산 아카이브 통합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화재청의 주요 소속기관 및 유관 기관의 아카이브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화유산 정보자원의 통합 서비스를 위해서는 문화유산 정보자원의 관리 차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관 아카이브와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특성을 반영하고 다양한 유형의 아카이브 자원을 포괄할 수 있도록 과 같이 문화유산, 행위주체, 업무, 기록정보자원을 메타데이터의 주요 개체로 한 다중개체 모형 메타데이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화유산 아카이브의 통합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의 공유,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자 문화재청 소속기관 및 관련 기관의 기록정보자원 생산시스템과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현황을 조사하였다. 문화재청의 정보시스템은 <그림 1>과 같이 전자행정시스템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협업포털, 행정포털과 외부 유관기관 시스템으로 연계되었다.
  • 셋째, 문화유산에 연관된 인물과 사건에 관한 전문 자료 뿐 아니라, 다양한 의미 관계에 따라 관련된 자료들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일반인으로부터 전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문화유산자원 분야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한다.
  • 085: 문화유산 DB 연계를 위한 맥락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 및 형식’이 제정되었다. 이 데이터 모델 표준은 각기 상이한 메타데이터 구조로 보존되어 있는 문화유산 관련 디지털 정보 자원 간 맥락적 연계를 위해 개발되었다. 표준에는 문화유산 메타데이터 구성 요소와 함께, 문화유산 통합 데이터 모델 구조(KCHDM, Korea Cultural Heritage Data Model), 맥락 클래스 구성 요소 및 기술형식, 맥락 프로퍼티 구성 요소 및 기술형식이 포함되어 있다(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5).
  • 이를 통해 문화재청 소속·유관기관 문화유산 정보 통합검색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중요 전적문화재 원문DB 구축을 기반으로 한 국역 서비스로 기록유산 이해 증진과 학술 연구 자료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
  • 문화재청 소속 및 관련기관의 메타데이터 분석 결과, 다양한 문화유산 아카이브 자원을 포괄할 수 있으며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중개체 모형 문화유산 아카이브 메타데이터 개발을 제안하였다. 국제적인 기록 메타데이터 표준은 ‘기록’을 중심으로 한 평면적이고 단일한 엔티티 모델에서 벗어나, 기록과 맥락정보들을 엔티티로 도출하고 엔티티 간의 다양한 관계를 함의하는 다중 엔티티 모델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 따라서 문화유산 정보자원의 통합 서비스를 위해서는 개별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의 디지털 개체를 중심으로 국내외 다양한 문화유산 관련 기관의 정보자원과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유산 아카이브에 적용 가능한 국내외 데이터 연계 모델을 검토하였다.
  • 문화재청은 현재 보호하고 보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 문화유산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문화유산 아카이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재청 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과 관련하여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문화유산 아카이브의 통합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문화유산정보가 가지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문화유산기관에서 생산, 관리하는 다양한 문화유산정보의 내용과 매체를 반영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화유산 기관들이 하고 있는것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화유산 기관들은 훼손 위험이 있는 문화유산의 디지털화 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 도면, 3D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 정보자원을 생산, 축적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유산 정보자원은 후대 문화유산의 복원 및 보존에 있어 필수적일 뿐 아니라, 연구및 교육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문화유산의 아카이브는 어떤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는가? 또한 문화유산의 아카이브는 기존의 문화유산을 보호하여 전승하고자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적극적 활용을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향유권을 확대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재청에서도 소속기관및 유관기관, 지자체의 활용가치가 높은 문화유산 정보자원의 접근과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문화재청, 2017).
국립문화재연구소 내 미술문화재연구실이 하는 업무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내 고고연구실은 지표조사 사업 조사성과인 전국문화유적총람을 CD로 제작․배포하고 한국고고학사전 및 고고학저널에 대한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술문화재연구실은 금석문 종합영상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을 통해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금석문의 텍스트(원문․번역․주석, 개관, 참고문헌목록) 및 이미지(탁본 및 실물)자료 등을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자연문화재연구소는 식물 표본 데이터베이스, 지질 표본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축하여,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문화유산 기록 정보자원과 문화유산연구지식 포털을 통해 학술, 연구 콘텐츠로 제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tional of Korea Archives (2011). NAK/S 14: 2011(v.2.0) National Archives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Rules, Version 2.0. 

  2. Kim, Soo Jung & Kim, Yong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Based on FRB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19-14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119 

  3. Kim, Heesoon, Lee, Myeong-Hee, Song, Hyun-Sook, & Chung, Heesun (2013). Chung Developing Digital Contents through Ontology-based Corpus Generation of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The Case of Religious Architecture Located in the Former Hanseongbu.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6(1), 57-70.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a). Basic Plan for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2017-2021.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b). 3D Printing Manual of Cultural Heritage.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Heritage Policy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7. Oh, Sung Hwan (2013).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Digital Contents in Cultural Heritag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8. Wie, Ju Young (2010). The Present State of the Metadata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Its Problem: Focused on the Craftwork. Humanities Content, 17, 499-531. 

  9. Lee, So-Yeon (2012). The Future We Make Together: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in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3), 235-256. https://doi.org/10.3743/KOSIM.2012.29.3.235 

  10. Lee, Ju Yeon (2010). A Case Study on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0(2), 193-214. 

  11. Jang, Yuni (2014).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Digital Archives of Modern archives in Incheon.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20, 147-192. 

  12.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15). TTAK.KO-10.0850: Context-based Metadata Model for Cultural Heritage Data Aggregation. 

  1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Korea DB utilization and accessusing content convergence. Dae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4. Han, Hui-Jeong, Kim, Tae-Young,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Schema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ased on Multiple Entity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329-35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329 

  15. Han, Hui-Jeong, Oh, Hyo-Jung, Kim, Tae-Young,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95-1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 

  16. 문화재보호법 (법률 제15639호). 

  17.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gogung.go.kr/ 

  18.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archive.gugak.go.kr/ArchivePortal/index.jsp 

  19. 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www.nihc.go.kr/nihchome/main/Index.do?mnKO_01 

  20.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portal.nrich.go.kr/ 

  21.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www.museum.go.kr/ 

  2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www.much.go.kr/ 

  23. 문화재청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8. 12. 31. http://www.ch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