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구술기록의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Elements for Management of Oral History Archives about Sexual Slavery by Japan's Military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9 no.1, 2019년, pp.225 - 250  

봉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전공) ,  남영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구술기록은 중요한 증거로써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피해상황이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와 여러 기관의 구술자료에 대한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는 총 16개의 상위요소와 각각 그에 따른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상위요소들은 6개의 '필수요소'와 10개의 '선택요소'로 구성하였다. 필수요소는 기록물의 제목(Title), 면담날짜(Date), 기록물의 형태(Format), 구술기록을 생산한 구술자(Creator), 구술기록의 면담내용(Content), 기록물의 권한(Rights) 요소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al record related to the sexual slavery by Japan's military is considered important evidence as it can grasp the damage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 at that time. Theref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s oral records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군 ‘위안부’란 무엇인가? 일본군 ‘위안부’란 일제 강점기시기에 일본군 ‘위안소’로 연행되어 일제에 의해 조직적으로, 강제적으로, 반복적으로 성폭행 당한 여성들을 일컫는다.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킨 이후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라는 명목으로 ‘위안소’를 설치하였고 많은 여성들이 강제 동원되어 일본군의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했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구술기록을 통해 어떤 것을 파악할 수 있는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구술기록은 중요한 증거로써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피해상황이나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와 여러 기관의 구술자료에 대한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였다.
공공기관이 생산하지 않거나 접수하지 않은 기록물 가운데 구술기록은 유일적 가치로 인해 중요한 공공기록물인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기관이 생산하지 않거나 접수하지 않은 기록물 가운데 구술기록은 유일적 가치로 인해 중요한 공공기록물이다. 왜냐하면 공공 영역에서 해당 기록물을 생산함에 있어서 그 생산주체가 불리하거나 회피하기 위해 수행한 업무에 대해서 구술을 통해 회피하거나 공개하지 않는 사실과 해당 순간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ang, Jeong-sook (2015). Do You Know The Comfort women of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 Seoul: History Space. 

  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4). Review and Method, Oral. Oral Record. Oral History. Gwache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3. Kwon, Mi-hyun (2004). A Study on Archival methodology for Oral History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112-144. 

  4. Nam, Young-joo (2017). Memory Replay and Memory Expansion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On the Cases of National Women's Historical Hall.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21, 8(3), 129-148. 

  5. Nam, Tae-woo & Lee, Seung-min (2010).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oncept of Metadata.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73-393. https://doi.org/10.4275/KSLIS.2010.44.4.373 

  6. Nam, Tae-woo & Lee, Seung-min (2014). Resource description and metadata.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 Noh, Young-hee (2013). Introduction to Metadata. Seoul: JoEunGeulTeo. 

  8. Seo, Yeon-su, Nam, Yeon-hwa, Park, Ji-won, Um, So-young,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3), 99-1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099 

  9. Sun, Young-ran, Kim, Yong-kyung, Lee, Soo-won, Kim, Eun-hyung, Lee, Hyun-jeoung, Lee, Mi-young, Kim, Se-hee, & Yeo, Sang-ah (2006). Archival control for oral history. Seoul: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Archives and Records. 

  10. Youn, Eun-ha, Bae, Sam-yeol, Shim, Gab-yong, & Kim, yong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Schem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1), 25-51.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1.025 

  11. Yoon, Taek-lim (2010). Oral history, a memorable history. Seoul: Arche. 

  12. Yoon, Taek-lim & Ham, Han-hee (2006). Oral History methodology for writing new history. Seoul: Arche. 

  13. Lee, Jung-yeoun (2009).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 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163-18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163 

  14. Lee, Jung-yeon, Lee, Jung-yeoun, Ryoo, Jong-duk, & Lee, Jong-yoon (2011). A Study on metadata structuralization for context representation of women's oral life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0, 57-88. 

  15. Lee, Jin-kyung & Kim, Hee-Jung (2009). A Study of Metadata Element Design for Broadcasting Records Management.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269-29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69 

  16. Lee, Ho-sin (2012). Metadata Element Design for Oral History Resource: Focus on Oral History Project for Korean Contemporary History of Arts.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3(1), 107-141. 

  17. Chung, Yeon-kyoung & Choi, Yoon-kyung (2017).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digital archive system for oral history. Seoul: Arche. 

  18. Cho, Hyun-yang & Jang, Bo-seong (2013). A Study on Designing the Metadat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Individually Managed Presidential Records.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105-12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105 

  19. Korea Oral History Study (2005). Oral history: Methods and examples. Seoul: Sun-in. 

  20. Korea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Archive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Historical criticism. 

  21. Han, Hye-In (2017). [Issue brief] The way to remember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GenderReview, 47, 52-62. 

  22. Baca, M. (2003). Practical Issues in Applying Metadata Schemas and Controlled Vocabularies to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6(3-4), 47-56. 

  23. Bond, Trevor James and Michael Walpole (2006). Streaming audio with synchronized transcripts utilizing SMIL. LIBRARY HI TECH, 24(3), 452-462. 

  24. Coles, Laura. and AABC (1988). A manual for small archives. 

  25. Dublin Core Metadata Initiative. DCMI Element Set. 

  26.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2000). ISAD (G): General International Strandard Archival Description. 2nd ed., Ottawa 

  27. Matters, Marion E. (1995). Oral History Cataloging Manual.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8. Maze, Elinor A. (2012). Metadata: Best Practices for Oral History Access and Preservation. In D. Boyd, S. Cohen, B. Rakerd, & D. Rehberger (Eds.), Oral history in the digital age. Institute of Library and Museum Services. Retrieved from http://ohda.matrix.msu.edu/2012/06/metadata/ 

  29. PBCore: Public Broadcasting Metadata Dictionary Project. [online]. http://pbcore.org/ 

  30. Ritchie, Donald A. (2003). Doing Oral History: A Practical Guide 2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1. Simpkins, Terry (2001). Cataloging Popular Music Recor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1(2), 1-35. 

  32. Wynne, S. (2009). Cataloging Oral Histories: Creating MARC Records for Individual Oral History Interview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6), 561-582. 

  33. 나눔의 집. 검색일자: 2018. 10. http://www.nanum.org/ 

  34.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검색일자: 2018. 10. http://www.hermuseum.go.kr/ 

  35. 일본군 '위안부'. 동북아역사재단. 검색일자: 2018. 10. https://www.nahf.or.kr/gnb07/snb07_02.do 

  3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검색일자: 2018. 10. http://womenandwar.net/kr/ 

  37. 한국정신대연구소. 검색일자: 2018. 10. http://www.truetruth.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