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말 방목 강도가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is Nakai) 식생과 말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rse Grazing Intensity on Changes of Sasa quelpaertenis Nakai Veget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Horses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9 no.4, 2019년, pp.216 - 226  

우제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박남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김남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신상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신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유지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황원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양병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김현철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생물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말 방목 강도가 제주조릿대 식생과 말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제주지역 고도 550m에서 수행되었으며, 제주조릿대 군락지 2,700㎡에서 말을 각각 1.0AU(500kg), 1.5AU(750kg), 2.0AU(1,000kg)를 일주일간 방목한 후, 말 방목에 따른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 및 주변식생 변화 및 말의 생리적 특성 변화 그리고 수목 피해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방목 강도에 따른 제주조릿대 줄기수의 변화는 방목 전 45.7개/㎡에서 방목 5개월 후에는 1.0AU, 1.5AU, 2.0AU 시험구에서 각각 41.0개/㎡, 32.3개/㎡, 23.3개/㎡개로 약 10%, 29%, 49%가 감소하여서 2.0AU 방목지가 다른 시험구와 줄기수가 역의 상관(r=-0.902, P<0.01)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방목 12개월 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말 방목에 따른 생물량 감소에서는 1.0~2.0AU 모든 시험구에서 방목 후 5개월, 12개월의 생중량 및 건중량이 방목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다양도 지수는 1.0AU 시험구 1.64, 1.5AU 시험구 1.76, 2.0AU 시험구 1.96로 말 방목 후 종다양도 지수가 증가되었고 방목 강도와 하층식생의 종다양도 지수는 정의 상관(r=0.773, P<0.01)을 보여, 방목 강도가 하층식생의 종다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목된 말의 체중 및 생리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방목된 모든 시험축이 체중이 감소하여 1.0AU 시험구, 1.5AU 시험구, 2.0AU 시험구에서 각각 95kg, 102kg, 128kg의 체중이 감소하여 제주조릿대 군락지에 말을 방목할 때 말의 건강을 위해 추가적인 사료 급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 말의 방목 전·후 간 수치와 면역 수치는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었으며 처리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수목의 23.8%가 피해목이 발생하였고 1.5AU 시험구에 피해목과 고사목이 비율이 각각 23.3%, 5.74%로 가장 높았고 1.0AU 시험구 14.8%, 8.6%, 2.0AU 시험구 10.4%, 8.6%순으로 분석되어 먹이 부족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제주조릿대 군락지에 말 방목을 실시한 결과, 방목 후 1년차까지 제주조릿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AU의 방목이 제주조릿대의 줄기수 감소 및 종다양성 증가 측면에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말의 체중 감소와 관목 피해를 고려할 때 말의 건강과 관목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목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orse grazing intensity on the vegetation of the S. quelpaertensis,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hor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community of the S. quelpaertensis (altitude of 550m) with the grazing intensity of 1.0AU(500kg), 1.5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79b). 따라서 본 연구는 말 방목을 통한 한라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과 말 사료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말 방목 밀도가 제주조릿대의 조절과 말의 생리적 변화 및 관목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말 방목 강도가 제주조릿대 식생과 말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제주지역 고도 550m에서 수행되었으며, 제주조릿대 군락지 2,700㎡에서 말을 각각 1.

가설 설정

  • 1) Means within a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by DMR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에 분포하는 조릿대속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borealis)와 비슷하지만 대부분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키가 작고 절(node)의 형태에 차이가 있어 한라산에서만 볼 수 있는 특산식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조릿대가 최근 한라산의 관목림 지대인 해발 1,400m이상 지역을 잠식하면서 제주 지역 내에 서식하는 고유 식생인 구상나무(Abies koreana)나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등 군락 갱신과 생육에 영향을 주어 제주특산식물인 제주황기, 제주달구지풀, 두메대극 등 초본식물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후 변화와 1980년 중반 한라산에서 방목금지 등 환경변화에 의해 제주조릿대가 확장되어서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대나무아과는 무엇이 있는가? 대나무아과(Bambusoideae)는 전 세계적으로 6속 250여종이 분포하고 대부분이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왕대속(Phyllostachys), 조릿대속(Sasa), 해장죽속(Arundinaria), 이대속(Pseudosasa) 4속의 대나무가 분포한다. 이중 조릿대류(Sasa spp.
조릿대류의 특징과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이중 조릿대류(Sasa spp.)는 왕성한 근경번식과 수평생장을 바탕으로 주변환경에 대한 요구치가 낮아 벌채와 산불 등에 의해 나지가 된 산지에 침입하거나 경사가 완만한 화산지형에 큰 군락을 형성하여 산악지의 교목림이나 관목림에 주요 하층식생으로 넓게 분포한다(Oshima, 1960). 이처럼 조릿대속은 폭 넓은 분포역으로 분포지역별, 입지별 등 분포양상에 따라 줄기 밀도, 크기 등 생육학적 차이를 보이고 이로 인해 수관형성, 부엽층의 발달 등 독특한 환경을 조성하여 하부에 출현하는 종이나 치수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군락내의 종 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Kudo, 1984; Katagir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gata, W., Kubota, F. and Kamata, E. 197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prodution of some native grasses in Japan. 2. Effect of time and frequency of cutting on dry matter production in Sasa nipponica community. Journal of Japanese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25:110-116. 

  2. Ainslie, A. 2005. Bark chewing by the wild horses of Guy Fawkes River National Park, NSW: Impacts and causes. The University of New England, Armidale, pp. 62-72. 

  3. Chanham, C.D. 1988. Growth and canopy architecture of shade-tolerant trees: Response to canopy graps. Ecology. 69:785-795. 

  4. Ciani, A., Martinoli, L., Capiluppi, C., Arahou, M. and Mouna, M. 2001. Effects of water availability and habitat quality on bark-stripping behaviour in Barbary Macaques. Conservation Biology. 15:259-265. 

  5.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6. Ha, Y.B., Park, J.H., Jang, J.W., Lim, D.W. and Kim, J.E. 2016. Comparative Study for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Effect of Fractions. Journal of Physiol and Pathol Korean Medicine. 30:229-235. 

  7. Hirayoshi, I., Iwata, E. and Matumura, M. 1969. Ecological studies on woodlands of grazing use. III. Vegetation change of dwarf bamboo type grassland after five months summer. Journal of Japanese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15:155-162. 

  8. Kang, Y.M., Kim, S.H., Lee, Y.C., Kim, H.K. and Kim, D.S. 2014. Synergistic combination effect of anti-obesity in the extracts of Phyllostachys pubescence Mael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9:7-13. 

  9. Katagiri, S., Ishii, H. and Miyake, N. 1982. Studies on the amount of dry matter and nutrients in Sasa communitie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32:527-534. 

  10. Kawai, M., Inaba, H., Kondo, S., Hata, H. and Okubo, M. 2000. Effect of summer and winter woodland grazing of Hokkaido native horses on growing of Sasa nipponica. Journal of Hokkaido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24:23-27. 

  11. Kawai, M., Inaba, H., Kondo, S., Hata, H., and Okubo, M. 1999. Comparison if intake, digestibility and nutritive value of Sasa nipponica in Hokkaido native horses on summer and winter woodland pastur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45:15-19. 

  12. Kim, H.C.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Ph. D. thesis,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pp. 82-85. 

  13. Kudo, H. 1984. Natural withering of Sasa kurilensis and regeneration of trees. Bulletin of Hokkaido University Forest. 42:889-809. 

  14. Li, H-H., Nishimura, H., Hasegawa, K. and Mizutani, J. 1992. Allelopathy of Sasa cernu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8:1785-1796. 

  15. Magurran, A.E. 1988. Eclol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Croom helm. p. 1799. 

  16. Nakashizuka, T. and Numata, M. 1980. Regeneration process of climax beech forests II. Structure of a beech forest under the influece of grazing. Jap. J. Ecol. 32:473-482. 

  17. Ogawa, Y., Mitamura, T., Okamoto, K. and Teshima, M. 1986. Flora changes on Sasa nipponica grasslands used for grazing in successive and alternate winter seasons. Bulletin of the National Grassland Research Institute (Japan). 33:85-89. 

  18. Oshima, Y. 1960. Ecological studies of Sasa community I. Productive structure of some of the Sasa communities in Japan.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74:208-209. 

  19. Patten, D.T. 1978. Productiv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an upper Sonoran Desert ephemeral plant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Botany. 65:891-895. 

  20. Ralston, S.L., Van den Broek, G. and Baile, C.A. 1979. Feed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blood glucose, free fatty acid and insulin changes in ponies. Journal of Animal Science. 49:838-845. 

  21. Rho, B.J. and Kil, B.S. 1986. Influence of phytotoxin from Pinus rigida on the selected plants. Wonkwang Univ. J. Basic Natu. Sci. 5:19-27. 

  22. Ruyle, G. and Ogden, P. 1993. What is an AUM? Rangeland Management. pp. 1-4. 

  23. Scarnecchia, D.L. 1985. The animal-unit and animal unit equivalent concept in range science. Rangeland Ecology & Management/Journal of Range Management Archives. 35:346. 

  24. Shannom, C.E. and Wien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117. 

  25. Yajima, T., Watanbe, N. and Shibuya, M. 1997. Changes in biomass of above and under ground parts in Sasa kurilensis and Sasa senanensis stand with culm height.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79:234-2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