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2018년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한 남한 내 야생벌(벌목: 벌아목)의 시·공간별 출현 및 분포 현황
Nationwid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ome Selected Aculeata (Hymenoptera) in South Korea, based on Materials Collected with Malaise Trap in 2017 and 2018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6, 2019년, pp.654 - 663  

유동수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권오창 (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김홍기 (충남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김정규 (용인대학교 생명과)

초록

수분생태학(pollination ecology)의 주체인 화분매개곤충은 농업, 생물산업에 있어서 작물생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매우 가치가 있는 곤충으로 인정되어 왔다. 생산되는 주요 작물의 약 70% 이상이 화분매개곤충의 수분(pollination)매개활동에 의해 생산되는 것과 같이, 화분매개곤충의 존재는 인류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분매개곤충은 오랜 기간동안 변화하는 기후영향과 토지의 이용, 지형의 변화, 농작물 생산량 증대를 위한 농약 사용 등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고 그 수가 매년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어서 종 다양성에 대한 위험적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기후의 변화, 지형의 변화, 인간의 간섭에 따른 토지의 이용 등의 다양한 위험적인 요인들로부터 수분생태계 종 다양성 보존과 관리를 위하여 수분을 매개하는 야생벌의 분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7년에서 2018년까지 전국 51개 조사지점에서 2주~한달 간격으로 말레이즈 트랩(ez-Malaise trap)을 사용하여 전국단위에서 출현하는 야생벌을 시기별, 공간별로 야생벌을 채집하였고, 채집된 꿀벌상과, 청벌상과 및 말벌상과를 대상으로 공간별, 시기별 출현현황을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전국단위로 출현한 야생벌은 정규분포 형태를 보이며 7월과 8월 사이에 크게 개체수가 증가하고 11월까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간적으로도 야생벌은 위도에 따라서 출현분포의 차이를 유의적 수준에서 확인하였으나, 경도에 대해서는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기후적 요인, 지형적 특성, 인간간섭에 따른 토지의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에 야생벌의 분포차이를 더욱 면밀히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의 연구로써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전국에 시기별, 공간별로 출현하는 야생벌의 분포를 통해서 향후 농업발전을 위한 화분매개관련 곤충 연구에서부터 나아가 수분생태계에서의 야생벌 종 다양성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linators, which are important organisms in pollination ecology, have been highly valued for their economic contributions to crop production in the agricultural and biotechnology industries. As the production of over 70% of farm products, such as fruits, are mediated by pollinators, bees are im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공간에 해당하는 위도, 경도를 이용한 종 다양성 분석은 조사지의 GPS 좌표(도-분-초)에 근거하였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출현 생물종의 분포가 위도와 경도 같은 연속형 수치에 민감하게 변화하지 않고, 위경도의 수치적 차이보다는 지역적 차이, 주변 환경영향에 의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추가적인 가정 하에 위도와 경도를 영역별로 구분(범주형)하였다. 영역을 구분함에 있어서 기온과 강수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구분 하거나(Park e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분매개곤충의 종 다양성 감소의 원인은? , 2015). 그러나 산업화, 도시 화에 의한 서식지의 훼손 및 소멸,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와 함께 농업 생산량 증가를 위한 농약사용 (Jeong et. al., 2016) 등으로 화분매개곤충의 종 다양성 감소와 개체수의 변화는 이미 수년 전부터 문제시되어 왔고,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염려는 전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Gonzalez-Varo et al., 2013).
화분매개곤충의 종 다양성 감소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는? , 2010). 그러므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화분매개곤충의 감소와종 다양성 변화는 농업 생산력과 관련된 국가 경제의 손실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에서의 식물의 번식 감소로부터 상위 영양 단계의 먹이원 변화로 이어짐으로써 점진적인 전 생물종 다양성 감소로 연결되는 연쇄적 생태계 변화가 촉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화분매개곤충은 무엇인가? 수분생태학(pollination ecology) 혹은 수분생물학(pollination biology)의 주체인 화분매개곤충(pollinator)은 농업, 산업적 으로의 이용으로 오랫동안 그들에 대한 경제적 가치가 인정되어 왔다. 꽃가루를 매개하여 농작물 결실에 관여하는 곤충류로서, 화분매개곤충은 인간이 소비하는 작물의 약 70%가 화분 매개활동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는 만큼 화분매개곤충의 존재와 생태적 활동은 인류에게 있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Yoon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M.B., J.K. Kim and J.W. Lee(2013) Checklist and Distribution of Korean Vespidae Revisited.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52(2): 85-91. 

  2. Gonzalez-Varo, J.P., J.C. Biesmeijer, R. Bommarco, S.G. Potts, O. Schweiger, H.G. Smith, I. Steffan-Dewenter, H. Szentgyorgyi, M. Woyciechowski and M. Vila(2013) Combined effects of global change pressures on animal-mediated pollination.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8(9): 524-530. 

  3. Goulet, H. and J.T. Huber(1993) Hymenoptera of the world: An identification guide to families. Agriculture Canada, Ottawa, pp. 1-668. 

  4. Harrison, T. and R. Winfree(2015) Urban drivers of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Functional Ecology 29(7): 879-888. 

  5. Hung, K.-L.J., J.S. Ascher and D.A. Holway(2017) Urbanization-induced habitat fragmentation erodes multiple components of temporal diversity in a Southern California native bee assemblage. PLOS ONE 12(8): e0184136. 

  6. Jeong S., C. Lee, D. Kim and C. Jung(2016) Questionnaire Study on the Overwintering Success and Pest Management of Honeybee and Damage Assessment of Vespa Hornets in Korea. Journal of Apiculture 31(3): 201-210. 

  7. Jung, Y.-K., J.-W. Kim and W. Kim(1994) Distribution Pattern of Principal Species in the Mantle Community.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7(4): 513-521. (in Korean) 

  8. Kerr, J.T., A. Pindar, P. Galpern, L. Packer, S.G. Potts, S.M. Roberts, P. Rasmont, O. Schweiger, S.R. Colla, L.L. Richardson, D.L. Wagner, L.F. Gall, D.S. Sikes and A. Pantoja(2015) Climate change impacts on bumblebees converge across continents. Science 349(6244): 177-180. 

  9. Kim, Y.-J., H. Han and Y. Park(2015) The Plan for Activation of Insect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pp. 1-148. (in Korean) 

  10. Lee, K.M., W.T. Kwon and S.H. Lee(2009) A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3): 337-350. (in Korean) 

  11. Matthews, R.W. and J.R. Matthews(2017). The Malaise trap: its utility and potential for sampling insect populations. The Great Lakes Entomologist 4(4).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2012) A Guide to the 4th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Incheon, Korea, pp. 307-395. (in Korean) 

  13. Park, C., Y. Choi, J.-Y. Moon and W.-T. Yun(2009)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1): 1-16. 

  14. Park, I.G., H.J. Yoon, M.A. Kim, K.Y. Lee, H.C. Park and S.H. Kim(2016) Comparison of Pollinating Activities on Cherry Flower by Honeybee (Apis mellifera), Bumblebee (Bombus terrestris) and Hornfaced Bee (Osmia cornifrons). Journal of Apiculture 31(3): 263-272. (in Korean) 

  15. Potts, S.G., J.C. Biesmeijer, C. Kremen, P. Neumann, O. Schweiger and W.E. Kunin(2010) Global pollinator declines: Trends, impacts and driver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5(6): 345-353. 

  16. Sangle, P.M., S.B. Satpute, F.S, Khan and N.S. Rode(2015) Impact of Climate Change on Insects. Trends in Biosciences 8(14): 3579-3582. 

  17. Sheikh, A.H., M. Thomas, R. Bhandari and H. Meshram(2016) Malaise trap and insect sampling: Mini Review. Bio Bulletin 2(2): 35-40. 

  18. Woodcock, B.A., N.J.B. Isaac, J.M. Bullock, D.B. Roy, D.G. Garthwaite, A. Crowe and R.F. Pywell(2016) Impacts of neonicotinoid use on long-term population changes in wild bees in England. Nature Communications 7(12459): 1-8. 

  19. Yang, J., D. Yi, M. Joo and K. Choi(2015) Phylogeographic study of Abies koreana and Abies nephrolepis in Korea based on mitochondrial DNA. Korean Journa of Plant Taxonomy 45(3): 254-261. (in Korean) 

  20. Yoon, H.J., K.Y. Lee, H.S. Lee, M.Y. Lee, Y.S. Choi, M.L. Lee and G.H. Kim(2017) Survey of Insect Pollinators Use for Horticultural Crops in Korea. Journal of Apiculture 32(3): 223-235. (in Korean) 

  21. Yu, D.S. and S.H. Yoo(2015) VBioindex: A Visual Tool to Estimate Biodiversity. Genomics & Informatics 13(3): 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