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를 위한 지표 및 척도 개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표와 기록정보서비스 개념의 융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and Scales to Evalu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s for the Disabled in Archives: Merging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with the Conceptionaliz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207 - 215  

구정화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록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동등한 수준으로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기본 틀로 삼되 인증 기준에서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는 기록관의 서비스환경에 관한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개념 분석과 기록관 이용자들의 서비스 동선을 파악한 후 이를 공간별로 항목화하였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정보서비스개념과 유형, 서비스 동선과 공간영역 그리고 공공기록물관리법, 국가기록원의 공공기록물서비스 표준들을 모두 융합하여 종합적인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 지표와 척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록관 서비스 환경 평가도구 개발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환경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제공의 근본 문제점들을 파악한 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develop the indicators to evalu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s for the disabled in archives. Based on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the study analyzed the main concept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movement lines of users in archive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록관에서 비장애인뿐 아니라 장애인들도 불편함 없이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를 통하여 현 단계 서비스 환경을 점검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기록정보서비스 및 서비스 환경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도 종합적인 평가지표와 척도가 전무한 상태이다.
  • 이뿐 아니라, 이들의 서비스 평가에서는 장애인을 고려한 지표가 제시되지 못하고 비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제공과 방법들을 고려했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했던 기록관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의 정보서비스 환경과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시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처럼 온라인 환경에서의 서비스 평가에 관한 논의나 장애의 종류 중에서도 지적, 인지적 장애로 인해 서비스 접근의 제한이 되는 장애인에 대한 고려는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도록 한다[11]. 대신 외부 신체적 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관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갖추어야 하는 시설물들과 장비 그리고 여타 조건들을 고려하여 이들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는 것만을 본 연구의 범위와 목적으로 삼는다.
  • 둘째, 개발된 척도는 일반 기록관을 대상으로 환경평가 요소를 종합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각 기록관의 종류와 특성(예, 대학 기록관, 대통령 기록관, 지방기록관 등)에 따라,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특수하게 고려해야 할 세부적인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 그러나, 현재 기록정보서비스 및 서비스 환경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도 종합적인 평가지표와 척도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인은 물론 이제껏 서비스의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왔던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의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별히 장애인에게 기록관이라는 물리적 서비스 환경은 이용자와 기록관의 정보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접근점이 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어떤 불편이나 문제가 있다면 장애인의 경우 장애의 특수성으로 인해 이용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까지 이를 수 있다.
  •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를 도입하였고, 구체적인 인증지표를 대상시설에 따라 건축물, 공원, 지역, 도로 및 교통수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인증 대상에 해당하는 세부사항과 기준만을 참고하여 기록관 환경평가를 위한 기본 틀로 삼고자 한다. 건축물 평가항목은 크게 6가지 범주로 나뉘어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기타설비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항목 아래 24개의 소분류 항목과 총 94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8].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환경평가 지표와 척도 개발을 위해 관련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이를 측정 가능한 지표와 척도로 전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인 ‘장애물없는 생활환경’과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를 분석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를 위한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에 나타난 항목들을 기본토대로 삼아 분석한다[8].
  •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인 ‘장애물없는 생활환경’과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를 분석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 이 두 서비스 영역에서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활동들을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이 각각의 활동에 필요한 환경적 요소들은 무엇이 있는지 고려하여 이를 지표화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이용자가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 가능한 공간영역과 그 공간에 필요한 시설물들을 기본 평가항목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시설물들이 장애인들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구체적인 질문으로 변환하였다(Table 5 참조). 이 단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제안된 평가항목과 평가 문항들(지표)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도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이를 척도화하는 작업을 통해 최종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이란, “어린이, 장애인, 노인, 임산부뿐 아니라 일시적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개별 시설물에 접근, 이용, 이동함에 있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시설물을 계획, 설계, 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2]. 이는 기존의 시설물에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추가로 설치한다는 의미가 아닌, 근본적으로 이용자들이 겪을 수 있는 장애물을 제거함을 통해 모든 이용자들이 평등하고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23].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를 도입하였고, 구체적인 인증지표를 대상시설에 따라 건축물, 공원, 지역, 도로 및 교통수단으로 구성하였다.
  • 특별히 장애인에게 기록관이라는 물리적 서비스 환경은 이용자와 기록관의 정보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접근점이 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어떤 불편이나 문제가 있다면 장애인의 경우 장애의 특수성으로 인해 이용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런 배경하에, 본 연구는 그동안 기록학 분야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물리적 환경을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여기에는 비장애인뿐 아니라 장애인 이용자도 포함하여 모두가 평등하게 불편함없이 기록관을 이용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취지로 시작한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록관에서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리적 환경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가령, 기록관의 경우, 기록관의 존재 목적과 주요 특성, 그 기록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만의 주요 특성을 반영한 환경 평가 지표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기록관의 서비스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 지표가 전무한바,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기록관의 서비스 시설물과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1)에서 필요한 세부 서비스활동과 시설물을 정리하면 보면 Table 4와 같다. 즉,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공간영역과 각 공간영역에서의 서비스 활동들 그리고 이 활동들을 위해 필요한 소요실과 시설물들을 평가항목으로 변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학의 관심사 변화는? 기록정보서비스란, 기록물을 활용한 정보서비스 혹은 기록관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라는 의미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록물과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아키비스트의 활동으로 이해된다[1,2]. 기록학 은 전통적으로 기록물의 보존과 관리중심으로 연구가진 행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 보존과 관리의 궁극적인 목적과 결과가 기록물의 이용에 있음을 깨닫고 기록물 활용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 다. 실제로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기록물 이용과 활용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과 방안을 논의하는 연구들이 양적으로 그리고 주제적으로도 점차 확대되어 왔다[3].
기록정보서비스란? 기록정보서비스란, 기록물을 활용한 정보서비스 혹은 기록관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라는 의미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록물과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아키비스트의 활동으로 이해된다[1,2]. 기록학 은 전통적으로 기록물의 보존과 관리중심으로 연구가진 행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 보존과 관리의 궁극적인 목적과 결과가 기록물의 이용에 있음을 깨닫고 기록물 활용을 위한 ‘기록정보서비스’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 다.
전 국민적인 기록물 활용의 접근성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록관에서 비장애인뿐 아니라 장애인들도 불편함 없이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 기록정보서비스 환경 평가를 통하여 현 단계 서비스 환경을 점검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기록정보서비스 및 서비스 환경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도 종합적인 평가지표와 척도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인은 물론 이제껏 서비스 의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왔던 장애인을 위한 기록정보서 비스의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 J. Pugh.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IL: SAA. 

  2. Korea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 Management. (2013).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The Science of Evidence & Memory. Seoul: ACP. 

  3. G. Kim. (2013). Research Trend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199-229. 

  4. H. Rieh. et al. (2007). Eval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24-42. 

  5. H. Kim & H. Rieh. (2009).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9(2), 59-78. 

  6.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7. Korea Disabled People Development Institute. (2015). Barrier-Free Certificate. https://bf.koddi.or.kr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Manual for Public Libraries.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Cultural Facilities. 

  10. S. Lee. (2004). A Study on Enhancing Accessibility to the National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65-111. 

  11. S. Y. Han & D. Y. Jeong.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ve Service Quality Scal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59-78. 

  12. D. H. Heo. (2014).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Master Thesis. Myongji University. 

  13. S. Jeon. (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Records Management Conditions of Public Organ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8, 3-36. 

  14. W. Jeong & H. Rieh. 2016. Users' Evalu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Univers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195-221. 

  15. K. Ka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Apartment Bathrooms: Focused on Spatial Dimension, Fixture Layout and Color Schemes.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6. J. A. Jang & Y. H. Cho. (2011).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6(1), 49-61. 

  17. I. H. Yun. (2011).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abled Facilities in Public Service Facilities: Focusing Dong Office and Myeon Office of Miryang City.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8. G. Lee.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arrier-Free Authentication Indicators through the Analysis of Barrier-Free Authentication Public Buildings: Focused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Residents Autonomy Center.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9. J. Song. (20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Barrier Free Living Environment in Kindergarten: Focusing on Barrier 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e Standards.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Regulations on the Certif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21. K. I. Lee & B. K. Kang.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cused on the Evaluation Items of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7(4), 25-37. 

  22. Act on the Convenience Promotion of Disabled Persons, Elderly People and Pregnant Women. (2018). 

  23. R. J. Cox. (1992). Managing Institutional Archives: Foundational Principles and Practices. New York, NY: Greenwood Press. 

  24. T. Cook. (1993). The Concept of the Archival Fonds in the Post-Custodial Era: Theory, Problems and Solutions. Archivaria, 35, 24-33. 

  25. M. Seol. (2008). A Study of Strategic Planning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249-271. 

  26. M. H. Lee. (2008). Developing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Master Thesis. Sangmyung University. 

  27. J. Kim. (2016). A Study on Spatial Model Planning for the Regional Archives Based on Analysis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Master Thesis. Hongik University. 

  28.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2016). Code of Ethics. https://www.ica.org/sites/default/files/ICA_1996-09-06_code%20of%20ethics_EN.pdf 

  29. B. I. Kim. (2013).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Digital Library, 71, 70-85. 

  30. Welfare for Disabled Persons Act. (2013).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42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