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제도 비교를 통한 폐의약품 관리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aste Drug Management System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Program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9 no.4, 2019년, pp.286 - 294  

김호정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최예지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t the end of the'Waste Drug Disposal Project', collection and disposal of waste drugs remain a social issue.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drug waste management system in Korea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relevant programs. Methods: This is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의 폐의약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폐의약품 관리 체계를 해외 사례와 비교분석하는 국가간 비교 연구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을 조사 대상 해외 국가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선진 주요국의 폐의약품 관리 체계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폐의약품 관리 체계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 호주는 조사대상 국가 중 폐의약품 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참여율 모두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법적 규제가 확보되지 않아 법적 구속력이 부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국내 폐의약품 관리 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폐의약품 관리 사례를 법 제도 및 사회적·문화적 요소로 구분하여 다측면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 내 폐의약품 회수·처리 사업의 성과는 어떠했는가? 이에 환경부, 보건복지부, 대한약사회가 함께 ‘가정 내 폐의약품 회수·처리 사업’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시범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가정 내 폐의약품 회수에 대한 인지도가 2.6%에서 54.8%로, 폐의약품 수거량이 53t에서 180t으로 증가하는 성과를 가져왔다.6,11) 그러나 시범 사업 종료 후 법적 규제와 사회적 기반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의약품 관리가 각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로 위임되면서 폐의약품 회수·처리는 우리 사회에서 아직 해결책을 찾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다.
국내의 폐의약품 관련 비용 부담 주체는 어떻게 되어있는가? 국외의 폐의약품 관련 시행 사례에서 살펴본 바, 국내에선 중앙정부나 제약회사 측의 단독 혹은 공동 비용부담이 아닌 절차를 소관하는 기관에서 그에 대한 비용을 분담하고 있었다. 수거함 제작비용은 대한약사회 자체 예산 또는 제약회사의 후원으로 이뤄졌으며 회수비용은 도매업체에서 부담하였으며 소각 처리 비용은 각 지자체에서 맡았다.
제약사는 무엇인가? 넷째, 의약품 생산 및 공급자로서 제약사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한다. 제약사는 의약품을 생산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소비해주는 국민과 건강보험체계를 바탕으로 이윤을 높이는 제약시장의 핵심 이해당사자이다. 조사대상국 중 폐의약품 관리체계가 가장 잘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프랑스의 경우 제약사는 의약품 판매량에 따라 폐의약품 관리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Vogler S, Leopold C, Zuidberg C, Habl C. Medicines discarded in household garbage: analysis of a pharmaceutical waste sample in Vienna. J Pharm Policy Pract 2014;7:6. 

  2. Chun PS. An investigation of medications returned to the community pharmacies through "drug-take back" program. Yakhak Hoeji 2014;58(2):107-11. 

  3. Chun PS. Analysis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and drug cost of prescription medications returned to community pharmacies through 'drug-take back' program. Yakhak Hoeji 2014;58(4):262-7. 

  4. Park HK, Ha DM, Choi SM. A case study on the disposal of household waste drugs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Seoul: Korea Institute for Pharmaceutical Policy Affairs, Korea Environment and Resources Corporation, 2009. Available from 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92991902. Accessed December 17, 2019. 

  5.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erial Decree of the Wastes Control Act. Article 14. Law No. 83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Available from www.law.go.kr/lsInfoP.do?lsiSeq211021& efYd20191029#0000. Accessed December 18, 2019. 

  6. Yeon JH, Lee BR, Lee MK, et al. Evaluation of drug waste minimization and drug disposal. Yakhak Hoeji 2009;53(2):93-100. 

  7. Choi IS. Household disposal of medications and recognition of the waste medication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by the citizens and pharmacists in Daegu. M.S. Thesis for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8. Lee GA. The distribution of residual pharmaceuticals in water basin of Ulsan: focused on Taewha River and Hoiya River. M.S. Thesis for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2. 

  9. Ahmad A, Patel I, Khan MU, Babar Z. Pharmaceutical wast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Lancet Infect Dis 2017;17(6):578-9. 

  10. Hung YT, Aziz HA, Zainal S, et al. Chemical waste and allied products. Water Environ Res 2017;89(10):1349-59. 

  11. Korea Zero Waste Movement Network. Proper use of medications and appropriate disposal of waste drugs at home. 2010. Available from www.zerowaste21.org/mkBoard/view.php?bod0402&id23. Accessed December 17, 2019. 

  12. Kim AY and Kang HY. Participation and attitude of community pharmacists for disposal of unused medicine. J Korean Acad Soc Manage Care Pharm 2016;5(1):29-38. 

  13. Jeong CW. Community pharmacy-led waste medications disposal program "gets on track, but" some problems still remain. Korea Pharmaceutical Association News, April 6, 2011. Available from 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22391&tablearticle&category&searchtitle&keyword%ED%8F%90%EC%9D%98%EC%95%BD%ED%92%88&page10&go_back1. Accessed December 18, 2019. 

  14. Choi I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waste medication collection and discard program. M.S. Thesis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5. Kim MS and Seok BW. A legislative study on the method of process concerning disposal medicine from home. Environ Law Res 2017;39(3):253-79. 

  16. Bergen PJ, Hussainy SY, George J, et al. Safe disposal of prescribed medicines. Aust Prescr 2015;38(3):90-2. 

  17. Traynor K. Drug disposal kiosks help hospitals serve their community. Am J Health Syst Pharm 2016;73(8):510-2. 

  18. Wheeler AJ, Spinks J, Bettington E, Kelly F. Evaluation of the national return of unwanted medicines (RUM) program in Australia: a study protocol. J Pharm Policy Pract 2017;10:38. 

  19. Bettington E, Spinks J, Kelly F, Gallardo-Godoy A, Nghiem SH, Wheeler AJ. When is a medicine unwanted, how is it disposed, and how might safe disposal be promoted? Insights from the Australian population. Aust Health Rev 2018;42(6):709-17. 

  20.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National prescription drug take back day 2017. Available from http://takebackday.dea.gov. Accessed August 2, 2019. 

  21. Health Products Stewardship Association. BC annual report 2015. 2016. Available from www.healthsteward.ca/wp-content/uploads/2019/02/2015-BC-Annual-Report-to-Director.pdf. Accessed August 2, 2019. 

  22. Health Products Stewardship Association. BC annual report 2016. 2017. Available from www.healthsteward.ca/wp-content/uploads/2019/06/2016BCMRPAnn ualReport.pdf. Accessed August 2, 2019. 

  23. Cyclamed. Cyclamed annual report 2014. Paris: 2015. Available from www.cyclamed.org/wp-content/uploads/2014/06/RAPPORT-2014-CYCLAMED-HD.pdf. Accessed August 2, 2019. 

  24. Cyclamed. Cyclamed annual report 2016. Paris: 2017. Available from www.cyclamed.org/wp-content/uploads/2017/07/CYCLAMED-RABD-1.pdf. Accessed August 2, 2019. 

  25. Return Unwanted M.edicines. National return and disposal of unwanted medicines project audit 2016. 2017. Available from www.returnmed.com.au/wp-content/uploads/2017/08/NatRUM-Project-Final-Report-Griffith-University.pdf. Accessed August 2,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