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성장애 환자에서 주관적 음성검사와 객관적 음성검사의 연관성 연구
Study for Cor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Voic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Dysphonia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30 no.2, 2019년, pp.118 - 123  

박정우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김보람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오재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강태규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김동영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우주현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Voice evaluation is classified into subjective tests such as auditory perception and self-measurement, and objective tests such as acoustic and aerodynamic analysis. When evaluating dysphonia, subjective and objective test results do not always match. The purpose of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음성장애 환자에서 시행되는 객관적인 평가 항목들과 주관적인 평가 항목들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2-4) 하지만 아직 객관적인 음성평가 항목들과 주관적임 음성평가 항목들 간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분석한 보고는 없으며 동일환 환자군에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검사들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낼 수 있다면 좀 더 임상적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저자들은 발성장애 환자들에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사이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분석하여 질환별로 의미 있는 평가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식음(B)과 연관성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전의 음향학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거친음(R)은 주파수변동율이 높고, 기본주파수가 낮을수록 더 심해지며, 잡음비가 높고, 특히 저주파 잡음부분과 연관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8-10) 기식음(B)은 NHR, 연성발성지표(soft phonation index), CPP 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11)
음성검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음성검사는 발성장애 환자에서 목소리의 질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주관적 검사로는 청지각적검사와 자가측정검사가 있으며 객관적 검사로는 음향검사, 공기역학적검사 등이 있다.
음성검사는 종류가 어떻게 되는가? 음성검사는 발성장애 환자에서 목소리의 질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주관적 검사로는 청지각적검사와 자가측정검사가 있으며 객관적 검사로는 음향검사, 공기역학적검사 등이 있다.1) 각각의 검사가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지지만 주관적 검사와 객관적 검사의 결과가 항상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는 않으며 이런 경우 평가 분석에 혼선이 빚어지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ejonckere PH, Bradley P, Clemente P, Cornut G, Crevier-Buchman L, Friedrich G, et al. A basic protocol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voice pathology, especially for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phonosurgical) treatments and evaluating new assessment techniques. Guideline elaborated by the Committee on Phoniatrics of the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ELS).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1;258(2):77-82. 

  2. Maryn Y, Roy N, De Bodt M, Van Cauwenberge P, Corthals P. Acoustic measurement of overall voice quality: a meta-analysis. J Acoust Soc Am 2009;126(5):2619-34. 

  3. V Latoszek BB, Maryn Y, Gerrits E, De Bodt M. A meta-analysis: acoustic measurement of roughness and breathiness. J Speech Lang Hear Res 2018;61(2):298-323. 

  4. Woisard V, Bodin S, Yardeni E, Puech M. The voice handicap index: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patient respons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voice. J Voice 2007;21(5):623-31. 

  5. Hillenbrand J, Cleveland RA, Erickson RL.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J Speech Hear Res 1994;37(4):769-78. 

  6. Kim JO, Lim SE, Park SY, Choi SH, Choi JN, Choi H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version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Speech Sciences 2007;14(3):111-25. 

  7. Schindler A, Mozzanica F, Vedrody M, Maruzzi P, Ottaviani F. Correlation between the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 measurements in four groups of patients with dysphon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9;141(6):762-9. 

  8. Munoz J, Mendoza E, Fresneda MD, Carballo G, Lopez P. Acoustic and perceptual indicators of normal and pathological voice. Folia Phoniatr Logop 2003;55(2):102-14. 

  9. Bhuta T, Patrick L, Garnett JD.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s. J Voice 2004;18(3):299-304. 

  10. de Krom G. Some spectral correlates of pathological breathy and rough voice quality for different types of vowel fragments. J Speech Hear Res 1995;38(4):794-811. 

  11. Heman-Ackah YD, Heuer RJ, Michael DD, Ostrowski R, Horman M, Baroody MM, et al. Cepstral peak prominence: a more reliable measure of dysphonia. Ann Otol Rhinol Laryngol 2003;112(4):324-33. 

  12. Klatt DH, Klatt LC. Analysis, synthesis, and perception of voice quality variations among female and male talkers. J Acoust Soc Am 1990;87(2):820-57. 

  13. Awan SN, Roy N.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index of dysphonia severity: a four-factor acoustic model. Clin Linguist Phon 2006;20(1):35-49. 

  14. Awan SN, Roy N. Outcomes measurement in voice disorders: application of an acoustic index of dysphonia severity. J Speech Lang Hear Res 2009;52(2):482-99. 

  15. Kim TH, Choi JI, Lee SH, Jin SM. Comparison of vowel and text-based cepstral analysis in dysphonia evaluation.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015; 26(2):117-21. 

  16. Park MC, Mun MK, Lee SH, Jin SM. Clinical usefulness of cepstral analysis in dysphonia evalua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574-8. 

  17. Dejonckere PH, Lebacq J. Acoustic, perceptual, aerodynamic and anatomical correlations in voice pathology.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1996;58(6):326-32. 

  18. Dejonckere PH, Remacle M, Fresnel-Elbaz E, Woisard V, Crevier-Buchman L, Millet B. Differentiated perceptual evaluation of pathological voice quality: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with acoustic measurements. Rev Laryngol Otol Rhinol (Bord) 1996;117(3):219-24. 

  19. Eadie T, Sroka A, Wright DR, Merati A. Does knowledge of medical diagnosis bias auditory-perceptual judgments of dysphonia? J Voice 2011;25(4):420-9. 

  20. Awan SN, Roy N, Cohen SM.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of voice and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J Voice 2014;28(4):4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