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건강 기록을 통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사상체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sang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Based on Atopic Dermatitis Personal Health Record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1 no.4, 2019년, pp.41 - 56  

성현경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청소년과) ,  고호연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 ,  신미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life records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based on the data recorded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PHR) platform, and to find basic data for the Sasang Constitutional daily life management and prevention. M...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자가 기록을 통하여 매일의 일상 속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부분의 기록과 의사와의 공유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사상체질 특성의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초기 연구로서 의미가 있지만, 예비 연구로서, 6주로 비교적 짧으며, 대상자가 적으며, 2주에 1회 방문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려운 점으로 인하여 환자의 기록의 정확성 및 누락된 부분이 많아 통계적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한의학 연구원에서 시험적으로 개발한 아토피 피부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을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의 환자상태 및 일상생활 기록 과정을 살펴보고 결과를 분석해 보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일상생환관리와 증상의 개인 기록 및 평가를 바탕으로, 개인 건강관리 및 예방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사상체질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토피 피부염은 어떤 질환인가?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와 소아기에 발생하는 만성의 재발성 피부염으로 심한 소양감과 피부 건조, 홍반성 습진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피부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인자로는 유전적 배경,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면역학적 이상, 피부 장벽의 이상, 환경적․사회적 인자 및 심리적 연관성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인자로 인해 환자의 치료는 증상에 대한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음식 지도와 사회 환경적 인자 및 심리적인 면 등에서도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1.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인자로 무엇이 있는가?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와 소아기에 발생하는 만성의 재발성 피부염으로 심한 소양감과 피부 건조, 홍반성 습진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피부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인자로는 유전적 배경,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면역학적 이상, 피부 장벽의 이상, 환경적․사회적 인자 및 심리적 연관성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인자로 인해 환자의 치료는 증상에 대한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음식 지도와 사회 환경적 인자 및 심리적인 면 등에서도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1. 아토피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정신 심리적인 불안과 우울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일상생활에서 생활습관의 변화와 정서적 긴장 완화 등의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이 이루어져야 하고2,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정신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지도 또한 필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이 존재하면 정신적으로 신체에 생기는 증상은 무엇인가 또한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인자로는 유전적 배경,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면역학적 이상, 피부 장벽의 이상, 환경적․사회적 인자 및 심리적 연관성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인자로 인해 환자의 치료는 증상에 대한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음식 지도와 사회 환경적 인자 및 심리적인 면 등에서도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1. 아토피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정신 심리적인 불안과 우울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일상생활에서 생활습관의 변화와 정서적 긴장 완화 등의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이 이루어져야 하고2,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정신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지도 또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n SG, Park BD, Won JH, et. al. Atopic Dermatitis. Seoul.. PACIFIC PUBLISHER Co. 2007:14-19, 118. (Korean) 

  2. So ES, Yeo JY.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tyles and Atopic Dermatiti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2;18(3):143-9. (Korean) 

  3. Yu SM, Yun YH, Son BK, et. al. 6 Cases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for Short Term Hospitaliz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1):219-36. (Korean) 

  4. Park ES. A Study for Role and Effects of Atopic Dermatitis Care Program with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Oriental Med. 2013;34(1):146-59. (Korean). 

  5. Sung HK, Seo KS, Son CG. A Observational Study o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in Atopic-Free Village. J Pediatr Korean Med. 2014;28(1):1-6. (Korean) 

  6. Park SG, Noh HM, Jo EH, Park MC. A Study on Mental Health Analysis of Atopic Children and Awareness Improvement through Atopic Educa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2):51-85. (Korean) 

  7. Shin MR, Go HY, Sung HK. Usability Test of a Personal Health Record(PHR) Platform for Treatment Atopic Dermatitis and Deduction of improvements(3). 2018. (Korean) 

  8. GU DM. A Clinical study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2;14(2):69-77. (Korean) 

  9. Lim JH, Lee EJ, Koh B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8;20(1):67-88. (Korean) 

  10. Baek YH, Jang ES, Pak KH, Yoo JH, Jin HJ, Lee S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KS-15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Based on Body Shape, Temperament and Symptoms.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2):211-21. 

  11. Jeong MJ, Lim JH, Hwang BM, Yun YJ, Kim KB. Set the cut off values for diagnosing heart weak children; by using K-CBCL total behavior problems score. J Pediatr Korean Med. 2010;24(3):58-67. (Korean) 

  12. Lee SH, Kim AN, Jang HC, Jeong MJ. Study on Weak Children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PHR). J Pediatr Korean Med. 2017;31(3):46-63. (Korean) 

  13. Seo JS, Kim YE, Lee SH, Kim AN, Nam BY, Jang HC. Study on Development a Personal Health Record Application of Atopic Dermatitis in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9;32(1):32-41. (Korean) 

  14. Lee JH, Shin MR.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Questionnaire of Korean Medical Student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7;28(1):15-24. (Korean) 

  15. Noh HM, Park SG, Jo EH, Jang HC, Kim HK, Park HJ, Lee KH, etc. Study about the Comparison of Korean-Western Medicine on Atopic Dermatitis and Psychological Factor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8;32(2):113-25. (Korean) 

  16. Dep.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ll colleges of Korean med. in Korea(compilation).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rd. Seoul: Jipmoondang. 2012. 179-20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