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작동유체로 충전된 폐쇄 루프 맥동 히트파이프 내부 유동패턴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flow patterns in closed loop pulsating heat pipe charged with various working fluids 원문보기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v.17 no.3, 2019년, pp.52 - 58  

강석구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김성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히발 아흐메드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정성용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al performance and flow patterns inside the closed loop pulsating heat pipe (CLPHP)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working fluids, CLPHP was filled with various working fluids including methanol, acetone and ethanol. The thermal resistance was calculated by t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K형 열전대(정확도 ±1 ℃ ±0.5%)를 이용하여 증발부와 응축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DAQ(NI-cDaQ-9171)와컴퓨터를 연결하여 측정한 온도를 LABVIEW를통해 데이터로 산출하였다.
  • 는 각각 증발기와 응축기온도이다. Qin 을 10 에서 50 W까지 변화시키며 Rth 를 측정하고 CLPHP 내부의 유동 특성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가시화 한다. 작동 유체를 변경하여 이 과정을 반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로 충전된 CLPHP의 열 저항 및 내부 유동을 비교하였다. Qin을 변화시키며 증발기와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Rth를 계산하여 열전달 성능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작동 유체 모두 Qin이 증가할 때Rth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순서로 실험한 입력 열 범위에서 낮은 Rth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5%)를 이용하여 증발부와 응축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DAQ(NI-cDaQ-9171)와컴퓨터를 연결하여 측정한 온도를 LABVIEW를통해 데이터로 산출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서의 특징 적인 유동패턴 변화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LPHP 내부 작동유체로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을 사용하고, 작동유체 변화에 따른 열저항 및 유동 패턴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로 충전된 CLPHP의 열 저항 및 내부 유동을 비교하였다. Qin을 변화시키며 증발기와 응축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Rth를 계산하여 열전달 성능을 확인하였다.
  • 1 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장치 구성도를 나타낸다. 붕산염 유리를 이용하여 두 개의 관으로 구성된 CLPHP 를 제작하였다.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Rocker-300, AC110V, 60Hz) CLPHP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작동유체를 CLPHP로 주입하였으며, 작동유체로는 에탄올, 메탄올,아세톤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열전달 성능 측정을 위하여 Qin이 설정한 값과 같도록 전원 공급기를 조절한 후 증발기와 응축기의 온도 데이터를 측정한다. 측정한 온도 데이터와 Qin으로부터 아래 식(3)을 이용하여 열적 저항(Rth)을 계산한다.
  •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Rocker-300, AC110V, 60Hz) CLPHP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작동유체를 CLPHP로 주입하였으며, 작동유체로는 에탄올, 메탄올,아세톤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동유체가 들어있는 CLPHP 에 열을 가하기 위해 증발기 부분에 30 mm길이의 니크롬 와이어를 감아주고 전원공급기 (Toyotech TDP-3020B, 30V-20A)를 사용해 니크롬 와이어에 전원을 연결하여 증발기에 열을 공급하고 전원공급기의 전압을 변화시켜 공급되는 열을 제어하였다. K형 열전대(정확도 ±1 ℃ ±0.
  • 붕산염 유리를 이용하여 두 개의 관으로 구성된 CLPHP 를 제작하였다.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Rocker-300, AC110V, 60Hz) CLPHP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 작동유체를 CLPHP로 주입하였으며, 작동유체로는 에탄올, 메탄올,아세톤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동유체가 들어있는 CLPHP 에 열을 가하기 위해 증발기 부분에 30 mm길이의 니크롬 와이어를 감아주고 전원공급기 (Toyotech TDP-3020B, 30V-20A)를 사용해 니크롬 와이어에 전원을 연결하여 증발기에 열을 공급하고 전원공급기의 전압을 변화시켜 공급되는 열을 제어하였다.

대상 데이터

  • 는 각각 액체와 기체의 밀도를 나타낸다. 유체 주입 시 LS 와 VP 가 분리되어 분포할 수 있는 bond number 가 2 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하는 2 mm로 내경을 선정하였다. 외경은 유리관의 파손 등을 고려하여 6 mm로 제작하였다.
  • CLPHP 는 증발부가 하단, 응축부가 상단에 위치한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체 길이는 210mm 이고 증발기 부분의 길이는 30mm 이고,응축부 길이는 60 mm이다. CLPHP 에서 튜브의내경은 아래 식(1)의 bond numebr 를 이용하여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P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등에 의해 1990 년에 도입된 맥동 히트파이프(pulsating heat pipe, PHP) 장치는 이러한 열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1]. PHP 에는 폐순환 PHP (CLPHP), 개순환PHP 및 추가 밸브를 적용한 개순환 PHP 등이 있다. 기존의 히트 파이프와 비교할 때 CLPHP는 wick 이 없는 구조로 이상 유동을 이용하는 수동 열전달 장치로 그 성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2-5].
맥동 히트파이프(pulsating heat pipe, PHP)가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는? Akachi et al.등에 의해 1990 년에 도입된 맥동 히트파이프(pulsating heat pipe, PHP) 장치는 이러한 열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1]. PHP 에는 폐순환 PHP (CLPHP), 개순환PHP 및 추가 밸브를 적용한 개순환 PHP 등이 있다.
환상류(annual flow)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CLPHP 의 내부 유동 패턴은 초기에 주입된 작동유체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기체 플러그 (vapor plug, VP)와 액체 슬러그(liquid slug, LS)가 분포하며 일정 이상의 열을 가하면 증발부와 응축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이로 인하여 내부 유동이 발생하고, 입력 열이 더욱 증가하면 유동은 환상류(annual flow)로 바뀐다. 이러한 내부 유동 패턴은 증발기 부분에서 응축기 부분으로의 열 전달 속도와 함께 전체열 전달 성능을 변화시키는 실질적인 요인으로,CLPHP 의 유동 패턴은 실험 조건과 다양한 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최근 다양한 연구들이 CLPHP 의 열전달 성능과 유동 패턴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고 있다[19-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kachi, F. P. H. & Stulc, P., 1996, "Pulsating heat pipe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Heat Pipe Symposium, pp. 208-217. 

  2. Groll, S. K. M., 2002, "Pulsating heat pipes: a challenge and still unsolved problem in heat pipe science," Archives of Thermodynamics, Vol. 23, pp. 17-28. 

  3. Pastukhov, V. G., Maidanik, Y. F. & Vershinin, C. V., 2003, "Miniature loop heat pipes for electronics cooling,"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3, pp. 1125-1135. 

  4. Saha, P., Ishii, M. & Zuber, N., 1976,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thermally induced flow oscillations in two-phase systems," Journal of Heat Transfer, Vol. 98, pp. 616-622. 

  5. Zuo, Z. J., North, M. T. & Wert, K. L., 2001, "High heat flux heat pipe mechanism for cooling of electronics,"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and Packaging Technologies, Vol. 24, pp. 220-225. 

  6. Burban, G., Ayel, V. & Alexandre, A., 2013,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pulsating heat pipe for hybrid vehicle application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50, pp. 

  7. Kargar, S. A. H., Ghiasi, M. & Jahangiri, M. S., 2013, "A novel integrated solar desalination system with a pulsating heat pipe," Desalination, Vol. 311, pp. 206-210. 

  8. Mangini, D., Mameli, M. & Georgoulas, A., 2015, "A pulsating heat pipe for space applications: Ground and microgravity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95, pp. 53-63. 

  9. Yang, H., Khandekar, S. & Groll, M., 2009,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ulsating heat pipes as integral thermal sprea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48, pp. 815-824. 

  10. Goshayeshi, H. R., Goodarzi, M. & Safaei, M. R., 2016,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nclination angle on heat transfer enhancement of a ferrofluid in a closed loop oscillating heat pipe under magnetic field,"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74, pp. 265-270. 

  11. Xue, Z. & Qu, W., 2014,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inclination angles to ammonia pulsating heat pipe," Chinese Journal of Aeronautics, Vol. 27, pp. 1122-1127. 

  12. Yang, H., Khandekar, S. & Groll, M., 2008, "Operational limit of closed loop pulsating heat pipe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pp. 49-59. 

  13. Khandekar, S., Gautam, A. P. & Sharma, P. K., 2009, "Multiple quasi-steady states in a closed loop pulsating heat pip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48, pp. 535-546. 

  14. Lips, S., Bensalem,A. & Bertin,Y., 2010, "Experimental evidences of distinct heat transfer regimes in pulsating heat pipes (PHP),"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30, pp. 900-907. 

  15. Mameli, M., Marengo, M. & Khandekar, S., 2014, "Local heat transfer measurement and thermo-fluid characterization of a pulsating heat pip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75, pp. 140-152. 

  16. Tong, B. Y., Wong, T. N. & Ooi, K. T., 2001, "Closed-loop pulsating heat pipe,"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1, pp. 1845-1862. 

  17. Xu. J. L., Li, Y. X. & Wong, T. N., 2005, "High speed flow visualization of a closed loop pulsating heat pipe,"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48, pp. 3338-3351. 

  18. Kim, Y. B., Song, H. W. & J. Sung, 2018, "Flow Behavior of Rapid Thermal Oscillation Inside an Asymmetric Micro Pulsating Heat Exchange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20, pp. 923-929. 

  19. Yang, K.S., Cheng, Y.C. & Liu, M.C., 2015, "Micro pulsating heat pipes with alternate microchannel width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83, pp. 131-138. 

  20. Yoon, A. & Kim, S. J., 2017, "Characteristics of oscillating flow in a micro pulsating heat pipe: Fundamental-mode oscil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09, pp. 242-253. 

  21. Yoon, A. & Kim, S. J., 2019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ies on oscillation frequencies of liquid slugs in micro pulsating heat pipe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81, pp. 48-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