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혼합분포함수를 적용한 최심신적설량에 대한 수문통계학적 빈도분석
Statistical frequency analysis of snow depth using mixed distribu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2, 2019년, pp.1001 - 1009  

박경운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동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신지예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에서 폭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액 또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폭설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내설 설계기준 마련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강설 자료의 특성으로 기준 설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부 지역에 있는 진주, 창원, 합천 지점의 적설량에 대한 수문통계학적 빈도분석을 수행하여 최심신적설량에 대한 설계수문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자료의 특성상 연도별 측정값이 '0'인 경우가 존재하여 기존의 빈도분석 방법을 적용할 경우 매개변수의 추정이 불가능한 상황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혼합분포함수를 이용하였고, 분포모형으로는 대수정규, 일반화 파레토, 일반화 극치, 감마, 검벨, 와이블 분포를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단일분포함수를 적용할 때 보다 혼합분포함수를 적용할 때 확률적설심이 더 작게 산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관측값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지점에서 혼합분포함수의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recent increasing heavy snow in Korea, the damage caused by heavy snow is also increasing. In Korea, there are many efforts including establishing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to reduce the damage throughout the country, bu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due to the charact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0’인 관측값의 수가 많을 경우, 자료의 통계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빈도분석시 과소 혹은 과다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혼합분포함수를 활용한 빈도분석을 제안하였다.
  • 이처럼 최근 수문분야에서도 혼합분포함수를 활용함으로써 자료의 통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 눈이 내리지 않았던 해의 자료를 반영하기 위하여 혼합분포함수를 이용한 최심신적설량 자료의 수문통계학적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954)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혼합분포모형의 적설 자료에 대한 빈도해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최적의 분포 모형을 제시하기 보다는 전체 분포 모형을 활용하여 빈도곡선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대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오는 기상현상을 의미한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대설에 의한 피해는 눈이 많이 쌓여서 발생하는 적설 피해, 눈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설압 피해, 가파른 경사면의 적설이 미끄러져 발생하는 눈사태 피해, 젖은 눈이 송전선 등의 가설물에 부착되어 발생하는 착설 피해, 도로에 얼은 눈으로 인한 교통사고 피해, 그리고 대설 발생 후 관리 소홀로 인한 피해 등 크게 6가지로 나뉜다(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인한 현상은? 북반구의 눈과 구름은 햇빛을 반사시켜 지표면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이 때문에 늘어난 찬 공기는 시베리아 고기압을 강하게 발달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시베리아 고기압은 한반도로 내려오면서 폭설을 유발한다(Han, 2014).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매해 폭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다.
북극지역 얼음의 해빙을 유발함으로서 초래되는 결과는?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인 지구온난화는 범지구적 기온 상승을 뜻하며, 그 결과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홍수와 폭설로 나타나 지구 곳곳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2). 지구온난화는 북극지역 얼음의 해빙(解氷)을 유발하며, 이는 구름의 대량 생성과 북반구 지역의 강설로 이어진다. 북반구의 눈과 구름은 햇빛을 반사시켜 지표면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이 때문에 늘어난 찬 공기는 시베리아 고기압을 강하게 발달시킨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것인데, 그렇다면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의 특징은?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인 지구온난화는 범지구적 기온 상승을 뜻하며, 그 결과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홍수와 폭설로 나타나 지구 곳곳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2). 지구온난화는 북극지역 얼음의 해빙(解氷)을 유발하며, 이는 구름의 대량 생성과 북반구 지역의 강설로 이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H.G., Uranchimeg, S., Kim, Y.T., and Kwon, H.H. (2018). "A bayesian approach to gumbel mixture distribution for the estimation of parameter and its use to th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8, No. 2, pp. 249-259 (in Korean). 

  2.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USA. 

  3. Chung, G.H. (2017). "Design criteria for reducing snowfall damage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7, No. 1, pp. 35-43 (in Korean). 

  4. De Paola, F., Giugni, M., Pugliese, F., Annis, A., and Nardi, F. (2018). "GEV parameter estimation and stationary vs. non-stationar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in african test cities." Hydrology, USGS, Vol. 5, No. 28, pp. 1-23. 

  5. Haan, C.T. (2002).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USA. 

  6. Han, W.S. (2014). The increase of heavy snow vulnerable area due to climate change and its countermeasur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No. 450, pp. 1-6 (in Korean). 

  7. Jennings, M.E., and Benson, M.A. (1969). "Frequency curves for annual flood series with some zero events or incomplete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AGU, Vol. 5, No. 1, pp. 276-280. 

  8. Kedem, B., Chiu, L.S., and Karni, Z. (1990). "An analysis of the threshold method for measuring area-average rainfal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ME, Vol. 29, No. 1, pp. 3-20. 

  9. Kim, K.J., and Yoo, C.S. (2007). "On the variation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WRA, Vol. 40, No. 12, pp. 943-956 (in Korean). 

  10. Kim, Y.S., Park, M.J., Kim, S.J., Moon, K.H., and Kim, H.S. (2010). "Estimation of frequency based snowfall depth and maximum snowfall depth in 2010,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WRA, pp. 1476-1480 (in Korean). 

  11.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2). Fundamentals of disaster management. Goomibook (in Korean). 

  12. Kwon, S.H., Park, H.S., and Chung, G.H. (2016). "Analysis of snow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policy for heavy snow."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6, No. 2, pp. 363-368 (in Korean). 

  13. Lee, J.J., Jung, Y.H., and Lee, S.W.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obable snowfall depth in Korea."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7, No. 2, pp. 53-63 (in Korean). 

  1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Republic of Korea (2015). Development of the advanced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effect of natural disaste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n).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8).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in Korean). 

  16. Park, H.S., and Chung, G.H. (2019). "Frequency analysis for annual maximum of daily snow accumulations using conditional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2, No. 9, pp. 627-635 (in Korean). 

  17. Shin, J.Y., Ahn, H.J., Jeong, C.S., and Ahn, J.H. (2018). "Frequency analysis of annual maximum wind speed in Korea using mixture distribution."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8, No. 7, pp. 61-69 (in Korean). 

  18. Shin, J.Y., and Lee, T.S. (2014). "Parameter estimation of the mixture normal distribution for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using meta-heuristic maximum likelihood."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4, No. 4, pp. 93-100 (in Korean). 

  19. Shin, J.Y., Kim, T.W., Kim, S.C., and Yoon, S.B. (2013). "Statistical frequency analysis of earthquake data at East Sea using mixed distribution function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3, No. 5, pp. 347-354 (in Korean). 

  20. Strupczewski, W.G., Weglarczyk, S., and Singh, V.P. (2003). "Impulse response of the kinematic diffusion model as a probability distribution of hydrologic samples with zero values."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27, No. 3-4, pp. 328-351. 

  21. Wang, S.X., and Singh, V.P. (1995). "Frequency estimation for hydrological samples with zero valu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1, No. 1, pp. 98-108. 

  22. Wei, T., and Song, S. (2019). "Probability weighted moments-based parameter estimation for kinematic diffusion and muskingum-based distribut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24, No. 12, pp. 04019054. 

  23. Woo, M.K., and Wu, K. (1989). "Fitting annual floods with zero-flows." Canadian Water Resources Journal, Vol. 14, No. 2, pp. 10-16. 

  24. Yoo, C.S., and Kim, K.J. (2004).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using a mixed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WRA, Vol. 37, No. 9, pp. 759-769 (in Korean). 

  25. Yoo, C.S., Jung, K.S., and Kim, T.W. (2005).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a mixed gamma distribution: evaluation of the global warming effect on daily rainfall." Hydrological Processes, Wiley, Vol. 19, No. 19, pp. 3851-3861. 

  26. Yu, I.S., Kim, D.H., and Jeong, S.M. (2016). "Assessment of design snow depth for green house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6, No. 1, pp. 247-25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