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인력정책 현황 및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Polic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409 - 423  

이효진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보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치과보조인력 정책의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과보조인력 공급 현황, 지역별 분포, 법적 업무, 근무환경 등의 측면에서 관련 선행문헌고찰 및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고, 관련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 수의 급격한 양적 증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 수는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치과계는 여전히 치과위생사 인력난을 경험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를 고려했을 때 치과진료보조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 치과보조인력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치과위생사 분포가 편중되고, 치과위생사로만 구성된 치과의료기관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지역별 치과보조인력 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수행 업무 중 많은 비중이 의료기사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사항이 아니므로 해당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수명, 업무 효율성, 직업전문성 및 만족도가 감소함에 따라 직무소진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와 실제 수행하는 업무와의 괴리, 직역 간 갈등의 심화는 정부 차원에서의 치과의료인력의 활용 계획과 방안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검토된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는 치과의료서비스 수요에 따라 치과위생사 인력의 역할을 정립하고, 필요 정책을 제도화하며, 인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urrent issues of workforce policy of dental auxiliary personnel in Korea. The 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in terms of the auxiliary personnel supply, regional distribution, legal works, working environment. Despite the rapid inc...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ussault와 Dubios가 정리한 바에 따르면[52], 보건의료인력정책은 크게 의료인력 공급에 대한 계획, 의료인력의 교육 및 훈련, 성과 관리 및 근로조건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과위생사정책의 현안과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검토된 바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에서 추진되어야 하는 치과위생사인력정책의 과제를 치과위생사 역할 재정립과 치과위생사 인력 수급 조절, 근로조건의 개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관련문헌들을 검토하고 비교함으로써 치과위생사 부족과 관련된 이슈 및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치과위생사 인력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치과위생사 인력수준의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둘째, 치과위생사 인력 정책 관련요인들의 현황을 분석하며, 셋째, 치과위생사 인력난과 관련된 정책방향을 검토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란 무엇인가? 치과위생사는 1973년 제정된 의료기사법에 따라 현재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 아래 진료나 의화학적 검사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는 1973년 의료기사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에 관한 업무’로 정의되었고[8], 이후 2015년 개정 시, 임시 충전, 임시 부착물 장착, 부착물 제거, 치아 본뜨기, 교정용 호선의 장착・제거업무가 명시되었다.
치과위생사 수의 급격한 양적 증가가 있음에도 치과위생사 인력난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과위생사 수의 급격한 양적 증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 수는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치과계는 여전히 치과위생사 인력난을 경험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를 고려했을 때 치과진료보조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 치과보조인력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치과위생사 분포가 편중되고, 치과위생사로만 구성된 치과의료기관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지역별 치과보조인력 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수행 업무 중 많은 비중이 의료기사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사항이 아니므로 해당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
의료인력 개발이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보건의료인력은 건강 증진 및 향상에 참여하는 인력으로서 보건의료서비스를 생산하는 자원 중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보건의료인력의 양적 및 질적수준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의료조직의 최종 성과가 국민의 건강임을 고려할 때 의료인력 개발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1]. 보건의료서비스는 노동집약적이고 팀 기반(teamapproach) 접근이 필요하며, 인력이 부재하면 보건의료서비스 자체를 제공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보건의료인력을 합리적으로 기획하고 양성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신영수, 김용익, 강길원, 강민아, 강영호, 의료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2. 이규식, 보건의료정책 뉴 패러다임, 계축문화사, 2015. 

  3. Expert committee on Auxiliary Dental Personnel, Expert Committee on Auxiliary Dental Personnel: first report, 1959. 

  4. T. J. Beazoglou, L. Chen, V. F. Lazar, L. J. Brown, S. C. Ray, D. R. Heffley, R. Berg, and H. L. Bailit, "Expanded function allied dental personnel and dental practi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76, No.8, pp.1054-1060, 2012. 

  5. M. Langelier, T. Continelli, J. Moore, B. Baker, and S. Surdu, "Expanded Scopes Of Practice For Dental Hygienists Associated With Improved Oral Health Outcomes For Adults," Health Affairs (Millwood), Vol.35, No.12, pp.2207-2215, 2016. 

  6. 정세환, 새로운 구강진료분담인력의 개발과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 2003. 

  7. http://www.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19579, 2018.11.26. 

  8. 박명숙, 김혜진, 배수명, 윤미숙, 장윤정, 김경선, 김기림, 김민영, 김지우, 류다영, 손승화, 손정희, 신선정, 양진영, 유지수, 이상임, 이영수, 장선옥, 정기옥, 정명희, 치위생학입문, 대한나래출판사, 2018. 

  9. http://www.academyinfo.go.kr/UIPISA/uipnh/unt/ipsrch/UntUntCprsSrchRdviewer.do,2018.11.26. 

  10.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A&conn_pathI3, 2018.12.19. 

  11. P. M. Johnson, "International profiles of dental hygiene 1987 to 2006: a 21-nation comparative study,"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Vol.59, pp.63-77, 2009. 

  12. P. A. Zillen and M. Mindak, "World Dental Demographics,"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Vol.50, pp.194-197, 2000. 

  13. R. Muroga, J. Tsuruta, and I. Morio, "Disparity in perception of the working condition of dental hygienists between dent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Vol.13, No.3, pp.213-221, 2015. 

  14.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nd Health Policy Institute, 2014 Survey of Dental Practic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14. 

  15. http://www.aihw.gov.au/workforce/dentist/, 2019.01.07. 

  16. The Council of European Dentists, Manual of Dental Practice 2015, 2015. 

  17.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치과진료실에서의 업무범위 가이드라인 제정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 2004. 

  18. ADAA/DANB Alliance, Dental assisting core competencies study, 2005 Dental Assisting National Board, Inc., 2005. 

  19. T. Usui and H. Miura, "Workforce re-entry for Japanese unemployed dental hygien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Vol.13, No.1, pp.74-78, 2015. 

  20. https://www.rdhmag.com/articles/print/volume-28/issue-2/feature/thoughts-from-japan.html 

  21. 장영은,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 업무 범위 및 권한에 관한 다국적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 T. Beazoglou, D. Heffley, L. J. Brown, and H. Bailit, "The impor/-tance of productivity in estimating need for dentists,"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133, pp.1399-1404, 2002. 

  23. T. Beazoglou, D. Heffley, S. Lepowski, J. Douglass, M. Lopez, and H. Bailit, "The dental safety net in Connecticut,"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136, pp.1457-1462, 2005. 

  24. G. Crakes, An economic estimation of dental practice production proces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1984. 

  25. https://money.usnews.com/careers/best-jobs/dental-hygienist, 2018.11.26. 

  26. http://www.ifdh.org/wk_abroad/australia.html, 2018.11.26. 

  27. 이태화, 강경화, 고유경, 조성현, 김은영,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06-116, 2014. 

  2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도별 12월 말 요양기관현황 신고기준 자료(요청자료), 2012-2016. 

  2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치과인력수급 현황 자료(요청자료), 2014. 

  30. 최혜정, 방효중, 정은영, 서영준,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영향요인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pp.295-301, 2014. 

  31.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30170231, 2018.11.26. 

  32. 대한치과위생사협회 경기도회,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경력단절 치과위생사의 직무 복귀를 위한 직무교육 요구도 및 정책과제 도출, 2016. 

  33. http://www.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63702, 2018.11.26. 

  34. 송윤신, 손흥규, 권호근,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57-474, 1995. 

  35. 이춘선, 박소용, 박혜민, 유윤, 신은경, 채송이, 한성옥, 오혜영,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관련특성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6호, pp.666-674, 2012. 

  36. 대한간호협회, 병원간호사 근로조건 개선 방향 보고서, 2016. 

  37. 강현숙, 문경숙, 강부월, 김남희, 소미현, 송귀숙, 신선정, 정영란, 정정화, 조윤영, 주금미, 최혜정, 한지형, 임상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18. 

  38. 한상숙, 손인순, 김남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6호, pp.878-887, 2009. 

  39. M. J. Kim and S. S. Han,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experience between national/public hospital nurses and private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3, No.1, pp.22-30, 2007. 

  40. 배성숙, 김선경, 노희진, 조효순, 남정란, 김성옥, 문소정, 정경이, 한선영, 김보경, 치과위생사 임상직제표준안 연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15. 

  41. M. Lavoie-Tremblay, L. O'brien-Pallas, C. Gelinas, N. Desforges, and C. Marchionni, "Addressing the turnover issue among new nurses from a generational viewpoi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6, No.6, pp.724-733, 2008. 

  42. 보건복지부, 2015 보건복지통계연보, 2015. 

  43. 한양금, 김응권, 김승희, 배수명, 양진영, 유지수, 황수정, 치과위생사의 실제 업무와 법적 업무에 관한 치과의사의 견해,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17. 

  44. 신보미, 배수명, 신선정, 이효진, 우리나라 치과보조인력 정책의 현황 및 과제,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구강보건정책연구회, 2018. 

  45. http://www.dailydental.co.kr/mobile/article.html?no87432, 2018.11.26. 

  46.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61, 2018.11.26. 

  47. http://www.dentalarir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8371, 2018.11.26. 

  48. http://www.dentalarir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77, 2018.11.1. 

  49. 치과의사신문, "치과계 불편한 진실 '불법 위임 진료'," 2014.11.13. 

  50. 박정란, 류정숙, 최부근, 한수진, 허선수, 황선희, 치과위생사의 업무확장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04. 

  51. 김남희, 허선수, 김은경, 장영은, 보건치과위생사의 자율(독립)적 직무수행 보장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보건회,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2017. 

  52. G. Dussault and C. A. Dubois, "Human resources for health policies: a critical component in health policies," Human Resources for Health, Vol.1, No.1, p.1, 2003. 

  5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년 건강보험통계연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54. M. Laurant, M. van der Biezen, N. Wijers, K. Watananirun, E. Kontopantelis, and A. J. van Vught, "Nurses as substitutes for doctors in primary car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7, p.CD001271, 2018. 

  55. P. Brocklehurst and R. Macery, "Skill-mix in preventive dental practice-will it help address need in the future?," BMC Oral Health, Vol.15, pp.1-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