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고 자기 효능감: 소비자 행동연구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Advertising Self-Efficacy: Theoretical Review for the Study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450 - 459  

엄남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설득적 메시지 소비 행태를 연구하기 위해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을 광고적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논의하고자 한다. 소비자가 컨트롤하는 미디어 환경, 소비자들의 다양한 광고 태도 및 대응전략 등을 검토하고, '자기 효능감' 개념이 정치, 교육 및 인터넷 분야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적용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광고적 관점에서 '자기 효능감'이 소비자 광고 태도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개념이 광고 연구 및 광고 산업에 끼치게 될 영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활발한 토의를 위해 이론적 정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수렴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조작적 정의를 위해 타당성 검증을 위한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도 향후 이루어지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new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self-efficacy' would be applied in an advertising context. The current study reviews consumer-controlled media environment, consumers' variou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strategies for coping for advertising...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존 문헌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처음으로 자기 효능감의 광고적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는 것에 큰의미를 둘 수 있다.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그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계획되었다. 하지만,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개념적 정의는 학자마다 다른 견해가 존재 할 수 있다.
  • 따라서 광고 자기 효능감(advertising self-efficacy) 이라는 개념을 통해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를 뉴미디어 환경에 맞게 살펴보고자 한다.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은 미국 심리학자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가 처음 제안했으며,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 정도로 정의된다[3].
  •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맞는,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설득 시도(persuasion attempt)에 대한 반응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광고 자기 효능감(advertising self-efficacy) 라는 개념을 소개하여, 뉴미디어 광고 소비자 심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자기 효능감(self-efficacy)라는 심리학에서 시작된 개념이 심리학적, 정치적, 사회적, 학문적, 그리고 인터넷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 및 사용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 효능감이 각 분야에 어떻게 정의되고, 적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광고 자기 효능감의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향후 광고 연구및 광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광고 소비 행태를 분석하고, 기존 설득지식 모델과의 차이점을 통해 광고 자기 효능감을 설명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 효능감이 각 분야에 어떻게 정의되고, 적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광고 자기 효능감의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향후 광고 연구및 광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설득적 메시지에 대한 태도 및대응전략 그리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심리 사회학적 개념이 다른 학문에 어떻게 적용되어 새롭게 정의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 효능감 차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에서 자기 효능감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다.
  • 자기 효능감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교육, 인터넷 등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및 활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광고 소비 행태를 분석하고, 기존 설득지식 모델과의 차이점을 통해 광고 자기 효능감을 설명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 효능감이 각 분야에 어떻게 정의되고, 적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광고 자기 효능감의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 앞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 정치적, 학문적 그리고 인터넷 분야에서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자기 효능 감이 낮고 높은 개인들과의 차이가 어떤 결과를 낳는지 살펴 보았다. 그렇다면, 광고 자기 효능감이 높은 개인과 낮은 개인은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우선, 광고에서 자기 효능감은 어떻게 정의 내릴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 되어야 한다.
  • 따라서, 광고 자기 효능감(advertising self-efficacy) 라는 개념을 소개하여, 뉴미디어 광고 소비자 심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자기 효능감(self-efficacy)라는 심리학에서 시작된 개념이 심리학적, 정치적, 사회적, 학문적, 그리고 인터넷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 및 사용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 효능감 차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통해 연구에서 자기 효능감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존 문헌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처음으로 자기 효능감의 광고적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는 것에 큰의미를 둘 수 있다.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그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계획되었다.

가설 설정

  • 사회 심리학자 페티와 카치오포는 사회 심리학 및 소비자 심리학에서 사용되던 태도 변화에 관한 접근들을 종합하여 설득 이론으로서 정교화 가능성 모형을 제시 했다[26]. [그림 2]와 같이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 Elaboration Likelihood Model)에서는 메시지가 중심 경로(central route)와 주변 경로(peripheral route)라는두 가지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시된 메시지가 어떤 경로로 처리되는지의 문제는 메시지의 질이나 관여도와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 된다[26].
  • 사회 학습론에서 발전한 사회 인지이론은 심리학자인 밴듀라에 의해 처음 제시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은 인식, 자기 효능감, 자기조절로 구성되는 행동적 요인 그리고 환경, 관찰학습, 상황, 행동강화로 구성되는 환경적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결정된다고 설명한다[3]. 즉, 사회 인지이론은 학습은 관찰자와 모델 사이에 긴밀한 동일시화가 존재하고, 관찰자가 어느 정도의 자기 효능감을 가지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자기 효능감이란 목표한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계획하고 수행 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 정의 될 수 있다[19].
  • 즉, 설득지식 모델은 소비자들은 본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득지식을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설득지식 모델에 따르면 설득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구조는 설득지식(persuasion knowledge), 설득행위의 주체인 에이전트(agent)에 대한 지식, 설득 메시지 주제에 대한 지식(topic knowledge)으로 구성된다(Friedstad & Wright, 199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미디어 광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뉴미디어 광고의 특징은 매체 속성이 가지고 있는 소비자와의 ‘인터렉티비티 (interactivity)’가 본질이다. 뉴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존 전통매체에서와는 달리 보다 능동적인 미디어 소비의 주체가 되었으며, 광고 노출도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소비자 본인이 관심 있는 제품에 노출 될 수 있도록 미디어 환경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자기 효능감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광고 자기 효능감(advertising self-efficacy) 이라는 개념을 통해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를 뉴미디어 환경에 맞게 살펴보고자 한다.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은 미국 심리학자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가 처음 제안했으며,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 정도로 정의된다[3]. 자기 효능감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교육, 인터넷 등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및 활용되어왔다.
소비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 환경의 주체가 되고 있는 상황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뉴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존 전통매체에서와는 달리 보다 능동적인 미디어 소비의 주체가 되었으며, 광고 노출도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소비자 본인이 관심 있는 제품에 노출 될 수 있도록 미디어 환경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소비자들의 능동적 미디어 소비 행태로 인해 광고 콘텐츠 형식도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며,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와 브랜드 저널리즘(brand journalism)과 같은 형식의 광고의 출현으로 광고의 구분도 점차 모호해 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광고 형식의 출현과 뉴미디어 소비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른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즉, 소비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 환경의 주체가 되고 있는 상황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Friestad and P. Wright,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1, No.1, pp.1-31, 1994. 

  2. M. C. Campbell and A. Kirmani, "Consumers' use of persuasion knowledge: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and cognitive capacity on perceptions of an influence ag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7, No.1, pp.69-83, 2000. 

  3.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Inc. 1986. 

  4. https://www.themediabriefing.com/article/how-will-international-media-consumption-and-advertising-change-by-2017. 

  5. http://www.zenithoptimedia.com/internet-use-drive-1-4-increase-media-consumption-2015. 

  6. www.adweek.com/aw/esearch/article_display.jsp?vnu_content_id1001180539 

  7. Y. Liu and L. J. Shrum,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lways such a good th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person, and situa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4, pp.53-64, 2002. 

  8. C. Obermiller and E. R. Spangenberg,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consumer skepticism toward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7, No.2, pp.159-186, 1998. 

  9. C. D. Ham, M. R. Nelson, and S. Das, "How to measure persuasion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34, No.1, pp.17-53, 2015. 

  10. P. S. Speck and M. T. Elliott,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pp.61-76, 1997. 

  11. J. P. Johnson, "Targeted advertising and advertising avoidance,"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44, No.1, pp.128-144, 2013. 

  12. T. J. Olney, M. B. Holbrook, and R. Batra,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The effects of ad content, emotions, and attitude toward the ad on viewing tim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No.4, pp.440-453, 1991. 

  13. J. L. Woltman Elpers, M. Wedel, and R. G. Pieters, "Why do consumers stop viewing television commercials? Two experiments on the influence of moment-to-moment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valu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0, No.4, pp.437-453, 2003. 

  14. M. L. Fransen, P. W. Verlegh, A. Kirmani, and E. G. Smit, "A typology of consumer strategies for resisting advertising, and a review of mechanisms for countering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34, No.1, pp.6-16, 2015. 

  15. J. Z. Jacks and K. A. Cameron, "Strategies for resisting persuasion,"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5, pp.145-161, 2003. 

  16. P. Meirick, "Cognitive responses to negative and comparative political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1, pp.49-62, 2002. 

  17. M. R. Leary and R. F. Baumeister, "The nature and function of self-esteem: Sociometer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32, pp.1-62, 2000. 

  18. 김정현, "설득 지식 모델의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홍보학연구, Vol.10, No.2, pp.61-88, 2006. 

  19. A. Bandura, Self-efficacy, John Wiley & Sons, Inc. 1994. 

  20. J. S. Eccles and A. Wigfield,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3, No.1, pp.109-132, 2002. 

  21. S. M. Elias and R. J. Loomis, "Utilizing Need for Cognition and Perceived Self-Efficacy to Predict Academic Performance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2, No.8, pp.1687-1702, 2002. 

  22. F. Pajares and D. H. Schunk, "Self and self-belief in psychology and educa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education, pp.3-21, 2002. 

  23. M. S. Eastin and R. LaRose, "Internet self efficacy and the psychology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6, No.1, 2000. 

  24. L. F. Thompson, J. P. Meriac, and J. G. Cope, "Motivating online performance the influences of goal setting and internet self-efficacy,"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20, No.2, pp.149-160, 2002. 

  25. M. J. Tsai and C. C. Tsai, "Information searching strategies in web-based science learning: The role of Internet self-efficacy,"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Vol.40, No.1, pp.43-50, 2003. 

  26.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pp.123-205, 1986. 

  27. R. E. Petty, J. T. Cacioppo, and D. Schuman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0, No.2, pp.135-146,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