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복지분야의 통합적 케어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Integrated Care Setting for the Elderly and the Roles of Soc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441 - 456  

윤경아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효과를 탐색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다학제팀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수기 검색을 단계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는 케이스매니지먼트, 개별케에플랜, 서비스 특성, 클라이언트 욕구중심, 환자교육, 자기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노인의 케어경험과 건강 및 경제적 측면에서, 결과가 혼합되어 있긴 하지만, 대조군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노인에게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다학제팀에서 사회복지사는 케이스매니저, 케어매니저, 케어코디네이터, 그리고 직접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and effects of integrated care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and to describe the roles of social workers on the multidisciplinary teams. A rapid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a database-based search and a manual search. The main fin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소기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다학제팀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서비스의 주요 제공인력인 사회복지사가 포함된 다학제팀의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 다음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바탕으로 최근 급변하는 국내 보건복지환경 변화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될 통합적 케어에 대한 준비를 대학교육과 실무현장, 그리고 정부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대학 교육차원의 준비와 관련하여, 최근 구미대학과 광주보건대학 등 국내대학들에서도 시도되고 있는 전문직 간연계교육(Interprofeesional Education: IPE) 확산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바탕으로 최근 급변하는 국내 보건복지환경 변화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될 통합적 케어에 대한 준비를 대학교육과 실무현장, 그리고 정부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대학 교육차원의 준비와 관련하여, 최근 구미대학과 광주보건대학 등 국내대학들에서도 시도되고 있는 전문직 간연계교육(Interprofeesional Education: IPE) 확산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PE는 둘 이상의 전문가들이 함께 배우고 서로에게 배우고 또 서로에 관해 배움으로써 효과적으로 협업하고 건강상 결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43].
  • 본 연구에서는 Valentijn 등이 제시한 임상적 통합의 요소 중 케이스매니지먼트, 다학제팀에 의한 개별케어 플랜, 클라이언트 참여, 환자교육, 자기관리, 서비스 특성, 클라이언트 욕구중심에 대해 살펴보았다[표 2]. 먼저, 케어매니지먼트나 케어코디네이션을 포함한 ‘케이 스매니지먼트’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에서 임상적 통합의 주요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 이러한 통합적 케어의 차원 혹은 차원별 요소들은 통합적 케어가 소기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원리나 구조 즉 메커니즘이다 [26]. 본 연구에서는 운영활동 변화에 초점을 둔 임상적 통합의 차원에서 통합적 케어의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 보았다. 통합적 케어의 다양한 차원 중에서 임상적 통합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임상적 통합은 조직간 통합 없이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임상적 통합이 없이는 좀 더 강화된 통합의 형태인 조직간 통합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27].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소기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다학제팀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 연구자가 기대하지 않은 부정적인 결과보다 의미있게 보이는 긍정적 결과를 더 출간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48]. 이러한 출판편향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구결과를 제시할 때 유의하게 나온 부정적 결과와 더불어 유의하게 나오지 않은 결과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어로 출판된 연구로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 통합이 여러 방식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통합적 케어가 소기의 성과를 내는데 기본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팀워크나 케이스매니지먼트, 환자와 가족의 참여 같은 서비스 제공 방식이나 운영활동 변화인데 [16], 이러한 요소가 곧 임상적 통합의 요소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국외 프로그램의 경험과 제도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합적 케어의 기본적인 의미는? 통합적 케어(integrated care)의 개념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의미는 분절되어 있는 서비스나 조직의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고, 서비스 대상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종류의 ‘케어’를 전달하는 것이다[1]. 일반적으로 노인분야에서는 일차의료와 보건복지서비 스를 한 세팅에서 결합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적 케어가 노인분야에서는 어떤 의미인가? 통합적 케어(integrated care)의 개념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 기본적인 의미는 분절되어 있는 서비스나 조직의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고, 서비스 대상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종류의 ‘케어’를 전달하는 것이다[1]. 일반적으로 노인분야에서는 일차의료와 보건복지서비 스를 한 세팅에서 결합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합적 케어는 보건의료와 복지 등으로 분절된 서비스를 결합하여 전달함으로써 케어의 질과 비용효 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강조되고 있다[2].
통합적 케어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복합적인 욕구가 있는 사람 들을 대상으로 이미 케이스매니지먼트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합적 케어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통합적 케어에서는 초점이 조직수준으로까지 확대되어 의료적으로 복합적인 욕구나 장기요양의 욕구가 있는 사람들에게 더 적합한 방법으로 여겨지기 때문 이다[1].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이유와 더불어 정책적 요인 으로 인해 통합적 케어의 필요성이 부각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N. Goodwin, "Understanding Integrated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16, No.4. pp.1-4, 2016. 

  2. S. Shaw, R. Rosen, and B. Rumbold, What is Integrated Care? London: Nuffield Trust, 2011. 

  3. M. de Stampa, I. Vedel, J. F. Buyck, L. Lapointe, H. Bergman, F. Beland, and J. Ankri, "Impact on Hospital Admissions of an Integrated Primary Care Model for Very Frail Elderly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8, pp.350-355, 2014. 

  4. D. Kodner and C. Spreeuwenberg, "Integrated Care: Meaning, Logic,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 A Discussion Pap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2, No.14, pp.1-6, 2002. 

  5. D. Redding, "The Narrative for Person-Centred Coordinated Care,"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21, No.6, pp.315-325, 2013. 

  6. WHO, Integrated Care Models: An Overview, 2016. 

  7. K. V. Stein, Integrated Care around the World Examples to Help Improve (Primary) Health Care in Poland, Warsaw: National Health Fund, Central Office Department of Analysis and Strategy, 2016. 

  8. N. Gruber and U. Holtgrewe, INNOVCare, Austria: Centre for Social Innovation, 2017. 

  9. N. Gruber and U. Holtgrewe, Memo on Existing Integrated Care Practices and Exploration of Possible Application Areas for Rare Disease Patients, https://innovcare.eu/wp-content/uploads-/2017/08/INNOVCare_WP9_Literature-review.pdf, 2018. 10. 15. 

  10. P. Valentijn, S. Schepman, W. Opheij, and M. Bruijnzeels, "Understanding Integrated Care: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Integrative Functions of Primary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13, No.1, 2013. 

  11. E. Fraher, E. L. Richman, L. de Saxe Zerden, and B. Lombardi, "Social Work Student and Practitioner Roles in Integrated Care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5, No.6, pp.281-289, 2018. 

  12. A. Cronqvist and K. Sundh, "O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the Service of Older People Living at Home.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Practice Development Journal, Vol.3, No.2, 2013. 

  13. M. Fraser, B. Lombardi, S. Wu, L. de Saxe Zerden, E. Richman, and E. Fraher, "Integrated Primary Care and Social Work: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Vol.9, No.2, pp.175-215, 2018. 

  14. V. Stanhope, L. Videka, H. Thorning, and M. McKay, "Moving toward Integrated Health: An Opportunity for Social Work," Social Work in Health Care, Vol.54, No.5, pp.383-407, 2015. 

  15. https://www.health.org.uk/publications/doesclinical-coordination-improve-quality-and-save-money, 2019. 02. 25. 

  16. M. Kirst, J. Im, T. Burns, G. Baker, J. Goldhar, P. O'Campo, A. Wojtak, and W. Wodchis, "What Works in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are Programs for Older Adults with Complex Needs? A Realist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9, No.5, pp.612-624, 2017. 

  17. K. Wynia, B. Kremer, S. Spoorenberg, R. Uittenbroek, and S. Reijneveld, "Embrace: A Population Based Integrated Elderly Care model Showed Improved Results and Saves Costs,"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24, No.2, 2014. 

  18. J. Wiener, E. Gould, S. Shuman, R. Kaur, M. Ignaczak, and K. Maslow, Examining Models of Dementia Care: Final Report, Report prepared for the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RTI International, 2016. 

  19. F. Ruikes, A. Meys, G. van de Wetering, R. Akkermans, B. van Gaal, S. Zuidema, H. Schers, T. van Achterberg, and R. Koopmans, "The CareWell-Primary Care Program: Design of a Cluster Controlled Trial and Process Evaluation of a Complex Intervention Targeting Community-Dwelling Frail Elderly," BMC Family Practice, Vol.13, No.1, 2012. 

  20. http://www.projectaida.eu/wp-content/themes/thunderbolt/docs/Swedish_Skora.pdf, 2018. 11. 02. 

  21. S. Spoorenberg, Embracing the Perspectives of Older Adults in Organising and Evaluating Person-Centred and Integrated Care, Research Institute SHARE, 2017. 

  22. R. Uittenbroek, H. Kremer, S. Spoorenberg, S. Reijneveld, and K. Wynia,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Improves Perceived Quality of Care: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mbrace," J Gen Intern Med, Vol.32, No.5, pp.516-522, 2016. 

  23. Center for Consumer Management in Health Innovation, Care That Works: Geriatric Resources for Assessment and Care of Elders(GRACE), 2018. 

  24.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1283750?termMaximizing+Independence+at+Home+%28MIND+at+Home%29&rank1, 2018. 11. 11. 

  25. M. MacAdam, "PRISMA: Program of Research to Integrate the Services for the Maintenance of Autonomy. A system-level integration model in Quebec,"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15, No.6, 2015. 

  26. J. M. Evans, G. R. Baker, W. Berta, and J. Barnsley, "The Evolution of Integrated Health Care Strategies," Advances in Health Care Management, Vol.15, pp.125-161, 2013. 

  27. N. Curry and C. Ham, Clinical and Service Integration: The Route to Improved Outcomes, London: King's Fund, 2010. 

  28. F. Ruikes, E. Adang, W. Assendelft, H. Schers, R. Koopmans, and S. Zuidema, "Cost-Effectiveness of a Multicomponent Primary Care Program Targeting Frail Elderly People," BMC Family Practice, Vol.19, No.1, 2018. 

  29. H. Berglund, H. Hasson, K. Kjellgren, and K. Wilhelmson, "Effects of a Continuum of Care Intervention on Frail Older Persons' Life Satisfa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4, No.7-8, pp.1079-1090, 2015. 

  30. S. Spoorenberg, K. Wynia, R. Uittenbroek, H. Kremer, and S. Reijneveld, "Effects of a Population-Based, Person-centred and Integrated Care Service on Health, Wellbeing and Self-Management of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n Embrace," PloS one, Vol.13, No.1, 2018. 

  31. S. Counsell, C. Callahan, W. Tu, T. Stum, and G. Arling, "Cost Analysis of the Geriatric Resources for Assessment and Care of Elders Care Management Interventio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7, No.8, pp.1420-1426, 2009. 

  32. C. Schubert, L. Myers, K. Allen, and S. Counsel, "Implementing Geriatric Resources for Assessment and Care of Elders Team Care in a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Lessons Learned and Effects Observed,"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64, No.7, pp.1503-1509, 2016. 

  33. Q. Samus, D. Johnston, B. Black, E. Hess, C. Lyman, A. Vavilikolanu, J. Pollutra, J. Leoutsakos, L. Gitlin, P. Rabins, and and C. Lyketsos, "A Multidimensional Home-Based Care Coordination Intervention for Elders with Memory Disorders: The Maximizing Independence at Home (MIND) Pilot Randomiz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Vol.22, No.4, pp.398-414, 2014. 

  34. H. Amjad, S. Wong, D. Roth, J. Huang, A. Willink, B. Black, D. Johnston, P. Rabins, L. Gitlin, C. Lyketsos, and Q. Samus, "Health Services Utiliz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Receiving Care Coordination: The MIND at Home Trial," Health Services Research, Vol.53, No.1, pp.556-579, 2018. 

  35. R. Hebert, M. Raiche Michel, M. Dubois, N. Gueye, N. Dubuc, M. Tousignant, and PRISMA Group, "Impact of PRISMA, A Coordination - Type Integrated Service Delivery System for Frail Older People in Quebec (Canada): A Quasi-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5, No.1, pp.107-118, 2010. 

  36. P. Valentijn, I. Boesveld, D. van der Klauw, D. Ruwaard, J. Struijs, J. Molema, M. Bruijnzeels, and H. Vrijhoef, "Towards a Taxonomy for Integrated Care: A Mixed-Method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15, No.4, 2015. 

  37. https://www.health.org.uk/publications/does-clinical-coordination-improve-quality-and-savemoney, 2019. 02. 25. 

  38. https://www.cswe.org/getattachment/Centers-Initiatives/CSWE-Gero-Ed-Center/Teaching-Tools/Gero-Competencies/Practice-Guides/Assignments-Measurments/CI-Sec2-Role-SW.pdf.aspx, 2019. 02. 26. 

  39.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 연계사업 설명자료, 2019. 01. 10. 

  40. 대전광역시 서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 사례관리 담당자 인터뷰, 2019. 02. 25. 

  41. G. Ellis, M. A. Whitehead, D. O'Neill, P. Langhorne, and D. Robinso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for Older Adults Admitted to Hospital,"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 

  42. L. Burns, G. Gimm, and S. Nichols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Integrated Health Organizations,"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Vol.50, No.3, pp.191-212, 2005. 

  43.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Framework for Action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Collaborative Practice, Geneva, Switzerland: WHO. 2010. 

  44. 김건희, 황은희, 신수진, "간호교육에서의 전문직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발전방향," 의학교육논단, 제19권, 제1호, pp.18-24, 2017. 

  45. https://www.apa.org/education/grad/curriculum-seminar.aspx, 2018. 11. 11. 

  46. https://www.samhsa.gov/about-us/about-cihs, 2018. 12. 11. 

  47.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2019. 01. 10. 

  48.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504425.pdf, 2018. 12. 15.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