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XRD와 TEM을 이용한 MAPbI3의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 분석
Investigation of Electron Thermally Induced Phase Transition in MAPbI3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In-Situ XRD and TEM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2 no.1, 2019년, pp.64 - 69  

최진석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엄지호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윤순길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ylammonium lead triiodide ($MAPbI_3$)-based perovskite solar cells potentially have potential advantages such as high efficiency and low-cost manufacturing procedures. However, $MAPbI_3$ is structurally unstable and has low phase-change temperatures ($30^{\circ}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MAPbI3구조의 온도 의존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간 온도 변화 X선 회절 분석법(in-situ X-ray diffraction,XRD)과 전자 빔에 의한 실시간 온도 변화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전자 에너지 손실 분광법(electron energy loss apectroscopy,EELS)을 이용하여 실시간 상변화를 분석하였다. 박막 제조 온도별로 제작된 시편을 이용하여 구조 분석은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실시간 온도 변화에 따른 결정 구조 변화는 분석은 시편 제작, 시편 손상 등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연구가 어려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전지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매우 단순한 원리를 이용한다. 최근 지구의 온난화, 기후 변화 및 저탄소정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로서, 청정에너지라는 시대에 맞추어 각광받는 에너지 기술이다. 하지만 기존 실리콘 소재의 태양전지는 설치비용 및 에너지효율에서 다른 연료전지와 비교했을 때 큰 장점을 갖지 못하였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점은? 하지만 염료감응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 DSSC), 유기물 태양전지, 퀀텀닷 태양전지 등 각각의 장점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가 주목되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2009년에 처음 보고된 이후 기존 태양전지에 비해 쉬운 제조방법, 높은 광전변환 효율성 등의 장점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장점을 융합하여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고, 전기적으로 고효율을 가지고 있는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가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1-3].
온도 변화로 인한 MAPbI3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온도 변화에 의해 MAPbI3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온 XRD와 전자 빔으로 온도를 상승시킨TEM에서 구조 분석 결과 약 30℃에서 입방정계에서 정방정계로 상변화가 일어나고, 130℃ 부근에서 정방정계에서 PbI2 삼방정계로 각각 상변화가 일어난다. 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가 일어남을 보여준다. 또한 낮은 밀도지만 낮은 온도에서부터 이미 PbI2가 부분적으로 상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Pb+와 I는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에서 구조적 및 열적으로 불안정한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 상태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에 의해 여기되고 더 활동적으로 변화되어 구조의 분해를 유발하고 상변화와 상분리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 K. Kim, Y. H. Min, S. Noh, E. Cho, G. Jeong, M. Joo, S. W. Ahn, J. S. Lee, S. Kim, K. Ihm, H. Ahn, Y. Kang, H. S. Lee, and D. Kim, Sci. Rep., 7, 4645 (2017). [DOI: https://doi.org/10.1038/s41598-017-04690-w] 

  2. M. Gratzel, Nat. Mater., 13, 838 (2014). [DOI: https://doi.org/10.1038/nmat4065] 

  3. Y. Zhao and K. Zhu, Chem. Soc. Rev., 45, 655 (2016). [DOI: https://doi.org/10.1039/C4CS00458B] 

  4. R. J. Sutton, G. E. Eperon, L. Miranda, E. S. Parrott, B. A. Kamino, J. B. Patel, M. T. Horantner, M. B. Johnston, A. A. Haghighirad, D. T. Moore, and H. J. Snaith, Adv. Energy Mater., 6, 1502458 (2016). [DOI: https://doi.org/10.1002/aenm.201502458] 

  5. G. E. Eperon, S. D. Stranks, C. Menelaou, M. B. Johnston, L. M. Herz, and H. J. Snaith, Energy Environ. Sci., 7, 982 (2014). [DOI: https://doi.org/10.1039/C3EE43822H] 

  6. B. Conings, J. Drijkoningen, N. Gauquelin, A. Babayigit, J. D'Haen, L. D'Olieslaeger, A. Ethirajan, J. Verbeeck, J. Manca, E. Mosconi, F. D. Angelis, and H. G. Boyen, Adv. Energy Mater., 5, 1500477 (2015). [DOI: https://doi.org/10.1002/aenm.201500477] 

  7. M. Liu, M. B. Johnston, and H. J. Snaith, Nature, 501, 395 (2013). [DOI: https://doi.org/10.1038/nature12509] 

  8. Z. Xiao, Q. Dong, C. Bi, Y. Shao, Y. Yuan, and J. Huang, Adv. Mater., 26, 6503 (2014). [DOI: https://doi.org/10.1002/adma.201401685] 

  9. Y. J. Kim, T. V. Dang, H. J. Choi, B. J. Park, J. H. Eom, H. A Song, D. Seol, Y. Kim, S. H. Shin, J. Nah, and S. G. Yoon, J. Mater. Chem. A, 4, 756 (2015). [DOI: https://doi.org/10.1039/C5TA09662F] 

  10. D. Weber, Z. Naturforsch., B: Chem. Sci., 33, 1443 (1978). [DOI: https://doi.org/10.1515/znb-1978-1214] 

  11. A. Poglitsch and D. Weber, J. Chem. Phys., 87, 6373 (1987). [DOI: https://doi.org/10.1063/1.453467] 

  12. S. Luo and W. A. Daoud, Materials, 9, 123 (2016). [DOI:https://doi.org/10.3390/ma9030123] 

  13. R. F. Egerton, P. Li, and M. Malac, Micron, 35, 399 (2004). [DOI: https://doi.org/10.1016/j.micron.2004.02.003] 

  14. S. B. Vendelbo, P. J. Kooyman, J. F. Creemer, B. Morana, L. Mele, P. Dona, B. J. Nelissen, and S. Helveg, Ultramicroscopy, 133, 72 (2013). [DOI: https://doi.org/10.1016/j.ultramic.2013.04.004] 

  15. C. Colliex, Science, 347, 611 (2015). [DOI: https://doi.org/10.1126/science.aaa5311] 

  16. R. F. Egerton, Micron, 34, 127 (2003). [DOI: https://doi.org/10.1016/S0968-4328(03)00023-4] 

  17. G. R. Kumar, A. D. Savariraj, S. N. Karthick, S. Selvam, B. Balamuralitharan, H. J. Kim, K. K. Viswanathan, M. Vijaykumarc, and K. Prabakar, Phys. Chem. Chem. Phys., 18, 7284 (2016). [DOI: https://doi.org/10.1039/C5CP06232B] 

  18. B. D. Cullity and S. R. Stock,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Addition-Wesley, Boston, 1978) p. 26. 

  19. T. Supasai, N. Rujisamphan, K. Ullrich, A. Chemseddine, and T. Dittrich, Appl. Phys. Lett., 103, 183906 (2013). [DOI:https://doi.org/10.1063/1.4826116] 

  20. K. P. Ong, T. W. Goh, Q. Xu, and A. Huan, J. Phys. Chem. Lett., 6, 681 (2015). [DOI: https://doi.org/10.1021/jz502740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