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악형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과 취약지역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in Rugged Mountain Range in the Kore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552 - 561  

이성재 (서울대학교 학술림) ,  이은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태풍 혹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유발되는 산지토사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립공원 지역은 대부분 산악지로 이루어져 있고 지형의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이 얕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악형 국립공원(설악산, 소백산, 지리산)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지 446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다양한 산림환경 인자별로 조사하고 산사태발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평균면적, 평균 침식량, 평균 길이, 폭은 각각 1,212 ㎡, 1,389 ㎥, 75 m, 12.9 m로 나타났다. 산림환경 인자가 산사태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면경사도 (31~40°), 사면방위 N(북사면), 종단·횡단사면 오목(凹), 표고(401~800 m), 사면위치 산복, 하천차수 1차, 임상 혼효림, 모암 화강암, 토심 (46 cm 이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사태가 발생한 피해지에서의 침식량과 산림환경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종단사면(복합), 표고(1,201 m 이상), 토심(46 cm 이상)에서 1% 수준 내에서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debris-flow disasters are induced by typhoon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annually. These disasters are particularly severe in the Korean national park due to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산사태의 경우 정확한 발생 시간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강우인자의 영향을 분석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관성 분석이 불가능한 강우인자를 제외하고 산림환경 인자가 산사태 발생 빈도와 침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산사태 발생침식량(㎥)과 산림환경 인자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종단사면(복합), 표고(1,201 m 이상), 토심(46 ㎝ 이상)에서 1% 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횡단사면(볼록)에서 5%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의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산악형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 및 취약지역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종합하여 해석하였다. 이는 추후 산사태 등 산지토사재해 발생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학술적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산악형 국립공원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 특성과 산림환경 인지가 산사태 발생 빈도 및 침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설악산, 소백산, 지리산을 중심으로 총 446개소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산사태 발생특성(규모, 산림환경인자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의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의 특징은? 산사태는 호우시 빗물에 의해 포화된 토괴가 균형을 잃고 중력에 의해 무너져 내리는 붕괴현상으로 산림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자연자원 피해의 큰 원인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Ma and Jeong, 2007; Ma et al.,2008; Lee and Ma, 2018; Lee et al.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연경관지로서 소중히 보전해야 할 겨레의 유산이며 국민휴식공간이다. 지난 수십 년간 연간 3,000만 명이 넘는 탐방객들로 붐빈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부상했지만 탐방객들을 위한 편의시설과 탐방객 증가로 인위적인 훼손이나 산사태 및 낙석 등으로 자연적인 환경피해가 가속화되고 있어 방문객 및 인근 주민들에게 불안감을 가중시키므로 이에 대한 복구 및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Kwon et al.
강우량 및 강우강도 증가로 산림재해 발생이 집중화·대형화되어 늘어난 것은? 최근 우리나라는 산사태로 인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피해면적 393㏊, 인명피해 218명에 달하고, 특히 집중강우에 의한 피해가 절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산 피해는 약 5조 4천억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Jung,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 A.R. and Kim, T.H. 2017. Detection and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affecting the landslid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7(5): 157-162. 

  2. Cho, Y.C. and Chang, T.W. 2006.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and foint characteristics in gangneung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of Korea 16(4): 437-453. 

  3. Choi, K. 1986. Landslides occurrence and its prediction in Korea.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45. 

  4. Dyrness, C.T. 1967. Mass soil movement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PNW 42: 1-14. 

  5. Dai, F. C., Lee, C. F., Li, J. and Xu, Z. W., (2001), Assess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on the natural terrain of Lantau Island, Hong Kong. Environmental Geology 40(2): 381-391. 

  6. European Community Program (EPOCH). 1993. Temporal occurrence and forecasting of landslides in the european Community. Contract No. 900025. 

  7. Hutchinson, J.N. 1988. Morphological and geotechnical parameters of landslides in relation to geology and hydrology, In Landslides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s. Balkema, Rotterdam, pp. 3-35. 

  8. Ikeya, H. 1989. Debris flow and its countermeasures in Japan, Bull. of the IAEG. 40(1): 15-33. 

  9. Jung, Y.D.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untainous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recreation forest.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4. 

  10. Jung, K.W. 2010. Studies on the caus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and the development of hazard prediction map for landslide in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4. 

  11. Kang, W.P., Ma, H.S. and Jeong, M.G. 1988. Studies on the landslides caused by typhoon No. 875 in Gyeongsangnam - do Distiricts. Journal Korean Forestry Society 77: 276-282 

  12. Kim, K.S., Kim, W.Y., Chae, B.G., Song, Y.S. and Cho, Y.C. 2005.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5(2): 105-212. 

  13. Kim, W.Y., Chae, B.G., Kim, K.S., Ki, W.S., Cho, Y.C., Chio, Y.S., Lee, S.R. and Lee, B.J. 2000. Prediction and mitigation of landslide hazards. KR-00(T)-09. pp. 124. 

  14. Kim, W.Y., Lee, S.R., Kim, K.S. and Chae, B.G. 1998. Landslide types and susceptibilities related to geomorphic characteristics(Yeonchon, Chulw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8(2): 115-130. 

  15. Kim, S.W., Chun, K.W., Kim, J.H., Kim, M.S. and Kim, M.S. 2012.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in 2011.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1): 28-35. 

  16. Kwon, H.J., Lee, C.W., Woo, C.S., Kim, D.Y., Youn, H.J. and Park, S.J. 2015. A status of landslide damage in mountainous national park of korea using temporal spatial imag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5): 97-102. 

  17. Lee, C.W., Kim, G.H., Yung, C.Y., Ryu, H.J. and Hong, S.J. 2012. Development of landslide-risk prediction model thorough database construction. Korean Geotechnical Society 4: 23-33. 

  18. Lee, S.J. 2014.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using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11. 

  19. Lee, S.J. and Ma, H.S. 2018.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using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52(4): 63-72. 

  20. Lee, S.J. and Ma, H.S. 2019.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region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53(1): 61-72. 

  21. Lee, S.J. and Ma, H.S. 2019.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of central region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53(3): 7-16. 

  22. Lee, S.J., Lee, E.J. and Ma, H.S. 2019.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f debris flow in Jeollabuk-do,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53(5): 63-74. 

  23. Ma, H.S. 1994.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3(2): 175-190. 

  24. Ma, H.S. and Jeong, W.O. 2007. 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6: 611-619. 

  25. Ma, H.S., Jeong, W.O. and Park, J.W. 2008. Development of technique of landslide azar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7(3): 326-331. 

  26. Ma, H.S. and Jeong, W.O. 2010.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flow disaster in korean national parks.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4): 52-64. 

  27. Ma, H.S., Kang, W.S. and Lee, S.J. 2014.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landslide hazard based on regional forest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2): 233-239. 

  28. Ma, H.S. and Lee, S.J. 2018. Analysis of debris flow characteristics in Bongwha area Gyeongsangbuk-do,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52(1): 1-11. 

  29. Park, C.M., Ma, H.S., Kang, W.S., Oh, K.Y., Park, S.H. and Lee, S.J. 2010.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in Jeonlabuk-do,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4(4): 9-21. 

  30. Park, J.H., Lee, C.W., Kang, M.J. and Kim, K.D. 2015.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land creeping occurrenc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9(5): 133-144. 

  31. Shin, H.W. and Lee, S.G. 2018. Comparis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trigger po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36(2): 59-68. 

  32. Strahler, A.N. 1952. Hypsometric (area-altitude) analysis of erosional topology,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63: 1117-1142. 

  33. Woo, C.S., Youn, H.J., Lee, C.W. and Jeong, Y.H. 2008. Estimation of the moving soil volume of debris flow using aerial Lidar data. Korean Forestry Society. pp. 327-328. 

  34. Varnes, D.J. 1978.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in landslides analysis and control, TRB special Report, 176. National Academy of Science. pp. 11-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