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계의 사육환경에 따른 출하성적 분석
Analysis of Marketing Performances according to Raising Environment in Broilers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6 no.1, 2019년, pp.25 - 30  

김계웅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김지혁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김학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김봉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박희복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최주희 (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  김준호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북 지역에 위치하는 53개 육계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환경에 따라 출하일령, 생존율, 출하체중, 사료요구율, 출하회전수 등을 조사 분석하여 육계농장의 최적 환경 시스템을 찾게하여 경영관리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출하일령은 32일이었으며, 계사형태에 따라 무창계사는 31.96일령과 유창 계사는 32.03일령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사규모별 출하일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이 소규모 농가가 31.95일령과 대규모 농가가 32.01일령으로 비슷하였다. 계절간 출하일령은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1), 봄, 여름, 가을 등 3계절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겨울에는 32.86일령으로 가장 긴 출하일령을 보였다. 생존율의 전체 평균은 96.25%이었고, 계사 형태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계사규모별로는 소규모 농가와 대규모 농가간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가을이 97.39%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여름철은 95.36%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2. 평균 출하체중은 1.62 kg으로 나타났으며. 계사형태별과계사 규모별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겨울이 1.65 kg으로 가장 컸으나, 여름철은 1.58 kg으로 가장 가벼운 체중을 보였다. 사료요구율 평균은 1.62로 나타났으며, 계사형태별 그리고 계사규모별로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로는 고도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는데(P<0.001), 가을이 1.59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봄과 여름이 각각 1.61과 1.62로 비슷하였다. 3. 평균 출하회전수는 5.70으로 조사되었으며, 계사형태별로는 유의한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농장규모별 출하회전수는 소규모 농가와 대규모 농가가 각각 5.8회와 5.3회로 소규모 농가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출하일령은 출하체중(r=0.684)과 사료요구율(r=0.439)과는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출하체중은 사료요구율(r=0.309)과 생존율(r=0.337)과는 중등수준의 정(+)의 상관, 그리고 사료요구율과 생존율 간에는 -0.614로 높은 부(-)의 상관계수가 추정되었다. 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름에는 생존율과 출하 체중, 그리고 겨울철은 출하일령과 사료요구율에서 각각 비교적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육계의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개선된 계사의 단열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적정 온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asic data of development for appropriate management system in broiler. Data such as ages at marketing, livability, body weight, etc.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53 broiler farms located in Chungnam, Chungbuk, Jeollanam, Jeollabuk, Gyeongbuk. 1. Averag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육계농가들의 최근 사육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량된 외국 품종의 육계 능력에 미치는 국내 계사형태, 사육규모 및 계절 등과 같은 여러 환경 요인의 영향을 조사 · 분석하여 최적화된 사육환경 관리시스템을 찾아 육계경영 관리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창계사의 단점은 무엇인가? Chae et al.(2009)은 중, 소규모 양계 농가에서는 유창계사를 많이 이용하고,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 무창계사를 이용하지만, 무창계사는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유창계사에 비해 계사 내 습도, 가스 등이 증가하여 질병 및 폐사율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Kim et al.
육계농장의 평균 출하일령은 몇일인가? 1. 평균 출하일령은 32일이었으며, 계사형태에 따라 무창계사는 31.96일령과 유창 계사는 32.
53개 육계 농가를 대상으로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북 지역에 위치하는 53개 육계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환경에 따라 출하일령, 생존율, 출하체중, 사료요구율, 출하회전수 등을 조사 분석하여 육계농장의 최적 환경 시스템을 찾게하여 경영관리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viagen Ross 308 2016 Broiler Management Handbook and Broiler Performance Objectives. 

  2. 10.5536/KJPS.2012.39.3.183 Chae HS, Choei HC, Na JC, Kim MJ, Kang HG, Kim DG, Kim JH, Jo SH, Lee JE, Kim NY, Choei YH, Park BS 2012 The effect of electrolyte feeding on the broiler convection and blood of the chicken during the heat. Korean J Poult Sci 39 

  3. (3):183-193. 10.5536/KJPS.2012.39.3.183 

  4. 10.5536/KJPS.2009.36.1.001 Chae HS, Kang HS, Yoo YM, Jang A, Jeong SG, Ham JS, Ahn CN 2009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chicken meat grades and PSE incidence in broiler house with or without window. Korean J Poult Sci 36 

  5. (1):1-7. 10.5536/KJPS.2009.36.1.001 

  6. Chang DI 1994 A study on the design of optimal ventilation systems for broiler houses: A review. Korean J Poult Sci 21(3):207-217. 

  7. Jeon SG, Jang GM 2001 Curr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broiler industry. Pages 107-109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Korean. 

  8. Kang BK, Ahn SD, Kim JW 2012 A study on evaluation of broiler growers performance by integrator in broiler contract in Korea.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1):1-20. 

  9. Kim YH, Lee EJ, Kim JM, Yang YR, Park BY, Choei YH 2011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stress on the body temperature of broilers by different body weight. Pages 192-193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Korean. 

  10. Kwon SG 2012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s and application of high feed efficiency in broiler. Pages 122-124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Korean. 

  11. MAFRA. 2015.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pages 181-210. 

  12. NIAS. 1996. Poultry Housing. pages 150-158. 

  13. 10.1093/japr/4.1.55 Puron D, Santamaria R, Segura JC, Alamilla JL 1995 Broiler performance at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J Appl Poultry Res 4:55-60. 10.1093/japr/4.1.55 

  14. 10.5536/KJPS.2014.41.4.297 Yoon HS, Hwangbo J, Yang YR, Kim JM, Kim YH, Park BS, Choi YH 2014 Effects of early heat conditioning on performance in broilers exposed to heat stress. Korean J Poult Sci 41 

  15. (4):297-303. 10.5536/KJPS.2014.41.4.297 

  16. You DJ, Kang HS, Kim SH, Na JC, Chang BG, Kim JH, Jang GH, Lee DS, Lee SJ 2006 The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the productiv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in hot summer. Pages 148-149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