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열화현상 연구: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및 나노양자점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Study of Light-induced Degradation in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Solar Cell and Nano-quantum Dot Silicon Thin Film Solar Cell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9 no.1, 2019년, pp.1 - 9  

김가현 (청주대학교 에너지광기술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ght induced degradation is one of the major research challenges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related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Amorphous silicon shows creation of metastable defect states, originating from elevated concentration of dangling bonds during light exposure. The metastable def...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작한 실리콘 나노양자점 박막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구현하고 비정질 실리콘과의 광 열화현상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박막 내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비정질 실리콘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나노양자점을 함유하는 실리콘 나노양자점 박막 태양전지를 구현하고 비정질 실리콘과의 광 열화현상을 비교하였다. 특히, 기존의 나노결정질(nc-Si:H) 또는 미세결정질(µc-Si:H) 태양전지와는 차별화된 실리콘 나노양자점 재료를 제작하여 태양전지에 응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를 통해 합성한 실리콘 나노양자점 박막과 나노양자점 박막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박막과 태양전지의 특성분석, 효율 개선을 위해 플라즈마 임피던스 분석, TEM단면분석 및 광열화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의 특징은?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은 1977년 Staebler와 Wronski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기 때문에 Staebler-Wronski effect (SWE)라고 부른다1,2).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은 기본적으로는 빛 조사에 의한 박막 내 준안정 결함밀도 (metastable defect density)의 증가이며, 이 결함밀도가 재결합 센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리콘 박막의 전기적 품질을 열화시킨다3). 가장 널리 알려진 메커니즘은 실리콘-수소결합 전환 모델 (Si-H bond switching model)로써, 광 조사시 광여기 전하의 재결합에너지에 의해 박막 내 존재하는 Si-H 결합의 상태가 변하여 댕글링 본드 (dangling bond)를 형성한다는 설명이다4).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이란?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은 1977년 Staebler와 Wronski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기 때문에 Staebler-Wronski effect (SWE)라고 부른다1,2). 비정질 실리콘의 광열화현상은 기본적으로는 빛 조사에 의한 박막 내 준안정 결함밀도 (metastable defect density)의 증가이며, 이 결함밀도가 재결합 센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리콘 박막의 전기적 품질을 열화시킨다3). 가장 널리 알려진 메커니즘은 실리콘-수소결합 전환 모델 (Si-H bond switching model)로써, 광 조사시 광여기 전하의 재결합에너지에 의해 박막 내 존재하는 Si-H 결합의 상태가 변하여 댕글링 본드 (dangling bond)를 형성한다는 설명이다4).
비정질 실리콘이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 재료로 각광받는 이유는? 비정질 실리콘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a-Si:H)은 박막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 재료로 각광받는 재료이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첫 번째로 결정질 실리콘에 비해 높은 광흡수계수(absorption coefficient)를 가진다는 점에 있으며, 두 번째로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통한 저온공정으로 대면적화 및 양산화에 유리 하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taebler, D. L. and Wronski, C. R., Reversible Conductivity Changes in Discharge­produced Amorphous Si, Applied Physics Letters, Vol. 31, p. 292, 1977. 

  2. Staebler, D. L. and Wronski, C. R., Optically Induced Conductivity Changes in Discharge­produced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3.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51, p. 3262, 1980. 

  3. Fritzsche, H., Development in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the Staebler-Wronski Effect in a-Si:H,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Vol. 31, p. 47, 2001. 

  4. Stutzmann, M., Jackson, W., and Tsai, C., Light-induced Metastable Defects in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A Systematic Study, Physical Review B, Vol. 32, p. 23, 1985. 

  5. Kim, K. H., Johnson, E. V., Abramov, A., and Roca i Cabarrocas, P., Light Induced Electrical and Macroscopic Changes in Hydrogenated Polymorphous Silicon Solar Cells, EPJ Photovoltaics, Vol. 3, p. 30301, 2012. 

  6. Kim, K. H., Johnson, E. V., Kazanskii, A. G., Khenkin, M. V., and Roca i Cabarrocas, P., Unravelling a Simple Method for the Low Temperature Synthesis of Silicon Nanocrystals and Monolithic Nanocrystalline Thin Films, Scientific Reports, Vol. 7, p. 40553, 2017. 

  7. Dutta, J., Hofmann, H., Houriet, R., Hofmeister, H., and Hollenstein, Ch., Growth, Microstructure and Sintering Behavior of Nanosized Silicon Powder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Vol. 127, p. 263, 1997. 

  8. Andujar, J. L., Bertran, E., Canillas, A., Roch, C., and Morenza, J. L., Influence of Pressure and Radio Frequency Power on Deposition Rate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in Films Prepared by Plasma Deposition,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A, Vol. 9, p. 2216, 1991. 

  9. Kiriluk, K. G., Fields, J. D., Simonds, B. J., Pai, Y. P., Miller, P. L., Su, T., Yan, B., Yang, J., Guha, S., Madan, A., Shaheen, S. E., Taylor, P. C., and Collins, R. T., Highly Efficient Charge Transfer in Nanocrystalline Si:H Solar Cell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102, p. 133101, 2013. 

  10. Kim, K. H., Johnson, E. V., and Roca i Cabarrocas, P., Current-induced and Light-induced Macroscopic Changes in Thin Film Solar Cells: Device Degradation Mechanism, Solar Energy, Vol. 143, p. 86, 2017. 

  11. Kim, K. H., Kasouit, S., Johnson, E. V., and Roca i Cabarrocas, P. Substrate Versus Superstrate Configuration for Stable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119, p. 12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