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의 차이가 사용자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 이론을 적용한 실증 연구
The Differential Effect of PC vs. Mobile on User Behavior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CLT)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5, 2019년, pp.31 - 51  

서길수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강현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al level theory (CLT) have been researched in wide range of disciplines such as marketing, organizational study, psychology, or education. Current study asserts that CLT would explain the effect of different devices of PC and smartphone on interaction between human-computer interfaces and inf...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고에 대한 태도는 주어진 광고 자극에 대해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인 반응으로 정의된다(MacKenzie and Lutz, 1989). Fishbein과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에 따라, 광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구매 의도와 실제 구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 대한 태도를 통해 광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광고 문안에 대해 어느 광고가 더 매력적인지/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지/더 눈길을 끄는지/더 설득력이 있는지 4가지 항목(조형오, 1997)으로 측정하였다.
  • 실험 참가자가 실험실에 도착하면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무작위로 데스크톱 컴퓨터(27인치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 그룹에 배정되었다. 그리고 각자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해석 수준을 측정하는 문항에 답한 후, 자동차 고르기 과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는 실험 참가자들이 의사결정에 있어서 얼마나 부차적인 요소보다 핵심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는 구체적인 속성을 설명한 광고와 추상적인 자동차 광고 카피 두 가지를 본 후 설문에 그 후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데스크톱이나 모바일기기에 대한 심리적 거리 측정하는 설문에 답하고, 감사의 표시로 제공되는 스타벅스 교환권 둘 중 하나를 선택하였다.
  • 또한 여러 가지 작업을 여러 개의 기기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멀티태스킹도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각 기기의 특성에 맞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과효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이처럼 모바일 단말기의 빠른 확산에도 불구하고,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특성의 차이로 인한 사용자의 행태 변화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현상학적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검증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심리학 분야에서 개발된 후 마케팅을 비롯한 경영학의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해석 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을 토대로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모바일시대에 있어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face) 및 정보 시스템 연구에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에 근거하여 각각의 속성 별로 예상되는 방향을 살펴본 후, 속성을 결합한 전체론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속성은 해석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선행 변수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 그리고 이러한 프레젼스가확률적 거리를 좁혀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물건을 구매하거나 재방문할 의사를 높일 수 있는지 보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적 차이와 사용 행태 차이가 심리적 거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이 차이로 인해 해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에 따라 의사결정과 행동이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데스크톱과 모바일기기의 하드웨어적, 사용행태적 차이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적 거리와 해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 간(between subject) 요인 설계의 실험실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실 연구는 보고자 하는 독립변수 외의 다양한 혼란 변수들을 통제할 수 있다.
  • 이처럼 해석 수준 이론은 마케팅 또는 조직 학습 등의 분야로 이론적, 실증적으로 확장되고 있는데 반해, 정보시스템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 수준 이론의 관점에서 데스크톱을 주로 사용하던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로 전환하면서 생기는 하드웨어적 변화와 사용 행태적 변화가 사용자의 심리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해석 수준의 차이, 그리고 그것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으로 넘어가면서 생기는 사용자의 심리적 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해석 수준 이론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 시스템 연구에 있어서 해석 수준 이론을 보다 확대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는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가 해석수준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는 가설2의 결과와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과정에 대한 토론과 본 연구가 학계 및 업계에의 기여하는 바, 그리고 향후 해석수준과 정보시스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다음에 이어지는 토론과 결론 부문에서 논하기로 한다.
  • , 2006).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에 참여한 보상으로 제공하는 커피점 교환권을 즉시 수령과 지연 수령 두 가지 옵션 중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 당장 수령하는 경우는 5,000원권이 지급되고, 3개월 후에 수령하는 경우는 10,000원권이 지급되는 옵션으로, 현재의 이자율만 감안한다면 당연히 3개월 후의 10,000원권이 유리하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해석 수준 이론이라는 탄탄한 이론을 바탕으로 PC 커머스와모바일 커머스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 첫 시도이다. PC와 스마트폰의 차이로 인한 사용자의 심리적 거리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해석 수준을 바탕으로 상품 정보의 표현의 적정한 수준(추상적/구체적)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데스크톱 사용자보다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이 기기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더 가까울 것이다
  • 가설 2 : 사용자의 기기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용자의 해석 수준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3 : 모바일 기기 사용자 보다 데스크톱 사용자가 의사결정에 있어서 핵심 요소를 더 잘 고려할 것이다
  • 가설 4 : 모바일 기기 사용자 보다 데스크톱 사용자가 추상적 광고를 더 선호할 것이다.
  • 가설 5 : 모바일 기기 사용자 보다 데스크톱 사용자가 장기적 보상을 더 선호할 것이다.
  • 앞에서 사용자는 PC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해 심리적으로 더 가깝게 느낄 것이라고 가설 1을 설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기기의 하드웨어적 특성과 사용 행태적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로 인해 만약 일반 사용자들이 PC 환경에서 느끼는 심리적 거리와 모바일 환경에서 느끼는 심리적거리가 다르다면, 사용자의 심리적 거리에 영향을 줘서 검토하는 대상, 즉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해석 수준을 다르게 만들 수 있다.
  • 기각된 가설 중 핵심가설인 가설 2의 경우 다수의 기존 CLT 연구에서 이미 반복적으로 채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에서는 기각되었다. 즉 심리적 거리가 가깝다면 해석수준도 낮아지고 심리적 거리가 멀어지면 해석수준도 높아져야 하는 것이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의 검증 결과임에도 본 연구의 가설 2에서는 심리적 거리의 차이가 해석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존 연구결과에 기반한다면 당연히 검증되어야 함에도 그와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은 주로 출간된 논문은 검증된 결과만이 출간되고 검증되지 않은 논문은 출간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는 출간 편중성(publication bias)에 설명의 무게를 둘 수 있겠다(Easterbroo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거리란? , 2007; Trope and Liberman, 2010). 심리적 거리는 행위자의 심리적 공간 안에서 인식되는 행위자와 사건 또는 대상 사이의 주관적인 거리로 정의된다(Kim et al., 2008).
해석 수준 이론이란? 해석 수준 이론이란 사람들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사건이나 대상에 대한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Trope andLiberman, 2003; Liberman et al., 2007; Trope etal.
심리적 거리의 특징은? , 2008). 이는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물리적 거리와 달리, 개인에게 내재된 사고 과정을 통해 인지된다. 해석 수준 이론에서 제시되는 해석 수준이라는 개념 역시, 개인의 정보 처리 방식 또는 사고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재휘, 김희연, 부수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 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메시지 구성과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3권, 제1호, 2012, 183-205. 

  2. 양 윤, 김민혜, "해석수준, 메시지유형, 시간적 거리가 메시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3권, 제2호, 2012, 151-172. 

  3. 이충우, 이동일, "대학원 광고캠페인에서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해석수준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광고, 제17권, 제3호, 2016, 463-487. 

  4. 조형오, "광고상기와 광고태도가 제품구매과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대한 구조적 고찰", 마케팅연구, 제12권, 제1호, 1997, 137-156. 

  5. Andrews, G., P. Cuijpers, M.G. Craske, P. McEvoy, and N. Titov, "Computer therapy for the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s effective, acceptable and practical health care : a meta-analysis", PloS one, Vol.5, No.10, 2010, e13196. 

  6. Bar-Anan, Y., N. Liberman, and Y. Trope,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construal level : evidence from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General, Vol.135, No.4, 2006, 609-622. 

  7. Begg, C.B. and M. Mazumdar,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rank correlation test for publication bias", Biometrics, Vol.50, No.4, 1994, 1088-1101. 

  8. Brasel, S.A. and J. Gips, "Tablets, touchscreens, and touchpads : How varying touch interfaces trigger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ndowmen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24, No.2, 2014, 226-233. 

  9. Chin, W.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1998, 295-336. 

  10. Coulter, K.S., "How Hand Proximity Impacts Consumer Responses to a Persuasive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Marketing, Vol.33, No.2, 2016, 135-149. 

  11. Dhar, R. and E.Y. Kim, "Seeing the forest or the trees : Implications of construal level theory for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7, No.2, 2007, 96-100. 

  12. Easterbrook, P.J., R. Gopalan, J. Berlin, and D.R., Matthews, "Publication bias in clinical research", The Lancet, Vol.337, No.8746, 1991, 867-872. 

  13. Fiedler, K., "Construal level theory as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behavioral decision making research and consumer psychology",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7, No.2, 2007, 101-106. 

  14.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trieved from Mass. : Addison-Wesley, 1975. 

  15. Friedman, R.S. and J. Forster, "The effects of approach and avoidance motor actions on the elements of creative insi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9, No.4, 2000, 477-492. 

  16. Fujita, K., Y. Trope, N. Liberman, and M. Levin-Sagi, "Construal levels and self-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0, No.3, 2006, 351-367. 

  17. Fukukura, J., M.J. Ferguson, and K. Fujita, "Psychological distance can improve decision making under information overload via gist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 General, Vol.142, No.3, 2013, 658-665. 

  18. Gefen, D.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6, No.1, 2005, 91-109. 

  19. Hair, J.F., W.C. Black, B.J. Babin, R.E. Anderson, and R.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 6). In :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 Hall, 2006. 

  20. Henderson, M.D. and Y. Trope, "The effects of abstraction on integrative agreements : When seeing the forest helps avoid getting tangled in the trees", Social Cognition, Vol.27, No.3, 2009, 402-417. 

  21. Henderson, M.D., C.J. Wakslak, K. Fujita, and J. Rohrbach, "Construal level theory and spatial distance", Social Psychology, Vo. 42, 2011, 165-173. 

  22. Henderson, M.D., K. Fujita, Y. Trope, and N. Liberman, "Transcending the 'here' : the effect of spatial distance on social ju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1, No.5, 2006, 845-856. 

  23. Hou, H.-T., "Integrating cluster and sequential analysis to explore learners' flow and behavioral patterns in a simulation game with situated-learning context for science courses : A video-based process explor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8, 2015, 424-435. 

  24. Huang, N., G. Burtch, Y. Hong, and E. Polman, "Effects of multiple psychological distances on construal and consumer evaluation : A field study of online review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26, No.4, 2016, 474-482. 

  25. Kaufman, G. and M. Flanagan (2016), High-low split : Divergent cognitive construal levels triggered by digital and non-digital platforms, In Proce dings of the 2016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2773-2777), ACM. 

  26. Kim, K.J. and S.S. Sundar, "Mobile Persuasion : Can Screen Size and Presentation Mode Make a Difference to Trus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2, No.1, 2016, 45-70. 

  27. Krishna, A. and N. Schwarz, "Sensory marketing, embodiment, and grounded cognition : A review and introduction",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24, No.2, 2014, 159-168. 

  28. Lambrecht, A. and C. Tucker, "When does retargeting work? Information specificity in online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50, No.5, 2013, 561-576. 

  29. Ledgerwood, A., Y. Trope, and S. Chaiken, "Flexibility now, consistency later : psychological distance and construal shape evaluative respond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9, No.1, 2010, 32-51. 

  30. Li, H., T. Daugherty, and F. Biocca, "Impact of 3-D advertising on product knowled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presence",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3, 2002, 43-57. 

  31. Liberman, N. and J. Frster, "Distancing from experienced self : how global-versus-local perception affects estimation of psychological dist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7, No.2, 2009, 203-216. 

  32. Liberman, N. and J. Frster, Estimates of spatial distance : a Construal Level Theory perspective, Spatial dimensions of social thought, De Gruyter Mouton, Boston, MA, 2011, 109-128. 

  33. Liberman, N. and Y. Trope, "The psychology of transcending the here and now", Science, Vol.322, No.5905, 2008, 1201-1205. 

  34. Liberman, N., Y. Trope, and C. Wakslak,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7, No.2, 2007, 113-117. 

  35. Lombard, M., R.D. Reich, M.E. Grabe, Bracken, C.C., and T.B. Ditton, "Presence and television, The role of screen siz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1, 2000, 75-98. 

  36. MacKenzie, S.B. and R.J. Lutz,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Vol.53, No.2, 1989, 48-65. 

  37. Rasty, F., C.-J. Chou, and D. Feiz, "The impact of internet travel advertising design, tourists' attitude, and internet travel advertising effect on tourists' purchase intention :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Vol.30, No.5, 482-496. 

  38. Reyt, J.-N. and B.M. Wiesenfeld, "Seeing the forest for the trees : Exploratory learning, mobile technology, and knowledge workers' role integration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8, No.3, 2015, 739-762. 

  39. Ringle, C.M., S. Wende, and J.-M. Becker, SmartPLS 3, Boenningstedt : SmartPLS GmbH, 2015. 

  40. Smith, P.K. and Y. Trope, "You focus on the forest when you're in charge of the trees : power priming and abstract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0, No.4, 2006, 578-596. 

  41. Stone Temple Consulting Corporation, Where is the Mobile vs. Desktop Story Going? https://www.stonetemple.com/mobile-vs-desktop-usage-study (Accessed on January 4. 2019). 

  42. Straub, D., M.-C. Boudreau, and D. Gefen, "Validation guidelines for IS positivist research",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3, No.1, 2004, 380-427. 

  43. Trope, Y. and N. Liberman,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Vol.117, No.2, 2010, 440-463. 

  44. Trope, Y. and N. Liberman, "Temporal construal", Psychological Review, Vol.110, No.3, 2003, 403-421. 

  45. Trope, Y., N. Liberman, and C. Wakslak, "Construal leve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 Effects on representation, prediction, evaluation,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7, No.2, 2007, 83-95. 

  46. Vallacher, R.R. and D.M. Wegner, "Levels of personal agency : Individual variation in action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4, 1989, 660-671. 

  47. Van Kerckhove, A., M. Geuens, and I. Vermeir, "The floor is nearer than the sky : How looking up or down affects construal leve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1, No.6, 2014, 1358-1371. 

  48. Williams, L.E. and J.A. Bargh, "Keeping one's distance : The influence of spatial distance cues on affect and evaluation", Psychological Science, Vol.19, No.3, 2008, 302-308. 

  49. Zhang, M. and J. Wang, "Psychological distance asymmetry : The spatial dimension vs. other dimension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9, No.3, 2009, 497-5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