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비화재 밀폐공간 구조·구급 활동 중 질식 및 중독재해 사례 분석
Fire fighters' Asphyxiation Incidents during Confined Space Rescu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9 no.4, 2019년, pp.590 - 602  

이주희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강태선 (세명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vent asphyxiation of firefighters during confined space rescue. The specific purpose was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s, and suggest measures to ensure safety of confined space rescues. Methods: We collected da...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폐공간에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맨홀, 정화조, 터널, 수직갱, 탱크 내부 등 산소결핍및 유해가스(탄산가스,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등)로 인한 질식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에서는 ‘밀폐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 공간에서 근로자를 일하게 할 경우, 사업주는 고용노 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예방과 사고 시 대피 등에 관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제10장 밀폐공간 작업 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을 준수해야 한다. 이 밀폐 공간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일반적으로 ‘질식재해’로 통칭하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나라 공식 산업재해 통계분류 지침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밀폐공간에서는 유해물질과 관련 없이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만을 ‘산 소결핍⋅질식’으로 분류한다. 이 지침에 따르면 황화수 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한 밀폐공간에서 재해는 ‘유해⋅ 위험물질 노출’에 의한 급성중독(이하 유해물질 중독)으로 분류된다.
밀폐공간이란? 맨홀, 정화조, 터널, 수직갱, 탱크 내부 등 산소결핍및 유해가스(탄산가스,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등)로 인한 질식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산업안전보건법」(이하 ‘산안법’)에서는 ‘밀폐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 공간에서 근로자를 일하게 할 경우, 사업주는 고용노 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예방과 사고 시 대피 등에 관한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제10장 밀폐공간 작업 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을 준수해야 한다. 이 밀폐 공간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일반적으로 ‘질식재해’로 통칭하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나라 공식 산업재해 통계분류 지침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밀폐공간에서는 유해물질과 관련 없이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만을 ‘산 소결핍⋅질식’으로 분류한다.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에 따라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해 일어난 재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이 밀폐 공간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일반적으로 ‘질식재해’로 통칭하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나라 공식 산업재해 통계분류 지침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 기록⋅분류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밀폐공간에서는 유해물질과 관련 없이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만을 ‘산 소결핍⋅질식’으로 분류한다. 이 지침에 따르면 황화수 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한 밀폐공간에서 재해는 ‘유해⋅ 위험물질 노출’에 의한 급성중독(이하 유해물질 중독)으로 분류된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하 ‘안전보건공 단’)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2016년) 밀폐공간에서 질식 또는 유해물질 중독으로 사망 또는 부상당한 근로자는 총 188명이었고 이 중 94명이 사망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yun YW. Manhole accident rescue demonstration Yonhap News. Dec 24, 1997. 

  2. Cho JH. Helplessness against toxic gas of apartment septic tank - 6 people including cleaners and 119 paramedics were asphyxiated. Korea Apartment Newspaper. Sep 21, 2005. 

  3. CSB. Hazards of nitrogen asphyxiation. CSB. Available at: https://www.csb.gov/hazards-of-nitrogen-asphyxiation/. Accessed Aug 19, 2019. 

  4. FFM. Memorial sculptures pictures. Available at: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6Po&articleno3501694&categoryId27334(R)dt20070719225308. Accessed Aug 19, 2019. 

  5. Forsgren A, Brinck K. Airborne occupational hazards in sewer systems: CRC Press; 2016. 

  6. Gunsan Fire Service. Fatality report - gunsan rescuer's death in the line of duty. Gunsan: Gunsan Fire Service; 2012. 

  7. Ha JH. National trust first - daily life-fighting battle Weekly Gonggam Korea. 2012.11.11., 2012. 

  8. Harbison SC, Bourgeois JR. Hydrogen sulfide. Hamilton & hardy's industrial toxicology: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2015:325-330. 

  9. Harris MK. Confined spaces. In: Anna DH, Association AIH, eds.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Its evaluation, control and management: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2011. 

  10. Hong YD. 30s, a firefighter's death in the line of duty. Hankyoreh. March 14, 1996. 

  11. Kang T. Who killed the danmuji manufacturing workers ?. Ohmynews. Jun 11, 2008. 

  12. Kim KJ. Firefighter died in the line of duty in ulsan. Yonhap News. Oct 30, 2012. 

  13. Kim HD, An YS, Kim DH, Jeong KS, Ahn YS. An overview of compensated work-related injuries among korean firefighters from 2010 to 2015. Ann Occup Environ Med 2018;30:57 (doi:10.1186/s40557-018-0268-2) 

  14. Kim SS, Ju YS, Kang TS, Kim MY. Survey on firefighters' human right situation in korea: NHRCK(National Human Right Commission of Korea); 2015. 

  15. KOSHA. KOSHA Guide on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Disaster Records (G-83-2016), 2016. 

  16. KOSHA. Prevention of asphyxiation in confined space In: KOSHA, ed. Incheon: KOSHA; 2007. 

  17. KOSHA. Manual for preventing asphyxiation in confined spaces. Ulsan: KOSHA, ; 2017. 

  18. Lee SW. 5 people were dead at danmuji(pickled radish) storage pit in Sungju, Gyeongsangbuk-do. MBC News. Nov 15, 1997. 

  19. NFA. 2011 rescue statistical report In: NFA, ed; 2012. 

  20. NF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in disaster scene; 2017. 

  21. NFA. 119 rescue and emergency report -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In: NFA, ed. Seoul; 2018. 

  22. NFPA. U.S. Fire department profile. Accessed Aug 25, 2019. 

  23. NFSA. National fallen firefighters memorial NFSA. Available at: https://www.nfa.go.kr/cherish/. Accessed 2019.08.13., 2019. 

  24. NIOSH. Volunteer fire fighter dies during attempted rescue of utility worker from a confined space -new york. Available at: https://www.cdc.gov/niosh/fire/reports/face201031.html. Accessed Aug 18, 2019. 

  25. NIOSH. Fire fighter fatality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program (fffipp). Available at: https://www.cdc.gov/niosh/topics/firefighting/reports.html. Accessed Aug 25, 2019. 

  26. Nogue S, Pou R, Fernandez J, Sanz-Gallen P. Fatal hydrogen sulphide poisoning in unconfined spaces. Occupational Medicine 2011;61(3):212-214 

  27. OSHA.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Available at: https://www.osha.gov/laws-regs/federalregister/1998-12-01-0. Accessed Aug 19, 2019. 

  28. OSHA. Hydrogen sulfide (H2S) factsheet U.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05. 

  29. Park CG, Kim MG, Kim HC, Ahn BK, Park MS et al, Causes and radiological findings of asphyxiation accidents in pickled radish(danmuji) plants: A case report. J Kor Radiol Soc 1994;31(1):81-85 Available from : https://jksronline.org/Synapse/Data/PDFData/1016JKRS/jkrs-31-81.pdf) 

  30. Park J, Kang T, Seok J, Jin S, Heo Y,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ccording to workplace at swine far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3;23(4):402-411 

  31. Selman J, Spickett J, Jansz J, Mullins B. Confined space rescue: A proposed procedure to reduce the risks. Safety Science 2019;113:78-90 

  32. Stout N, Jenkins E. Use of narrative text fields in occupational injury data. Paper presented a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Effort on Injury Statistics, 1995. 

  33. Sungi Park, Hyuchung Kim, Sanghyun Lim SM. The pickled radish('danmuji') plant electric shock, 9 casualties including 119 rescuers. Nov. 15, 1997. 

  34. Kwan SJ. 2 workers were fallen in danmuji manufacturing industry. The Kyunghyang Shinmun. Aug 21, 2018. 

  35. Suruda A, Pettit T, Noonan G, Ronk R. Deadly rescue: The confined space hazard.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994;36(1):45-53 

  36. Wilson MP, Madison HN, Healy SB. Confined space emergency response: Assessing employer and fire department practic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2;9(2):120-128 

  37. Yeo WC. Workers were ashphyxiated,1 dead, 5 injured. Yonhap News. Sep 11, 1996. 

  38. Yonhap News. Scba provided to all firefighters Yonhap News. April 10, 1996. 

  39. Yoo KM, Park HH, Chung KJ. Research on hazard indetification and prevention of confined space asphyxiation. Incheon: KOSHA;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