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for upland crop growth based on the 30 year of historical rainfall data and the water management guidelines as a reference. Five regions and ten crops were selected by their cultivation size. The changes of soil moisture conten...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밭작물과 그 주산지에 대하여 밭작물 물관리 지침서에서 제공하는 관개량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우량을 이용하여 평년 강우에 대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관개용수량을 산정하였고, 관개가 필요한 시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지 밭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에서 효율적인 관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용수량 및 저장 시설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2012)은 지표에서 깊이 300 mm까지 작물의 뿌리가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도 깊이 300 mm 토양의 수분함량이 유효수분의 50% 이하인 상태를 물이 부족 상태로 가정하였고, 물 부족이 5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반드시 관개가 필요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깊이 300 mm 토양의 수분함량이 포장용수량인 상태에서 파종 및 정식을 하고, 밭작물 물관리 지침서의 관개요구량만큼 토양 수분이 감소되며, 일평균 강우량만큼 토양 수분이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Eq.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밭작물 물관리 지침서란 무엇인가? 밭작물 물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된 가운데 농업인에게 보급된 농촌진흥청의 밭작물 물관리 지침서 (Eom et al., 1999)는 작물별, 생육시기별, 지역별로 관개 시기와 간격 그리고 1회 관개량 등의 정보를 토양 종류에 따라 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총 용수량 또는 시기별 용수량 등을 개략적으로 산정할 수 있게 되었다.
효율적인 물관리 방안을 위해 알아봐야 할 특성은 무엇인가? 수자원의 변동성 증가에 따라 노지 밭작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기상 및 기후 특성, 작물의 종류, 지역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물관리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Shin, 2017). 밭작물의 물 관리와 관련된 연구는 관개용수량 산정 방법 연구 (Suh and Lee, 2002; Hong et al.
용수 확보를 위해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2018). 이처럼 용수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에서는 작물에 필요한 용수량을 산정하고, 용수를 저장하는 적절한 시설의 규모 또는 적정 보관량 등이 먼저 결정되어야 한다. 농업용수의 저장 규모가 합리적으로 결정되어야 시설투자에 대한 부담이 적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J. Y., and Y. S. Kim, 2006. Development of soil moisture index. Water for Future 39(3): 24-28 (in Korean). 

  2. Choi, Y. H., M. Y. Kim, Y. J. Kim, J. G. Jeon, and M. C. Seo, 2016. Spati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and irrigation scheduling for upland farm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5): 79-88 (in Korean). doi:10.5389/KSAE.2016.58.5.081. 

  3. Choi, Y. H., Y. J. Kim, M. Y. Kim, and J. G. Jeon, 2018. On-site evaluation of rainwater harvesting device for securing irrigation water in small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0(1): 31-36 (in Korean). doi:10.5389/KSAE.2018.60.1.031. 

  4. Eom, K. C., D. S. Oh, K. C. Song, I. S. Jo, and D. W. Seo, 1999. A guide book irrigation for upland crop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Suwon (in Korean). 

  5. Eom, K. C., P. K. Jung, S. H. Choi, W. T. Kim, S. Y. Yoo, S. H. Park, and Y. K. Sonn, 2010. Water requirement of red pepper in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844-847 (in Korean). 

  6. Han, K. H., 2011.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techniques for water saving. Annual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in Korean). 

  7. Hong, E. M., W. H. Nam, and J. Y. Choi, 2015.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drought for maj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model focused on the Jeollanam-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3): 65-76 (in Korean). doi:10.5389/KSAE.2015.57.3.065. 

  8. Hong, M. K., S. H. Lee, J. Y. Choi, S. H. Lee, and S. J. Lee, 2015. Estimation of soil moisture and irrigation requirement of upland using soil moisture model applied WRF meteorolog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6): 173-183 (in Korean). doi:10.5389/KSAE.2015.57.6.173. 

  9. Kim, C. H., and C. K. Koh, 1977(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el for predicting soil moisture content and scheduling irrigation (I).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19(1): 4279-4295 (in Korean). 

  10. Kim, C. H., and C. K. Koh, 1977(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el for predicting soil moisture content and scheduling irrigation (II).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19(2): 4367-4376 (in Korean). 

  11. Kim, M. J., H. Y. Kang, T. S. Oh, and J. S. Park, 2017. Drought status and outlook for 2017. Water for Future 50(9): 56-61 (in Korean). 

  12. Kim, Y. J., 2015. Research on rainwater catchment and storage in dry-field farming. Annual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in Korean). 

  13. Lee, J. Y., 2012.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n agricultural drought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Working Paper 2012-01,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14. Lee, T. H., and Y. C. Shin, 2016.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amounts for farm products based on various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cro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6): 1-8 (in Korean). doi:10.5389/KSAE.2016.58.6.001. 

  15. Maeng, S. J., and J. H. Hwang, 2015. Utilization of rainwater tanks for securing agricultural water against drought. Rural Resources 57(4): 10-15 (in Korean). 

  16. Nam, W. H., E. M. Hong, M. W. Jang, and J. Y. Choi, 2014. Projection of consumptive use and irrigation water for maj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model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5): 77-87 (in Korean). doi:10.5389/KSAE.2014.56.5.077. 

  17. Ro, K. K., 1996.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resource development.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8(1): 17-23 (in Korean).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8. Soi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of korea, http://soil.rda.go.kr/soil/chart/chart.jsp. 

  19. Seo, M. C., S. O. Hur, Y. K. Sonn, H. S. Cho, W. T. Jeon, M. K. Kim, and M. T. Kim, 2012. The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AFKAE0.5) for water balance and soil water content using daily weather dat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6): 1203-1210 (in Korean). 

  20. Shin, Y. C., 2017. Analysis of irrigation water amount variability based on crops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using the IWM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2): 37-47 (in Korean). doi:10.5389/KSAE.2017.59.2.037. 

  21. Shin, Y. C., T. H. Lee, S. W. Kim, H. W. Lee, K. S. Choi, J. G. Kim, and G. H. Lee, 2017. Development of agricultural drought assessment approach using SMAP soil moisture footpr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1): 57-70 (in Korean). doi:10.5389/KSAE.2017.59.1.057. 

  22. Shin, Y. H., 2018. Soil moisture simulation considering saturated water flow and irrigation requirement estimation in upland field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23. Shin, Y. H., J. Y. Choi, S. J. Lee, and S. H. Lee, 2017. Estimation of irrigation requirements for red pepper using soil moisture model with high 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5): 31-40 (in Korean). doi:10.5389/KSAE.2017.59.5.031. 

  24. Suh, Y. J., and K. Y. Lee, 2002. Irrigation requirement estimation in upland.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4(1): 25-34 (in Korean). 

  25. Yoon, H. K., S. O. Chung, and S. D. Suh, 1990.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for upland crops.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2(1): 72-86 (in Korean). 

  26. Yu, M. S., Y. H. Cho, T. W. Kim, and H. S. Chea, 2018.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agricultural drough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3): 195-205 (in Korean). doi:10.3741/JKWRA.2018.51.3.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