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증발산 자료의 불확실성 파악에 관한 연구: flux tower, 인공위성 및 재분석자료
A study on the analyzing of uncertainty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flux tower, satellite-based and reanalysis based datase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 2019년, pp.11 - 19  

백종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  정재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박종민 (메릴랜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및 재분석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MOD16의 실제증발산량 산출물을 활용하여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Korea Institute of Hydrological Survey, KIHS)에서 관리하고 있는 청미천(cheongmicheon farmland site, CFK)과 설마천(seolmacheon site, SMK) flux tower에서 검증하였고, Triple collocation (TC)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간의 불확실성 및 상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플럭스타워와의 검증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GLEAM>GLDAS>MOD16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세가지 산출물의 조합(S1: flux tower vs. GLDAS vs. MOD16, S2: flux tower vs. GLDAS vs. GLEAM, S3: flux tower vs. GLEAM vs. MOD16)을 통한 TC 결과에서는 청미천(설마천)에서 GLEAM>GLDAS>MOD16>flux tower (GLDAS>GLEAM>MOD16>flux tower)순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C 분석 결과에서 Flux tower의 error variance와 correlation coefficient가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한반도 지역에서 인공위성과 재분석 자료(GLDAS vs. GLEAM vs. MOD16)만을 활용하여 TC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GLDAS와 GLEAM이 한반도 영역에서 낮은 error variance 와 높은 correlation coefficient를 나타낸 반면, MOD16의 경우, 농지에서 낮은 correlation coefficient과 높은 error variance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products of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and MOD16, which are satellite- and reanalysis-based dataset, were validated at the flux tower sites (i.e., CFK and SMK) managed by Korea Institute 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자료간의 불확실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TC 방법을 이용 하여 각 자료들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3) 인공위성과 재분석자료간의 관계를 통하여 한반도 영역에서의 자료간의 불확실성 및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 2015), 해수면 온도(Gentemann, 2014)등에 한정적인 연구에만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검증에 사용되어왔던 GLDAS, GLEAM, MOD16의 실제증발산 자료들을 이용하여 각 자료들의 관계에서 가지는 불확실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 불확실성에 대하여 판별하기에 앞서 우리나라의 두 관측지점인 설마천과 청미천 flux tower를 기준으로 인공위성과 재분석자료의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반도의 지점 관측지점 자료와 인공위성/재분석 증발산 자료에 대한 불확실성을 파악하고자 TC 방법을 통하여 총 3개의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flux tower 자료를 제외한 자료들의 조합을 통하여 자료간의 correlation coefficient와 error variance를 파악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청미천과 설마천의 자료제공 기간에 대해서 GLDAS, GLEAM, MOD16 자료와의 정략적 오차와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의 정량화, 확보 및 효율적인 관리가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 변동성이 증가함에 대표적인 극심한 물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는 장기적인 가뭄으로 전국적인 물 부족현상이 가중이 되고 있어 수자원의 정량화, 확보 및 효율적인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Kwon et al., 2009).
인간이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최대량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강수량을 통해서 인간이 활용할 수 있는 물의 최대량은 증발산량(강수량의 2/3)을 제외한 나머지 값이다. 이렇게 중요한 증발산량을 정량화함으로써 수자원에 필요로 하는 사용가능한 양을 파악할 수 있지만, 대기와 지표 사이의 여러 요인(토양수분, 식생, 기상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정량화하기에 어렵다(Kim et al.
증발산량을 지금까지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 2018). 지금까지 단순 가정식 또는 경험식을 이용한 증발산 산정 방법 및 현장 실측 기기(lysimeter, flux tower)들을 사용함으로써 증발산에 대한 정량화 및 변동성을 파악하고 있다(Hong et al., 2008; K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mohammad, S. H., Mccoll, K. A., Konings, A. G., Entekhabi, D., and Stoffelen, A. (2015).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ion product errors across the United States using multiplicative triple colloca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9, pp. 3489-3503. 

  2. Baik, J., and Choi, M. (2015a). "Evalua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 (COMS) based Priestley-Taylor evapotranspiratio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ol. 159, pp. 77-91. 

  3. Baik., J., and Choi, M. (2015b). "Evaluation of remotely sen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rom COMS and MODIS at two different flux tower sit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6, No. 1, pp. 375-402. 

  4. Baik, J. J., Jeong, J., and Choi, M. (2018) "Estimation of the optimal evapotranspiration by using satellite- and reanalysis model- based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3, pp. 273-280. 

  5. Byun, K., Liaqat, U. W., and Choi, M. (2014). "Dual-model approaches for evapotranspiration analyses over homo-and heterogeneous land surface condition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97, pp. 169-187. 

  6. Caires, S., and Sterl, A., (2003). "Validation of ocean wind and wave data using triple colloc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pp. 1-16. 

  7. Choi, G., Kwon, W. T., and Robinson, D. A. (2006). "Seasonal onset and dur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1, No. 4, pp. 435-456. 

  8. Chun, J. A., Baik, J. J., Kim, D., and Choi. M. (2018). "A comparative assessment of SWAT-model-based evapotranspiration against regional-scale estimates." Ecological Engineering, Vol. 122, pp. 1-9. 

  9. Gentemann, C. L. (2014). "Three way validation of MODIS and AMSR-E sea surface temperatur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119, No. 4, pp. 2583-2598. 

  10. Gruber, A., Su, C., Zwieback, S., Crow, W., Dorigo, W., and Wagner, W. (2016). "Recent advances in (soil moisture) triple collocatio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Vol. 45, pp. 200-211. 

  11. Hong, J., Kim, J., Lee, D., and Lim, J. H. (2008). "Estimation of the storage and advection effects on $H_2O$ and $CO_2$ exchanges in a hilly KoFlux forest catch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4, W01426, doi:10.1029/2007WR006408. 

  12. Hu, G., Jia, L., and Menenti, M. (2015). "Comparison of MOD16 and LSA-SAF MSG evapotranspiration products over Europe for 2011."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56, pp. 510-526. 

  13. Jang, K., Kang, S., Lim, Y. J., Jeong, S., Kim, J., Kimball, J. S., and Hong, S.Y. (2013). "Monitoring daily evapotranspiration in Northeast Asia using MODIS and a region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18, No. 23, pp. 12-927. 

  14. Jeong, J., Baik, J. J., and Choi, M. (2018) "Estimation of dryness index based on COMS to monitoring the soil moisture status at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22, pp. 89-98. 

  15. Khan, M. S., Liaqat, U. W., Baik, J., and Choi, M. (2018). "Stand-alone uncertainty characterization of GLEAM, GLDAS and MOD16 evapotranspiration products using an extended triple collocation approach."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252, pp, 256-268. 

  16. Kim, E. H., Kim, M. K., and Lee, W. S. (2005).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in Korea for recent 3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6, No. 5, pp. 404-416. 

  17. Kim, H. D., Im, J. W., and Lee, S. H. (2006). "Distribution of relative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using Satellite data in Daegu metropolita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7, No. 6, pp. 677-686. 

  18. Kim, H., Parinussa, R., Konings, A. G., Wagner, W., Cosh, M. H., Lakshmi, V., Zohaib, M., and Choi, M., (2018). "Global-scale assessment and combination of SMAP with ASCAT (active) and AMSR2 (passive) soil moisture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204, pp. 260-275. 

  19. Kim, K., Baik, J., Lee, J., Lee, Y., Jung, S., and Choi, M. (2016). "An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Gap-filling techniques for revising missing data of flux tower based evapotranspiration- FAO-PM, MDV, and Kalman Filte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6, pp. 95-107. 

  20. Kwon, H., Lee, J-H., Lee, Y-K., and Lee, J. W. (2009) "Seasonal variations of evapotranspiration observed in a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1, No. 1, pp. 39-47. 

  21. Lee M. J., Han, K. S., and Kim, I. H. (2011).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ulti-satellite data over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4, pp. 145-151. 

  22. Mccoll, K. A., Vogelzang, J., Konings, A. G., Entekhabi, D., Piles, M., and Stoffelen, A. (2014). "Extended triple collocation: estimating error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respect to an unknown targe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41, pp. 6229-6236. 

  23. Mu, Q., Zhao, M., and Running, S. W. (2011). "Improvements to a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5, No. 8, pp. 1781-1800. 

  24. Scipal, K., Holmes, T., Jeu, R., De, Naeimi, V., and Wagner, W. (2008). "A possible solution for the problem of estimating the error structure of global soil moisture data se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5, pp. 2-5. 

  25. Shin S. H., and An, T. Y. (2009) "Development of estimating method for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0, No. 2, pp. 70-80. 

  26. Stoffelen, A. (1998), "Toward the true near -surface wind speed: Error modeling and calibration using triple colloc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Vol. 103, pp. 7755-7766. 

  27. Su, C., Ryu, D., Crow, W. T., and Western, A. W. (2014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standalone error characterisation of microwave satellite soil moisture using a fourier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54, pp. 115-126. 

  28. Su, C. H., Ryu, D., Crow, W. T., and Western, W. A., (2014b). "Beyond triple collocation: applications to soil moisture monitoring."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19, No. 11, pp. 6419-6439. 

  29. Sur, C. Y., and Choi, M. (2011). "An intercomparison of two satellite data-based evapotranspiration approach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3, No. 3, pp. 471-479. 

  30. Webb, E. K., Pearman, G. I., and Leuning, R. (1980). "Correction of flux measurements for density effects due to heat and water vapour transfer."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06, No. 47, pp. 85-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