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형속도에 따른 M1 마그네슘 합금의 고온변형 중 미세조직 형성 거동
Effect of Strain Rate on Microstructure Formation Behavior of M1 Magnesium Alloy During High-temperature Deformation 원문보기

열처리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ment, v.32 no.1, 2019년, pp.1 - 11  

이규정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 ,  김권후 (부경대학교 금속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icrostructure evolution and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a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deformation conditions in M1 magnesium alloy. M1 magnesium ingot was rolled at 673 K with the rolling reduction of 30%. The compression test specimens were machined out from rolled plate, and then...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1 마그네슘 합금에서 변형속도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과 결정방위의 형성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2 ton 오토그라프 시험기(DSC-2000)를 사용하여 일축압축을 실시하였다. 변형조건은 723 K의 온도, 두 가지 변형속도(5.
  • M1 마그네슘 합금을 60 m × 60 mm × 40 mm(길이× 폭 × 높이)로 기계 가공한 후 400ºC의 온도에서 압연량 30%로 열간압연을 실시하였다.
  • 결정립 크기에 대한 분석은 EBSD 데이터를 기반으로 20 μm 단위로 결정립들을 묶어서 나타내었으며, 400 μ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결정립들은 그래프 x축의 420 μm 부분에 모아서 표시하였다.
  • 미세조직과 결정방위 측정을 위한 시험편은 재료의 압연방향과 압축면이 평행하게 9 mm × 12 mm(높이 × 너비)의 원통형 시험편으로 기계 가공하였다. 고온압축시험 진행 중 제작된 원통형 시험편과 압축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시험편의 압축 면에 0.1 mm 깊이의 동심원 홈을 새긴 후 B-N spray(고온용 백색 윤활 이형제)를 도포하였다. 제작된 시험편은 주 용질인 Mn 석출물의 고용을 통한 α-단상 형성과 열간압연 과정 및 압축 시편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의 내부응력 제거 및 정적 재결정을 통한 균일한 등축정 형성을 위하여 550ºC에서 1시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16].
  • 고온일축압축을 실시한 시험편은 변형 시 마찰에 의한 영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높이 중앙부인(midplane, ND plane)면을 측정면으로 하였으며, #1000, #2000, #4000 연마지(abrasive paper)를 사용하여 연마한 후 Struers사의 OP-Chemical polishing cloth과 0.04 μm SiO2 입자혼탁액(OPS)을 사용하여 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였다.
  • 하지만 M1 마그네슘 합금의 고온변형에서 불균일한 미세조직 형성 거동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1 마그네슘 합금의 고온일축압축시험을 통해 변형속도에 따른 미세조직과 결정방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미세조직과 결정방위 측정을 위한 시험편은 재료의 압연방향과 압축면이 평행하게 9 mm × 12 mm(높이 × 너비)의 원통형 시험편으로 기계 가공하였다.
  • 변형 전 균일하였던 미세조직 구조에서 변형 이후 불균일한 미세조직 구조로 발달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결정립 크기에 따른 Grain orientation spread(GOS)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각 결정립 크기 구분기준은 결정립 크기 분포 분석에서와 동일하게 20 μm 단위로 결정립들을 묶어서 나타내었으며, 해당 크기 결정립들의 평균 GOS값을 표시하였다.
  • 변형조건은 723 K의 온도, 두 가지 변형속도(5.0 × 10−4s−1, 5.0 × 10−2s−1) 조건에서 미세조직의 연속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0.4 -0.7, -1.0, -1.3의 변형량으로 고온일축압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1 마그네슘 합금에서 변형속도에 따른 미세조직 형성 거동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변형온도 723K, 두 가지 변형속도(5.0 × 10−4s−1, 5.0 × 10−2s−1), -0.4, -0.7, -1.0, -1.3의 진 변형률 조건에서 고온일축압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측정장비는 TSL사의 OIM(Orientation Imaging Microscopy)을 이용하였다. 시험편 미세조직 관찰영역에서 각 결정립의 내부 방위차를 관찰하기 위하여 Grain orientation spread(GOS)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EBSD에서 측정한 각각의 측정 점 간 방위차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 시험편의 미세조직과 결정방위의 관찰을 위하여 기계 연마가 끝난 시편을 전해연마 및 에탄올 세척 후 후방산란전자회절(Electron Backscattering Diffraction, EBSD)을 이용하여 측정영역의 결정방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TSL사의 OIM(Orientation Imaging Microscopy)을 이용하였다.
  • 제작된 시험편은 주 용질인 Mn 석출물의 고용을 통한 α-단상 형성과 열간압연 과정 및 압축 시편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의 내부응력 제거 및 정적 재결정을 통한 균일한 등축정 형성을 위하여 550ºC에서 1시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16].
  • 04 μm SiO2 입자혼탁액(OPS)을 사용하여 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였다. 증류수 5 ml, 에틸알코올(순도 99.99%) 40 ml, 피크린산 2.1 g, 아세트산 5 ml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화학적 부식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 시험편의 미세조직과 결정방위의 관찰을 위하여 기계 연마가 끝난 시편을 전해연마 및 에탄올 세척 후 후방산란전자회절(Electron Backscattering Diffraction, EBSD)을 이용하여 측정영역의 결정방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TSL사의 OIM(Orientation Imaging Microscopy)을 이용하였다. 시험편 미세조직 관찰영역에서 각 결정립의 내부 방위차를 관찰하기 위하여 Grain orientation spread(GOS)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변형속도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과 결정방위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Mn이 주 용질인 상용 M1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화학조성은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M계 및 AZ91합금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우수한 비강도를 가진 마그네슘 합금은 자동차산업에서 경량재료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9, 14, 15]. 현재 상용 마그네슘 합금인 AM계 및 AZ91합금은 상온에서 높은 강도, 연성, 부식저항성을 가지지만, 낮은 크립저항성 때문에 자동차 부품 중 상대적으로 경량화 효과가 작은 스티어링 휠이나 계기판, 변속장치 등에만 사용이 국한된다[1, 2]. 반면에 경량화에 가장 효과적인 부품은 동력 전달 장치에 해당하는 엔진블록과 변속기 케이스이며, 두 부품의 무게는 대략 전체 무게의 4분의 1에 해당된다.
AM계 및 AZ91합금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수한 비강도를 가진 마그네슘 합금은 자동차산업에서 경량재료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9, 14, 15]. 현재 상용 마그네슘 합금인 AM계 및 AZ91합금은 상온에서 높은 강도, 연성, 부식저항성을 가지지만, 낮은 크립저항성 때문에 자동차 부품 중 상대적으로 경량화 효과가 작은 스티어링 휠이나 계기판, 변속장치 등에만 사용이 국한된다[1, 2]. 반면에 경량화에 가장 효과적인 부품은 동력 전달 장치에 해당하는 엔진블록과 변속기 케이스이며, 두 부품의 무게는 대략 전체 무게의 4분의 1에 해당된다.
집합조직을 형성하는 결정방위가 미세구조적 현상과 관련이 있는 이유는? 따라서 최근에는 마그네슘 합금의 가공성 향상을 위해 마그네슘 합금의 집합조직 제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AZ계열 마그네슘 합금의 고온변형에서는 변형조건에 따라 집합조직 주성분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이는 변형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집합조직의 제어가 가능함을 의미한다[6-8]. 또한 고용질 AZ계열 마그네슘 합금에서는 SFE(Stacking Fault Energy)의 감소로 인한 연속동적재결정(CDRX) 현상으로 인해 변형 동안 균일한 미세조직이 발생하고 저면집합조직이 강화된다[9]. 즉 집합조직을 형성하는 결정방위는 미세구조적 현상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 K. Kim : Industrial material dyetec vision, 62 (2014), 48-52. 

  2. M. Celikin, A. A. Kaya, and M. Pekguleryuz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550 (2012) 39-50. 

  3. M. Celikin, A. A. Kaya, and M. Pekguleryuz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534 (2012) 129-141. 

  4. K. Suzuki, Y. Chino, X. Huang, M. Yuasa, and M. Mabuchi : Materials Transactions, 54 (2013), 392-398. 

  5. Q. Jin, S. Y. Shim, and S. G. Lim : Scripta Materialia 55 (2006) 843-846. 

  6. J. Kim, K. Okayasu, and H. Fukutomi : Materials Science Forum, 753 (2013) 493-496. 

  7. L. Helis, K. Okayasu, and H. Fukutomi : Mater. Sci. Eng. A, 430 (2006) 98-103. 

  8. J. Kim, K. Okayasu, and H. Fukutomi : Mater. Trans, 54 (2013) 192-198. 

  9. M. S. Park, H. G. Park, J. H. Choi, and K. H. Kim : Materials Science Forum, 879 (2017) 1449-1453. 

  10. J. Bohlen, S. Yi, D. Letzig, and K. U. Kainer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527 (2010) 7092-7098. 

  11. K. Huang and R. E. Loge : Materials & Design, 111 (2016) 548-574. 

  12. J. Su, M. Sanjari, A. S. H. Kabir, I. H. Jung, and S. Yue : Scripta Materialia, 113 (2016) 198-201. 

  13. Y. Onuki, K. Okayasu, and H. Fukutomi : Tetsu-to-Hagane, 98 (2012) 177-183. 

  14. J. H. Kwak : Marine Convergence Design Co-work,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5. J. H. Ahn : Marine Convergence Design Co-work,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6. H. Okamoto : Journal of Phase Equilibria and Diffusion, 29(2) (2008). 

  17. M. Celikin, A. A. Kaya, and M. Pekguleryuz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 550 (2012) 39-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