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주파수 대역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지진 신호 검출 기법
Earthquake detec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multi-band frequency signals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8 no.1, 2019년, pp.23 - 29  

김승일 (고려대학교 전기전자 공학부) ,  김동현 (고려대학교 전기전자 공학부) ,  신현학 (고려대학교 전기전자 공학부) ,  구본화 (고려대학교 전기전자 공학부) ,  고한석 (고려대학교 전기전자 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신호를 검출 및 식별하기 위한 방법을 다루었다.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신호들을 분석해 본 결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의 특징들이 각각 분류를 위한 특징으로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 신호에서 추출한 다중 주파수 대역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CNN 기법은 지진 신호에서 추출한 멜 스펙트럼에 대해서 각각 필터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저/중/고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신호들을 바탕으로 각각 CNN 기반 분류를 수행하였고, 수행된 결과를 융합하여 최종적으로 지진 이벤트에 대해 식별하였다. 2018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실제 지진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deep learning-based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multi-band frequency signals is presented for detecting earthquakes prevalent in Korea.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revious earthquakes in Korea, it is observed that multi-band signals are appropriate for classifying earthquak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주파수 밴드에서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각각의 주파수 밴드에서 서로 다른 지진 신호 및 잡음 클러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개의 주파수 대역(저주파, 중주파, 고주파)의 신호 특징을 각각 볼 수 있도록하는 CNN 분석 기법을 설계하였다. 지진 신호에 대한 멜 스펙트럼을 크기에 따라 3개의 대역으로 나누어 개별적으로 CNN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식별된 결과를 융합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지진 및 잡음 클러터 클래스에 대해 식별을 수행하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 분석 기법을 국내 지진파 탐지/식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다중 주파수 대역 CNN 기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우선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데이터들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파수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주파수 대역 CNN을 활용한 지진 탐지/식별 기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신호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3개의 주파수 밴드를 통과한 저/중/고주파수 신호에 대한 멜 스펙트로그램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 주파수 대역 CNN 기법의 방식은 무엇인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진 신호에서 추출한 다중 주파수 대역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CNN 기법은 지진 신호에서 추출한 멜 스펙트럼에 대해서 각각 필터를 적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저/중/고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신호들을 바탕으로 각각 CNN 기반 분류를 수행하였고, 수행된 결과를 융합하여 최종적으로 지진 이벤트에 대해 식별하였다.
기존의 지진 신호 탐지/식별 및 분석 방법들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4,5] 주파수 측면에서는 전형적인 푸리에 변환, 파워 스펙트럼 밀도, 스펙트로그램 등을 이용한 1차원 및 2차원 탐지/분석 방법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6-8] 소개된 분석 기법들은 낮은 SNR(Signal to Noise Ratio) 상황에서의 성능 저하, 지진 신호와 비슷한 클러터 오분류, 과다한 연산량과 같은 성능적인 한계가 존재하였다.[4]
PAI-S/K의 특징은 무엇인가? STA/LTA(Short Time Average over Long Time Average) 방식은 짧은 샘플 시간과 긴 샘플 시간 평균의 비율 문턱치를 이용한 지진 탐지 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 이외에도첨도(kurtosis)와 왜도(skewness) 값과 같은 시간축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지진 이벤트를 탐지하는 PAI-S/K(Phase Arrival Identification Skewness/Kurtosis) 방식, 미리 수집된 지진 신호 템플릿과의 상관성을 이용한 템플릿 매칭 방식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2,3] 또한 엔트로피,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 측면에서 신호의 비선형성 분석하고 탐지하는 방식도 보고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Baer and U. Kardolfer, "An automatic phase picker for local and teleseismic events," Bull, Seismol. Soc. Amer. 1437-1445 (1987). 

  2. C. D. Saragiotis and S. M. Panas, "PAI-SK: a robust automatic seismic P phase arrival identification scheme,"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1395-1395 (2002). 

  3. R. J. Skoumal, M. R. Brudzinski, B. S. Currie, and J. Levy, "Optimizing multi-station earthquake template matching through re-examination of the Youngstown, Ohio, sequence," Earth Planet. Sci. Letter. 274-280 (2014). 

  4. R. S. Jia, H. -M. Sun, Y. -J. Peng, and Y. -Q. Liang, "Automatic event detection in low SNR microseismic signals based on multi-scale permutation entropy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J. seismology, 735-748 (2016). 

  5. P. Singh, I. G. Roy, S. Kumar, and J. R. Kayal, "Seismic source characteristics in Kachchh and Saurashtra regions of Western India: b-value and fractal dimension mapping of aftershock sequences," Natural Hazards, 33-49 (2015). 

  6. W. Y. Yun, S. -C. Park, and K. Y. Kim, "Comparison of background noise characteristics between surface and borehole station of Hwacheon" (in Korean),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203-210 (2013). 

  7. E. Budako?lu and G. Horasan, "Classification of seismic events using linear discriminant function (LDF) in the Sakarya region, Turkey," Acta Geophysica, 895-906 (2018). 

  8. N. Jana, C. Singh, R. Biswas, N. Grewal, and A. Singh, "Seismic noise analysis of broadband stations in the Eastern Ghat Mobile Belt of India using power spectral density," Geomatics, Natural Hazards and Risk, 1947-5705 (2017). 

  9. S. Mun, M. Shin, S. Shon, W. Kim, D. K. Han, and H. Ko, "DNN transfer learning based non-linear feature extraction for acoustic event classification," IEICE tra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2249-2252 (2017). 

  10. S. Mun, S. Shon, W. Kim, D. K. Han, and H. Ko, "A novel discriminative feature extraction for acoustic scene classification using RNN based source separation," IEICE Trans. on Information and System, 3041-3044 (2017). 

  11. M. Curilem, J. P. Canario, and R. A. Rios, "Using CNN To classify spectrograms of seismic events from llaima volcano (Chil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IJCNN) (2018). 

  12. T. Perol, M. gharbi, and M. Denol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earthquake detection and location," Sci. Adv. 4, e1700578 (2018). 

  13. W. Zhu and G. C. Beroza, "PhaseNet: A deep-neuralnetwork- based seismic arrival time picking method," arXiv:1803.03211 (2018). 

  14. National Earthquak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NECIS) Event wave downloads, http://necis.kma.go.kr/ 

  15. A. Krizhevsku, I. Sutskever, and G. E. Hinton,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1097-1105 (2012). 

  16. L. Wan, M. Zeiler, S. Zhang, Y. L. Cun, and R. Fergus, "Regularization of neural networks using dropconnect," Proc. Machine Learning, 1058-106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