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발 탈색제의 입자와 모발손상과의 상관성 연구
Analysis of Hair Damage from Bleach particl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 2019년, pp.357 - 364  

임한솔 (동신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임순녀 (동신대학교 뷰티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발 탈색 시 사용되어지는 탈색제 입자에 따른 모발 손상도를 비교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세 가지의 탈색제 입자크기를 관찰하였다. 탈색제의 주성분은 과황산암모늄과 과황산칼륨이 주성분인 분말형 탈색제로 각 제품 입자크기는 $131{\mu}m$, $72{\mu}m$, $48.8{\mu}m$로 나타났다. 손상도 실험에서 입자가 큰 탈색제보다는 입자가 작은 시술 제품에서 큐티클 층이 일어나거나 박리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모발의 색상 측정에서 입자 큰 탈색제의 모발시료는 가장 어둡게 나왔으며, 가장 작은 입자의 탈색 결과가 가장 밝게 나왔다. 연구 결과 모발의 손상도 완화에 더 효과적인 탈색제는 작은 입자를 가진 탈색제를 이용하여 시술하고, 탈색 정도에 따라 입자를 선택하는 것이 탈색력은 높이고 손상도를 낮출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탈색제 선택에 대해서 우수한 결과를 만들기 위한 방안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탈색 시술시 모발 손상에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hair damage by hair bleach particles and identified three different bleach particle size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powdered bleaching agents made of ammonium persulfate (APS) and potassium persulfate had particle sizes of $131{\mu}m$

주제어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탈색제 입자가 모발의 손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모발 손상도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미용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탈색제 두 가지와 입자가 가장 작게 나온 C사를 나누어 실험하고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색제 입자 크기별 모발의 손상 정도를 연구하기 위해 살롱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탈색제를 사용하여 모발의 형태 변화를 확인하고 탈색제의 입자 크기가 모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연구가 모발의 형태학적인 변화 및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에 따른 변화가 폭넓게 진행되고 있으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탈색제 입자에 따른 모발의 손상을 연구한 사례가 미비하여 탈색제 입자 크기에 따른 모발의 손상정도를 규명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발이란? 모발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자극을 완화시키는 보호 작용 및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자신의 신분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었다[1]. 그러나 현대에는 대중매체에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2] 여성들의 사회에 진출이 확대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패션, 장신구 등은 매우 다양화 되고 있다.
다양한 헤어제품이 출시되고 헤어컬러링 기술이 발전하게 된 배경은? 모발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두피의 손상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자극을 완화시키는 보호 작용 및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자신의 신분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었다[1]. 그러나 현대에는 대중매체에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2] 여성들의 사회에 진출이 확대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패션, 장신구 등은 매우 다양화 되고 있다. 현대 토탈 패션에서는 색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데 패션, 메이크업, 장신구의 분위기에 따라 헤어스타일의 모발 색을 바꾸는 것이 대중화 되었다. 이 추세에 맞추어 다양한 염색, 탈색제, 왁싱 등의 제품이 출시되었고 헤어컬러링 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다.
염색이나 퍼머넌트 등 반복적인 시술의 문제점은? 미용을 위해 염색과 퍼머넌트 등의 화학약품 처리를 자주하고 있으나 아동들과 어른들의 약품이 구분되어지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모발 손상도가 더 높아진다[8]. 따라서 다양한 화학약품을 이용한 염색이나 퍼머넌트 등 반복적인 시술은 모발의 형태학적인 변화로 보습력 및 광택이 저하되고 두피 또한 화학적 성분이 노출되어 질병의 원인이 된다[9]. 인장 강도 변화에 의한 유연성이 저하되는 손상모발로 나타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Y. Kim. (2012). A Study on Bleaching and Hair Damage by Concentration of Sodium Metasilicate in Bleaching Agent,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1-6. 

  2. H. R. Choi. (2016). A Comparative Study of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Self-Treatment and Salon Treatment Hair Coloring,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of Daegu, 1-6. 

  3. B. M. Kim & J. H. Kim. (2001). A Study on Hair coloring I, Kongiu University of Science Education, 32(1), 55-67. 

  4. Y. K. Kim. (2002). The morphological change of human hair cuticle shape by permanent hair dyes and hair bleach,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1-30. 

  5. B. D. Lim. (2016).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 of Customer on the Hair Coloring Satisfaction,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of Daegu, 1-7. 

  6. J. M. Kwak, E. S. Yu, H. J. Yu, S. I. Lee, O. Y. Lee, G. S. Jung, S. H. Jung & J. Y. Jung. (2011). Hair Colorist, Cultural history claim, 77. 

  7. M. H, Jo & E. J, Yang. (2018). A study on the scalp, hair care according to DiSC behaviors of cosmetic consumer in their 20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15-421. 

  8. D. B. Lee. (2009).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an's Decolored and Permed Hairs depending on Age,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t SeoWon University, 1-9. 

  9. C. O. Nam. (2014). A Study on Perception of Hair Coloring Hair Day and Side Effects on Human Health of Hair Beauty Salon Customer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e.Public Administration &Welfare Hannam University, 1-13. 

  10. H. W. Choi. (2013). Morphological Changes on Damaged Hair Cuticle, M.S Thesis, Small Business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1-9. 

  11. J. Y, Lee. (2000). The study on the hair re-coloring and re-bleaching in the each different hair gro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ry Beauty And Art, 1(2), 61-78, 

  12. Y. B, Joo, Y. B, Kim & S. N, Lim. (2017). Morphological Changes in Hair by the Bleaching Agent;s Mxing Condi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533-541. DOI : 10.14400/JDC.2017.15.9.533 

  13. J. Lee, S. N. Lim, N. Y. Jung, W. E. Lee & C. N. Choi. (2011). Effect of Solvent in the Dyeing System of Acid Dye/Human Hair,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4), 251. 

  14. E. J. Lee. (2011). A Reseach on the Hair Damage Assessment and Color Visibility in Accordance With Types of Hair Dye,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1-54. 

  15. H. W. Jo. (2015). Research about Hair Damage due to Intermediate Treatment Method during Heat Perm Connection Procedure of Dyed and Bleached Hair,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34-57. 

  16. H. J. Kim. (2015). A Study on Standard Korean Hair Color and Hair Coloring,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Information Policy Hongik University, 6-65. 

  17. B. S. Chang. (2017). Study on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uman Hair Medull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123-129. 

  18. N. E. Kim. (2011).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Diagnostic System for Hair Color Styling,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31-69. 

  19. S. J. Park. (2016). In modern society, women have a lot of desire to find beauty,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angwon University, 1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