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양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구비강 연결 폐쇄를 위한 상악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congenital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o close oro-nasal communication using maxillary double crown and clasp retained removable denture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1, 2019년, pp.18 - 23  

도석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조진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순구개열의 존재로 인한 음식물 비강이동, 상악 열성장에 의한 교차교합, 발음, 심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악 구개열 근처 잔존치를 이중관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위는 구강형성(mouth preparation)을 이용한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구개열로 인한 점막 지지의 소실을 이중관으로 보충해 줄 수 있고, 지대치의 발치시 수리가 쉬운 장점도 있다. 본 증례는 상악에 몇 개의 남은 치아와 구순구개열을 가진 55세 여자 환자에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강비강 결손을 수복한 경우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구강비강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교차교합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관 지대치의 이용과 구치부의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미와 발음을 개선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oro-nasal communication, dental cross-bite caused by the insufficient growth of maxilla, poor pronunciation and esthetic problem. Removable denture with maxillary double crown near cleft palate and with clasp in the posterior teeth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지대치가 발치 될 경우 이중관과 연합하여 사용하는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의 수리가 쉬운 장점도 있다. 본 증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강비강 결손을 수복한 경우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한 증례는 보고가 된 바가 없어서, 구순구개열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는 치료의 하나의 선택적 증례가 될 수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에 사용되는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는 구강비강 폐쇄를 위해서 사용되는 폐쇄장치(obturator)의 역할을 하지만, 저작과 발음 심미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의치의 역할도 겸하고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폐쇄장치(obturator)라는 용어보다 국소의치라는 용어로 대신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중관으로 수복할 경우 어떤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가? 본 증례의 경우 구개열의 존재로 인한 구강 내 음식물의 비강 이동, 상악열성장에 의한 교차교합, 발음, 심미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악 좌측 견치 및 제1소구치(#23, 24) 잔존치를 이중관으로 수복하고 구치 부위는 구강 형성(mouth preparation)을 이용한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중관의 경우 구순구개열에서 흔히 발생하는 점막 지지가 소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지대치가 발치 될 경우 이중관과 연합하여 사용하는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의 수리가 쉬운 장점도 있다. 본 증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강 비강 결손을 수복한 경우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한 증례는 보고가 된 바가 없어서, 구순구개열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는 치료의 하나의 선택적 증례가 될 수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구개열 근처에 존재하는 상태가 좋지 않은 치아를 정상적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는것이 가능한가? 구개열 근처에 존재하는 치아들의 경우 종종 치아결손이 많고 치아가 대부분 기울어져 있고, 또한 치주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치아를 정상적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는 것은 기능적, 심미적, 기계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불리한 조건의 치아를 피개의치의 지대치로 사용하는 것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구순구개열 환자가 임플란트 수술이 어려운 이유는? 구순구개열 환자의 구강과 비강 소통의 치료를 위해서 임플란트 수술을 할 경우, 대량의 골이식이 필요하므로 임플란트의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침습적이고 난이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순구개열에 의한 상악 열성장의 극복을 위해서는 상악을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vhad R, Sar R, Tembhurne J. Presurgical management of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 a neonate: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14;112:676-9. 

  2. Zheng Y, Zhang D, Qin T, Wu G. Correction of nasal deformity in infants with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using multiple digital techniques. J Prosthet Dent 2016;115:788-91. 

  3. Reisberg DJ. Prosthetic 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lefts. Clin Plast Surg 2004;31:353-60. 

  4. Weber H, Frank G. Spark erosion procedure: a method for extensive combined fixed and removable prosthodontic care. J Prosthet Dent 1993;69:222-7. 

  5. Budtz-Jorgensen E, Thylstrup A. The effect of controlled oral hygiene in overdenture wearers. Acta Odontol Scand 1988;46:219-25. 

  6. Budtz-Jorgensen E. Effects of denture-wearing habits on periodontal health of abutment teeth in patients with overdentures. J Clin Periodontol 1994;21:265-9. 

  7. Morrow RM, Feldmann EE, Rudd KD, Trovillion HM. Tooth-supported complete dentures: an approach to preventive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1969;21:513-22. 

  8. Lord JL, Teel S. The overdenture. Dent Clin North Am 1969;13:871-81. 

  9. Wenz HJ, Hertrampf K, Lehmann KM. Clinical longevity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retained by telescopic crowns: outcome of the double crown with clearance fit. Int J Prosthodont 2001;14:207-13. 

  10. Widbom T, Lofquist L, Widbom C, Soderfeldt B, Kronstrom M. Tooth-supported telescopic crown-retained dentures: an up to 9-year retrospective clinical follow-up study. Int J Prosthodont 2004;17:29-34. 

  11. Ishida K, Nogawa T, Takayama Y, Saito M, Yokoyama A. Prognosis of double 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compared with clasp-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retrospective study. J Prosthodont Res 2017;61:268-75. 

  12. Breitman JB, Nakamura S, Freedman AL, Yalisove IL. Telescopic retainers: an old or new solution? A second chance to have normal dental function. J Prosthodont 2012;21:7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