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Collage Program on Self-Ident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1 no.6, 2019년, pp.754 - 765  

이경희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현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impact on self-identity and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fashion collage program.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six fashion major college students experi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 사용된 패션디자인 드로잉은 패션스타일을 좀 더 실험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일상적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표현 기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콜라주 맵과 패션디자인 드로잉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형식적, 내용적 분석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콜라주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얼마나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자극하며,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연결될 수 있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사용된 패션디자인 드로잉은 패션스타일을 좀 더 실험적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일상적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표현 기법이라 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패션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콜라주 맵과 패션디자인 드로잉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형식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으로 분석하여 콜라주 표현이 가지고 있는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패션콜라주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정체감과 창의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정체감이란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갖는 독자적이며 주관적인 느낌이며, 그 살아있는 존재의 독특성으로 모든 생물은 자아정체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인간 외의 어떤 사물이나 사상에도 우리가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면서 적용될 수 있는 용어로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창의성은 어느때 인정받는가? 창의성은 특정한 아이디어나 산출물이 사회·문화 속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 가능할 때 인정이 된다. 새롭고 독창적이기만 해서는 창의적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우며, 사회 · 문화적 맥락에서 가치 있게 인정되며 실현될 때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Creativity”, 2014).
콜라주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자극하며,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연결될 수 있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들은 창의적인 작품을 표현하는 방법과 창의적 디자인에 표현된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관심이 높았으며, 실제로 얼마나 창의력이 계발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한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Choi and Lee(2014)는 콜라주 일러스트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자아상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콜라주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S. H., & Kim, H. S. (2016).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on ego-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3(1), 243-265. doi:10.35594/kata.2016.23.1.010 

  2. Choi, J. H., & Lee, K. H. (2014). The effect of collage fashion illustration program on improving self-im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2), 218-227. doi:10.5805/SFTI.2014.16.2.218 

  3. Choi, M. J. (2018). The characteristics of art creation activities affecting on creative self-efficacy. Journal of Learner -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2), 165-194. doi:10.22251/jlcci.2018.18.22.165 

  4. Choi, S. Y., & Kim, M. J. (2014). Creative idea and an analysis of fashion design on Korean image through the SCAMPER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1), 1-17. doi:10.7233/jksc.2014.64.1.001 

  5. 'Creativity'. (n. d.). Naver. Retrieved September 27,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5648&cid42219&categoryId51195 

  6. Cropley, A. J. (1990). Creativity and mental health in everyday lif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 167-178. doi:10.1080/10400419009534351 

  7. Im, M. J., & Park, J. H. (2017). A study on idea conception method of creative fashion design -Focused on NM method(T type) & syn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1), 71-83. doi:10.5850/JKSCT.2017.41.1.71 

  8. Jang, S. S., & Lee, K. M. (2016). Effectiveness of collage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Art Therapy, 23(5), 1319-1345. doi:10.35594/kata.2016.23.5.005 

  9. Jeong, E. I. (2002). The relation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relat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0. Jung, Y. S., & Park, M. Y. (2017). The effects of ego-identity on career-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 making self-effica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8(4), 165-184. doi:10.22143/HSS21.8.4.10 

  11. Kim, E. J., & Yoo, M. H. (2018). The effects of creativity in a-STEAM education program by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8(2), 107-125. 

  12. Kim, H. J. (2016, December 28). Creativity and humanity ar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Jungbumaeil. Retrieved September 27, 2019, from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7116 

  13. Kim, H. L., & Yoo, Y. S. (2002). A study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Focusing on creative idea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8), 1153-1164. 

  14. Kim, S. W., Youn, M. S., & Lee, Y. S. (2018). Ability to express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movie 'The Devil Wears Prada'.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2), 459-467. doi:10.21742/AJMAHS.2018.12.63 

  15. Kim, S. Y. (2012). Study on collage techniques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2), 129-143. doi:10.29049/rjcc.2012.20.2.129 

  16. Kim, T. H., & Kim, J. B. (2016).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 identity based on the narrative identity.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30(1), 1-25. doi:10.17286/KJEP.2016.30.1.01 

  17. Kim, Y. J., & Kim, H. J. (2019). The effects of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collage technique on communic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7(2), 165-178. doi:10.36345/kacst.2019.37.2.018 

  18. Kwon, J. S. (2017). Analysis of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using the idea tool of R. Root-Bernstei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9(3), 143-158. 

  19. Lee, K. M. (2016).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collage art therapy using magazine picture in Kore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2(3), 19-41. 

  20. Lee, K. M., & Aoki, T. (2010). Collage art therapy. Seoul: Hakjisa. 

  21. Lee, K. M., & Jang, S. S. (2015). The effect of a group collage program on the career identity form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rt Therapy, 22(5), 1439-1456. doi:10.35594/kata.2015.22.5.011 

  22. Lee, K. H., & Lee, E. R. (2017). New fashion design plus thinking. Seoul: Kyomunsa. 

  23. Lee, K. M., & Yang, J. K. (2015). Group career counseling based on collage techniques. Seoul: Hakjisa. 

  24. Lee, M. S. (2003). A study on collage as a means of generating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5), 683-696. 

  25. Lee, M. Y., & Kim, E. Y. (2014). A study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images and their therapeutic aspects in art therapy: Focused on collage interview analysis.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0(2), 95-122. 

  26. Lee, S. D. (2003). Comparison of crea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5(2), 105-120. 

  27. Lee, S. S., Lee, K. M., & Song, H. J. (2018). The effect of a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enhancement of disabled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22(4), 185-205. doi:10.34262/kadd.2018.22.4.185 

  28. Lee, S. Y. (2014). The effects of self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maturit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1), 109-128. 

  29. Lee, S. Y. (2015). A study on the diversity of design training in creative idea technique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3, 300-311. 

  30. Nam, M. Y., Kim, Y. K., & Lee, K. H. (2012).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reative fashion design by the checklis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849-859. doi:10.5850/JKSCT.2012.36.8.849 

  31. Park, A. C. (2005). What is identity?. Asia Design Journal, 2(2), 52-71. 

  32. Ryu, J. S., & Kim, Y. C. (2015). Collage approach in qualitative research: representation of life history on a Korea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1(1), 1-35. 

  33. Son, E. J., & Shin, J. H. (2018). Effects of collage-applied group art therapy on th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10(3), 429-445. doi:10.35185/KJET.10.3.8 

  34. Son, Y. E., & Kim, J. S. (2018).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pplied by surrealist techniques (Part 2).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3(1), 205-214. doi:10.21326/ksdt.2018.23.1.018 

  35. Torrance, E. P. (1998). What kind of person are you?.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s, Inc. 

  36. Yang, Y. J., & Lee, K. M. (2013). The effects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on decreasei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6), 1225-1246. doi:10.35594/kata.2013.20.6.009 

  37. Yoo, Y. S., & Ha, J. Y. (2008). Creative expression using the scamper technique of fashion illustratio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2), 59-73. 

  38. Yoon, S. I., & Kang, H. S. (2013). The design process and the thinking for innovative expressions of post modern fashion. Design Convergence Study, 12(1), 203-218. 

  39. Yu, E. M. (2018). A study on color design education for creativity.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32(4), 127-15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