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1~2018년 라임병의 역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Lyme Disease in Korea between 2011 and 2018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4, 2019년, pp.436 - 443  

서충원 (질병관리본부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라임병은 2010년 법정감염병 지정 이후 환자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첫 환자가 보고된 2011년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신고된 환자 119명의 신고 자료 및 역학조사서를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ArcGIS Pro를 이용하여 추정 감염 지역에 대한 공간분석을 하였다. 2011년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국내발생은 70명(58.8%) 해외유입은 49명(41.2%)이다. 환자 발생은 2017년에 31명(26.0%), 계절은 여름~가을(6~11월)이 91명(76.5%)으로 가장 많았다. 진단일_신고일은 국내발생이 2.8±14.7일, 해외유입이 1.4±4.5일로 차이를 보였고, 임상 증상 중 발열과 발진은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임상 경과는 초기 국소성 감염 61명(52.1%), 초기 파종성 감염 43명(35.3%), 만성 감염 15명(12.6%)이었다. 국내 추정 감염 지역은 충남 12명(17.1%), 경기 12명(17.1%), 강원 8명(11.4%), 경남 7명(10.0%)으로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고, 해외유입은 미국이 21명(42.9%), 유럽이 17명(34.7%)으로 가장 많았다. 라임병 환자는 2016~2018년이 환자수가 증가 하여 발생 지역이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유입도 증가하고 있어 환자 관리는 더욱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전 연령에서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홍보 및 예방교육과 역학적 특성 파악은 꾸준히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yme disease is a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 as of September 2018. The number of cases of Lyme diseas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and clinical symptoms of domestic and imported. From 2011 to December 31, 2018, of the 119 cases, 48 con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임병의 혈청학적 진단을 위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1 단계 검사로 효소면역검사(enzyme immunoassay, EIA) 또는 간접면역형광항체법(Immunofluorescence assay, IFA)를 실시하고 양성인 검체는 임상 증상 및 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2단계 확인진단 검사인 웨스턴블럿(western blot) 실험으로 IgG과 IgM을 진단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1]. 이 연구에서 라임병 환자를 국내발생과 해외유입으로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여 국내와 해외유입의 역학적 특성, 임상 증상, 추정 노출지역의 비교를 확인하여 환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임병 환자의 환자발생은 증가하 는 양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라임병 환자의 환자발생은 증가하 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뚜렷한 증가 세가 확인되어, 환자 관리의 중요성은 커졌다고 판단된다. 환자 증가의 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매개체의 증가, 비전형적인 감 염질환 또는 신경계 질환에 대한 감별진단을 위해 의심환자 신 고접수가 증가하고 있고, 의료기관에서의 진드기 매개 감염병 에 대한 인지도 향상으로 생각된다. Schwartz 등[4]의 연구에 서 50∼54세가 젊은 연령층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고, 본 연 구에서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40∼59세의 연령층이 53명 (44.
라임병(Lyme disease)이란? 라임병(Lyme disease)은 보렐리라속균(Borrelia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orrelia garinii)에 감염된 참진드 기 교상으로 병원체가 전파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1]. 라임 병은 1975년 미국 코네티컷주 Lyme 지역 숲 근처에서 활동하 는 어린이들에게 단체로 관절염 증상이 나타난 원인을 역학조사하는 과정에서 Ixodea속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임을 확 인하였고, 1982년 Willy Burgdorferi에 의해 원인균이 나선형 모양의 Borreila임이 밝혀지게 되었다[2, 3].
라임병의 임상 증상은? 라임 병은 1975년 미국 코네티컷주 Lyme 지역 숲 근처에서 활동하 는 어린이들에게 단체로 관절염 증상이 나타난 원인을 역학조사하는 과정에서 Ixodea속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임을 확 인하였고, 1982년 Willy Burgdorferi에 의해 원인균이 나선형 모양의 Borreila임이 밝혀지게 되었다[2, 3]. 임상 증상은 주로 유주성 홍반(erythema migrans)이 대부분(70∼80%) 환자에 서 관찰되며 최소 5 cm 이상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생길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중심 부위는 호전되고 주변부로 퍼져나가 마치 황소의 눈(bull’s-eye) 모양을 나타내는 가장 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양을 나타내는 피부 증상이며, 피로감, 발열, 두통, 경부 강직, 근육통, 관절통, 림프절 종창 등도 동반 된다[1, 2]. 라임병은 남극과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대륙에서 발생되 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세균(bacteria)에 의해 발생하는 매 개체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uero-Rosenfeld ME, Wang G, Schwarts I, Wormser GP. Diagnosis of Lyme borreliosis. Clin Micobiol Rev. 2005;18:484-509. 

  2. Wang G, van Dam A, Schwarts I Dankert J. Molecular typing of Borrelia burgdorferi sensu lato: toxomic,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Clin Micobiol Rev. 1999:12:633-653. 

  3. Burgdorfer W, Barbour AG, Hayes SF, Benach JL, Grunwaldt E, Davis JP. Lyme disease-a tick-borne spirochetosis? Science. 1982;216:1317-1319. 

  4. Schwartz AM, Hinckley AF, Mead PS, Hook SA, Kugeler KJ. Surveillance of Lyme disease-United States, 2008-2015.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7;66:1-12. 

  5. Kim TH, Choi EH, Lee MG, Ahn SK. Serologically diagnosed Lyme disease manifesting erythema migrans in Korea. J Korean Med Sci. 1999;14:85-88. 

  6. Lee CN, Mo HJ, Kim JE, Park HJ, Lee JY, Jo BG, et al. A case of Lyme disease presenting with erythema migrans. Korean J Dermatol. 2003;41:1202-1205. 

  7. Kim JW, Kim JS. A case of Lyme disease with unusual cutaneous manifestations. Korean J Dermatol. 2005;43:501-506. 

  8. Lee D, Kim SH, Hong SK, Seo JK, Sung HS, Hwang SW, et al. A case of Lyme disease with various general symptoms. Korean J Dermatol. 2008;46:1112-1116. 

  9. Park KH, Lee SH, Won WJ, Park MY. Isolation of Borrelia burgdorferi, the causative agent of Lyme disease, from Ixodes ticks in Korea. J Korean Soc Microbiol. 1992;27:307-312. 

  10. Kee SH, Hwang KJ, Oh HB, Kim MB, Shim JC, Ree HI,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orrelia burgdorferi in Korea. J Korean Soc Microbiol. 1994;29:301-309. 

  11. Lee MG, Chung KY, Choi YS, Cho SN. Lyme disease. Korean J Dermatol. 1993;31:601-605. 

  12. Moon S, Gwack J, Hwang KJ, Kwon DH, Kim SY, Noh YT, et al. Autochthonous Lyme borreliosis in humans and ticks in Korea.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3;4:52-56. 

  13. Jung EK. 2017 Case definitions for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by 2019 Nov 10]. Available from: http://cdc.go.kr. 

  14. Jung EK. 2017 Guideline for vector born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by 2019 Nov 10]. Available from: http://cdc.go.kr. 

  15. Allen CS. Lyme disease. N Engl J Med. 2001;345:115-125. 

  16. Wormser GP, Dattwyler RJ, Shapiro ED, Halperin JJ, Steere AC, Klempner MS, et al. The clinical assessment,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yme disease, human granulocytic anaplasmosis, and babesiosi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the 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06;43:1089-134. 

  17. Allen CS. Lyme disease. N Engl J Med. 1989;321:586-596. 

  18. Lee MG, Cho YH. Lyme disease. J Korean Med Assoc. 2004;47:1063-1069. 

  19. Ai CX, Wen YX, Zhang YG, Wang SS, Qiu QC, Shi ZX,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me disease in Hailin county, Heilongjiang Province, China. Ann N Y Acad Sci. 1988;539:302-313. 

  20. Hao Q, Hou X, Geng Z, Wan K. Distribution of Borrelia burgdorferi sensu lato in China. J Clin Microbiol. 2011;49:647-650. 

  21. Masuzawa T. Terrestrial distribution of the Lyme borreliosis agent Borrelia burgdorferi sensu lato in East Asia. Jpn J Infect Dis. 2004;57:229-235. 

  22. Murase Y, Konnai S, Githaka N, Hidano A, Taylor K, Ito T, et al. Prevalence of Lyme borrelia in Ixodes persulcatus ticks from an area with a confirmed case of Lyme disease. J Vet Med Sci. 2013;75:215-2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