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Tidal Flat of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6, 2019년, pp.687 - 697  

김영길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이명선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하였다.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 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 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monitoring sediment grain size and level variation of tidal flat surface for 6 years (2005-2011), and also by mooring TISDOS (tidal-flat sediment dynamics observation system) on the low intertidal flat in 2008, we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idal flat in the dammed Yeongsan Ri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하구 갯벌에 대한 연구로서 주된 목적은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해 수로형 하구의 모습으로 크게 변모한 영산강 하구의 갯벌에서 최근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산강 하구의 남측 해안에 남아있는 갯벌에서 표층 퇴적물의 입도 변화와 바닥의 침·퇴적 과정을 모니터링 하였고, 수리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해 영산강 하구의 남측 해안에 남아있는 갯벌에서 표층 퇴적물의 입도 변화와 바닥의 침·퇴적 과정을 모니터링 하였고, 수리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개발하구 갯벌의 퇴적학적 특성과 변화 경향을 밝히고,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하구(estuary)는 강과 바다가 만나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곳으로 최후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해 하곡(river valley)이 침수되어 형성된다. 자연 하구의 경우 대부분 담수와 해수의 주요 이동통로가 되는 주조류로(main tidal channel) 와 그 주변에 넓은 갯벌이 발달하는 지형적 특징을 보이는데, 특히 넓은 하구 갯벌은 자신의 침·퇴적 과정을 통해 강과 바다의 유·출입 물질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이는데, 이 이유는 무엇인가?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
하구 갯벌의 점토 부족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개발사업 에 의해 전체 갯벌의 82 %가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 조간대(lower intertidal zone)의 좁은 갯벌로 서 존재하며, 퇴적물은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되고, 전 체의 70∼94 %를 실트가 차지하여 점토 부족, 실트 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하구 갯벌의 점토 부족 현상은 점토의 주요 수용공간이던 상부 갯벌(조상대, 상부 조간대)이 대규모 개발사업에 의해 사라졌고, 하구의 물 흐름(주로 담수유출과 조석작용) 특성이 대규모 개발에 의해 낙조류가 우세한 방향으로 크게 변화하여 현재의 갯벌(대부분 하부 조간대)에서 점토 퇴적이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영산강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풍속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풍속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 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ander, C. R., C. A. Nittrour, D. J. Demester, Y. A. Park, and S. C. Park(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61, pp. 805-824. 

  2. Bang, K. Y., T. I. Kim, Y. S. Song, J. H. Lee, S. W. Kim, J. G. Cho, J. W. Kim, S. B. Woo, and J. K. Oh(2013),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during the 2011 Summer Flood in the Youngsan River Estury,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5, No. 2, pp. 76-93. 

  3. Chang, J. H.(1995), 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1-192. 

  4. Chang, J. H., Y. S. Kim, and Y. G. Cho(1999), Tidal-Flat Sedimentation in a Semienclosed Bay with Erosional Shorelines: Hampyong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4, No. 2, pp. 117-126. 

  5. Chang, J. H. and J. Y. Choi(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 No. 3, pp. 149-157. 

  6. Chun, S. S., H. J. Lee, S. O. Ryu, and B. C. Yang(1998), Seasonal and local variation of sedimentation on the wave-dominated tidal flats, southwestern coast of Korea; Comparison between inner-bay and open tidal flats, 15th International Sedimentological Congress, Alicante, Spain, Abstract, pp. 1-257. 

  7. Chu, Y. S., H. J. Lee, E. S. Park, Y. G. Lee, and K. S. Jeong(2000), Summer-time behaviour and flux of suspended sediments at the entrance to semi-closed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5, No. 2, pp. 105-118. 

  8. Folk, R. L.(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USA, pp. 1-170. 

  9. Folk, R. L. and W. C. Ward(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27, pp. 3-26. 

  10. Frey, R. W., J. D. Howard, S. J. Han, and B. K. Park(1989), Sediments and sedimentary sequenecs on a modern macrotidal flat, Incheon,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59, pp. 28-44. 

  11. Hong, S. J., D. I. Lee, D. M. Kim, and C. K. Park(2000), Material budget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 No. 3, pp. 50-57. 

  12. Jung, T. S. and J. H. Choi(2010), Numerical modeling of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Mokpo coastal z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2, No. 5, pp. 333-343. 

  13. Jung, T. S.(2016), Inter-annual variation of tides o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8, No. 2, pp. 81-91. 

  14. Kang, J. W.(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48, No. 4, pp. 429-438. 

  15. Kim, Y. H., H. J. Lee, S. K. Chough, S. C. Hun, and S. J. Han(1999),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 69, pp. 328-337. 

  16. Kim, J. G., D. M. Kim, and J. S. Yang(2000), Estimation of material budget for Keum river estuary using a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 No. 4, pp. 76-90. 

  17. Kim, Y. G. and J. H. Chang(2017). Long-term changes of bathymetry and surface sediments in the dammed Yeongsan-River Estuary, Korea, and their depositional im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2, No. 3, pp. 88-102. 

  18. KMA(20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005-2011). 

  19. KHOA(2016),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Technical Report, pp. 1-221. 

  20. KRCC(201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Notification of result of post-environmental impact survey of Yeongsan-River Estuary improvement project, Vol. 1-6. 

  21. Lee, H. J., K. S. Bahk, H. R. Cho, Y. S. Chu, S. O. Sun, D. H. Kim, E. S. Park, C. K. Han, M. G. Kim, and K. H. Jeong(2002), Modeling of Sedimentary Dynamical Behavior of Coastal Suspended Sediments. Report (2000-N-NL-01-C-264),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Ansan, Korea, p. 323. 

  22. Lee, S. W.(1994), Korea Port Hydraulics Records, Jipmoondang, Seoul, Korea, pp. 93-116. 

  23. Lee, K. S. and S. K. Jun(2009), Material budget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 No. 4, pp. 248-254. 

  24. Lee, H. J., Y. S. Chu, and Y. A. Park(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 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Vol. 157, pp. 171-184. 

  25. Lee, H. J., H. R., Jo, Y. S. Chu, and K. S. Bahk(2004), Sediment transport on macrotidal flat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significance of wind waves and asymmetry of tidal current,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4, pp. 821-832. 

  26. Postma, H.(1961),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suspended matters in the Dutch Wadden Sea, Nertherland Journal of Sea Research, Vol. 1, pp. 148-190. 

  27. Ryu, S. O., H. S. You, and J. D. Lee(199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intertidal flat in Hampyong Bay, southw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4, No. 2, pp. 127-135. 

  28. Ryu, S. O., J. Y. Kim, and J. H. Chang(2001),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on the Tidal Flat of Muan Bay, Southwestern Co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2, No. 1, pp. 30-39. 

  29. Ryu, S. O.(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im-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6, pp. 481-492. 

  30. Van Straaten, L. M. J. U. and Ph. H. Kuenen(1957), Accumulation of fine grained sediments in the Dutch Wadden Sea, Geol. Mijnb. Vol. 19, pp. 329-354. 

  31. Wells, J. T., C. E. Jr Adams, Y. A. Park, and E. W. Frankenberg(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es on a high-tide-range mudflat, west coast of South Korea, Marine Geology, Vol. 95, pp. 11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