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 칠탄정 경영과 칠리탄 16경의 경관특성
A Characteristics of 16 Scenes of Chilitan and Management of Chiltanjung, Milya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22 - 36  

김수진 (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정해준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초록

본 연구는 오한 손기양이 경영한 칠리탄 일원의 경관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16~17세기 선비가 지향했던 출처관과 이상적인 경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칠탄정십육경도」에 묘사된 그림과 시문 그리고 현장답사를 진행하여 각 경의 구조와 해석을 진행하였다. 오한은 광해군 4년 조정의 정치가 날로 문란해지자 은거를 결심하고 낙향하게 되는데, 평소 엄자릉의 은일적 삶을 흠모하여 엄자릉이 칠탄을 경영한 것과 같이 원래의 종천을 칠리탄이라 이름하고 그 주변 정자에 짓고, 낚시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등 자연에 귀의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은거를 하고 있음에도 임금과 조정을 걱정하는 등 도학적 출처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칠탄정 원림 건물의 각 기둥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수신, 안빈낙도 등의 성리학적 사유와 무위자연을 표상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모습은 1936년 모습이며, 읍청당을 중심으로 운강루, 벽립재, 칠탄정 등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 주변에는 '진암수석', '기암', '오한손선생장구지소', '조기' 등의 각자가 남아있어 당시의 장소정체성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중건기 등의 기록에 의하면 칠탄정 주변으로 소나무를 비롯한 전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연꽃, 복숭아, 대나무 등이 식재되었다고 하며, 현재 은행나무와 배롱나무, 소나무와 밤나무가 발견되는데, 식물의 상징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식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칠탄정 16경의 경관묘사 방법은 '장소+경관(행위)'의 구조로, 칠탄정을 중심으로 근경, 중경, 원경이라는 장소적 특징을 분류하여 해석하였으며, 칠탄정 일원의 각 경관을 은자를 비롯한, 군자, 신선사상, 향토경관, 태평성대 등을 상징화하여 유교적 이상향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dentifie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hilitan(칠리탄) area, which had been managed by Son Giyang(1559~1617, p. Ohh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litical viewpoint and ideal landscapes, sought after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16~17th century.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e interpre...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 대상지인 칠탄정은 어디인가? 본 연구 대상지인 칠탄정은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밀양시 단 장면 미촌리 산480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밀양을 대표하는 영 남루에서 동쪽 직선거리로 약 5.
조선시대 선비의 산수경영은 어떻게 인식 되었는가? 조선시대 선비의 산수경영은 단순한 자연 대유법이 아닌 주 자의 이상에 따라 세상만물의 이치를 체득하는 중요한 과정으 로 인식되었다[1]. 선비들은 산수자연 자체를 만물의 시원(始 原) 내지 영원한 존재 또는 일종의 정신적인 개념으로 받아 들 여, 존재가치로서 자연을 숭배하고 조화, 합일하고자 하는 의식 이 원림미학에서 잘 나타난다[2].
손사익은 옛 건물을 증축 한 이 건물은 무엇인가? 하지만 정자가 지어지지 않음을 안타까워하던 손사익이 문 중의 사람들과 1784년 정자를 짓고 오한의 철조시어 를 취하 여 ‘칠탄정’이라 하였다. 이를 볼 때 먼저 읍청당의 위치가 가장 먼저 정해지고, 주변의 행랑(현, 벽립재, 운강루)을 붙인 후 칠 탄정을 조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S. J. and Sim, W. K.(2005). Yulgok(栗谷)cs View of Ideal Landscape Depicted in Gosangugo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4): 1-13. 

  2. Kim, T. S.(2009). Ideal World and Nature Management at Hermits of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 Dr thesi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3. Choi, S. E.(2004). Aesthric sense and literary value of the narrative poems of noblemen in the Joseon Dynasty, Seoul: Bogosa. 

  4. Son, O, K.(2006). Aesthetics of Shan-shui,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5. Son, P. J.(1991). Study of Chinese Poetry depicting Chiltanji, 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 6(-): 105-148. 

  6. Choi, K. H.(2006). The poems about scenery viewed from a pavilion (樓亭集景詩) and the spatial character of the pavilion. 22(-): 375-415. 

  7. Choi, K. H.(2018).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tic Scenes and Pictorial Scenes through Comparing Chil Tan Pavilion sixteen pictures and Lee Ik's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 51(-): 277-310. 

  8. Gukyeuk Chiltanji(國譯 七灘誌) 

  9. https://blog.naver.com/blisskim47/220924251498 

  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1914). The map in Daejung 3rd. 

  11. Cho, G. H.(2006). Estat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Dr thesi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74105&cid62064&categoryId62064 

  13. Hong, M. S.(2006). Jeungbosanrimgyongje I. Jeo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4. https://news.joins.com/article/6976134 

  15. Wiansingpay and Kim, S. Y.(2012). The Borderline between Culture and Painting - drawing Tao Yan Ming, Paju: Taehaksa. 

  16. Geum, J. T.(2001). Scholars and their Spirits of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 Heo, G.(2003). Our Old Paintings Analyzed by Meanings. Seoul: Korea Text Book. 

  18. Yu, J. H.(2007). Go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understood with Paintings. the 7th Conference of Baduk Studies. pp.21-42. 

  19. Ma, H. and Jin J. G.(1997). Hermi Life of China. Seoul: Dongmunseon. 

  20. Shin, E. G.(1999). Pungryu: Seoul: Bogosa. 

  21. Heo, G.(2001). Contents and Symbols of Traditional Arts, Seoul: Gyobo Books. 

  22. Sim. W. K.(2003). A Study on Usages of Lotus in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4):72-80. 

  23. Jin, J. H.(2002). Study of Danwon Kim Hongdo, Seoul: Iljisa. 

  24. Miryang Cultural Center(http://miryang.kccf.or.kr) 

  25. Gu, M. R.(2002). Symbolic World of Korea, Seoul: Gyobo Books. 

  26. Ju, G. H.(2006). Dorae : The History of Farmers, Seoul: Dulnyouk. 

  27. Simonds. J .H and Ahn, D. M.(2016). Landscape architecture 5th edition, Seoul: Gimunda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