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19세기 인물을 통해 본 안의삼동(安義三洞)의 주요 유람처와 공간인식
A Study on the Major Attraction and Space Recognition in Anuisamdong(安義三洞), through the People of the 16th to 19th centurie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49 - 61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거 안의삼동을 유람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던 인물들의 공간인식을 살펴보고자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는 인물들의 학파별 관계와 경관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안의삼동 관련 기록을 저작한 인물들은 영남 유학계보와 함께 안의삼동 일대 거주하는 지역사림을 중심으로 관계가 확인되었다. 15세기 정여창을 시원으로 16세기 남명학파 중심의 관계가 나타났으나 당시에는 학맥과 관계없이 안의삼동을 유람했었다. 17세기에는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대립으로 퇴계학파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며, 18세기 영남학파로 발전되면서 남명학파, 퇴계학파, 기호학파의 비중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19세기 이후에는 학맥보다는 일제 항거운동에 참여했던 애국지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안의삼동 관련 문헌에서 주로 이용되는 장소는 원학동, 화림동, 심진동 순으로 확인되었다. 관련문헌의 대상으로 이용된 주요 요소는 총 21개소로, 이 중 수승대, 모리재, 농월정, 사선대, 척수암이 주를 이루었다. 원학동의 요소들은 수승대를 중심으로 16세기 이후 주요지점으로 각광받았다. 화림동의 요소는 18세기 이후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심진동의 경우 원학동이나 화림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안의삼동을 방문했던 인물들의 관계와 문헌 분석 결과 안의삼동에 대한 공간인식 양상은 경관 묘사, 안의삼동에서의 감회, 문헌에 내재된 상징성으로 구분되었다. 안의삼동의 경관인식은 수경관과 지형경관 중심의 묘사가 주로 확인되는데, 당시 인물들이 안의삼동을 계곡경관 중심의 명승지로 인식했을 것으로 보인다. 16·17세기 남명학파와 퇴계학파의 상호영향관계는 각 학파의 주요 인물들이 안의삼동의 유람을 수련문화로 인식하던 양상이, 18세기 유람문화의 성행과 19세기 혼란스런 정세를 거치면서 과거 선조들의 자취를 그리워하는 정서로 이어졌다. 이외에 주로 나타나는 상징적 표현은 신선세계로의 장소성이 확인됨에 따라 탈속의 장소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characters who visited Anuisamdong(安義三洞) in the past and left it in the literature. Thus, the school's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was analyzed and the elements of landscape were extracted. The results we...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거 안의삼동을 방문하고 이를 문헌으로 남겼던 인물들의 공간인식을 살펴보고자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는 인물들의 학파별 관계와 각 문헌에서 타나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교차분석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안의삼동을 대상으로 저작된 시문이나 기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안의삼동에 포함되는 명소의 관련 인물이나 이를 유람했던 인물들은 총 93명에 해당하며, 그들이 남긴 111편의 시문 및 기문을 연구의 재료로 삼았다.
  • 안의삼동 경관을 바라보는 대상은 건조물, 지형요소, 수요소, 식물, 각자로 세분하였으며, 내용은 경관의 조망, 향유행태, 상징화, 안의삼동에서의 감회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중기 이후 19세기까지 안의삼동에 대한 공간인식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명승자원과 이를 향유했던 인물들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안의삼동 내 명승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문헌 속 단어의 빈도추출과 내용분석을 통해 대상, 정서 등 과거 안의삼동 일대를 유람했던 인물들의 공간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명승은 무엇인가? 전통명승은 오늘날 문화재보호법 상에서 정의하고 있는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이나 정신작용이 개입된 개념에 해당한다 [1]. 따라서 전통명승은 빼어난 경관이나 경물이 지니는 형식미와 이를 향유했던 인물들 사이에 보편적으로 형성된 미적가치가 결합되어 명승으로서의 장소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볼수 있다.
전통명승에서 인문 활동의 특성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에는 전통명승 유람을 통해 시나 기문을 짓고 풍류를 즐기던 사의적 향유방식이 점차 변화되어 단순 경관 조망이나 위락 중심의 관광 형태로 변화되면서, 지자체의 지역 홍보 수단이나 휴양지 등으로 이용되어 과거 자연과 인간의 균형 사이에서 점차 인간, 즉 인문 활동의 특성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전통문화의 단절이라 단언하기보다는 과거 곳곳에 위치했던 전통명승 대비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명승의 수가 많지 않으며, 관련 문헌 또한 한문으로 되어 있고 곳곳에 산재되어 있어 읽기 쉽게 번역되거나 집성되지 못한 실정이다.
전통명승이 장소적 의미를 지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통명승은 오늘날 문화재보호법 상에서 정의하고 있는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이나 정신작용이 개입된 개념에 해당한다 [1]. 따라서 전통명승은 빼어난 경관이나 경물이 지니는 형식미와 이를 향유했던 인물들 사이에 보편적으로 형성된 미적가치가 결합되어 명승으로서의 장소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볼수 있다. 이현운(李顯運, 1643-?)은 『농재고(聾齋藁)』에 ‘무릇 명승이 명승으로 인정받는 이유는 반드시 한 시대의 풍류가 있는 문사들이 시로 읊고 기록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S. K.(2008). The Meaning of Humanities in Traditional Scenic Site. The Type of Dongcheon and Gugok and its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in Traditional Scenic Sites Conference Article. pp.19-50. 

  2. Ahn, D. H.(2019). A Study on the Range and Evaluation of National Scenic Si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Methodology of Scenic Site Theory and the Practicality Research of Scenic Site Conference Article. pp.21-46. 

  3. Segye Daily Newspaper on Aug. 10, 2016 

  4. Lee, J. M.(2006). Cultural Space of Joseon 2. Seoul; Humanist 

  5. Choi, S. K.(2015). Primary Address of Explore in Joseon Scholar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 

  6. Kang, C. G.(2002). A Study on Suseungdae in Geochang, and Neighboring Scenic Beau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79-92. 

  7. Kim, H. S. and Sim, W. K.(2015). Modern application of Nu-jung, a place of taste for the arts, of Aneuisamdong and the culture of classical scholar.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48(2):48-63. 

  8. Kim, D. H.(2008). The Types and Cases of Dongcheon and Gugok in Traditional Scenic Site. The Type of Dongcheon and Gugok and its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in Traditional Scenic Sites Conference Article. pp.53-75. 

  9. Lee, W. H. and Kim, D. H.(2015). A Basic Study on Spatial Recognition through Poet in Soswaewon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38-49. 

  10. Hwang, M. S.(2011). A study of Pungyoungjeong rhyme-borrowing poems.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28(-):203-240. 

  11. Lee, J. H. (Translate) Lee, I. S.(2002). Taekriji. Seoul; Eulyoo Publishing 

  12. Korea Classic Database(http://db.itkc.or.kr/) 

  13. Lee, J. M.(2008). Okgye No, Jin and Jangsusa Temple in Simjindong. Nammyunghak Studies. 26(-):405-437. 

  14. Geochang Culture(1998). Pavilion in Geochang. Geochang; Geochang Culture. 

  15. Hamyang Culture Center(2011). Records of Pavilion in Hamyang. Hamyang; Hamyang Culture Center.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5).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Traditional Space for the Restoration of the Wonri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