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체험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장의 활용방안 모색
Classification of Place for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y and Actu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bout Science Experience Learning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1, 2019년, pp.43 - 54  

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  권혁재 (파평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rganize various places for science experience study, this study gathered and analyzed prior research on science experience study and various science experience perated in school. To that end, a total of 162 relevant prior studies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16 were collected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학관련 체험학습장을 다룬 선행 연구와 현장의 운영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과학관련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방안과 이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되고, 학생참여형 수업이 강조됨에 따라 체험학습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는 과학체험학습의 계획단계에서 필수적이며, 중요도가 높은 선택 요소인 체험장소를 중심 으로 과학체험학습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최근까지 국내 문헌에 소개된 과학체험학습 장소를 분석하고, 학교현장에서 실시된 과학체험학습 실시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체 험학습 장소별 특징을 살펴보고, 여러 체험장소를 과학교과 특성에 맞도록 정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과학 관련 체험활동을 ‘과학체험학습’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학체험학습의 계획단계에서 필수적이며, 중요도가 높은 선택 요소인 체험장소를 중심 으로 과학체험학습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최근까지 국내 문헌에 소개된 과학체험학습 장소를 분석하고, 학교현장에서 실시된 과학체험학습 실시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체 험학습 장소별 특징을 살펴보고, 여러 체험장소를 과학교과 특성에 맞도록 정리하고자 한다. 범주화된 과학체험학습장 분류표는 학교 현장에서 체험 학습을 계획할 때 여러 장소를 고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차후 과학체험학습 모형 개발 연구의 장소변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류 하는데 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관련 활동이란? ‘과학 관련 활동’이란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안의 형식 활동 외에 동물원, 박물관, 수족관, 식물관 등 다양한 장소와 시간에서 일어나는 유비쿼터스적 비형식 학습 활동이고, ‘체험중심 과학교육활동’이란 자연 현상이나 과학적 이론을 실제의 장면에서 직접 관찰하거나 조사하면서 전개 되는 학습활동이다(Shin, 2013). 또한 Kang (2007)의선행연구에 따르면 ‘체험학습’이란 체험활동을 통해서 배우는 것 즉, 학습자의 활동이 현재 학습하고 있는 실제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양한 체험장소에서의 경험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2018). 체험장소의 성격에 따라 활동방법과 학습주제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체험장소에서의 경험은 중요해진다. 과학과에서 가장 대표적인 체험장소는 과학관과 동물원, 식물원, 천문대 등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과학관련 문화역사 체험학습장 확대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둘째, 과학관련 문화역사 체험학습장 확대가 필요하다. 지역문화재는 문화역사 체험학습장 문헌 23편 중 7편(30.4%)에 불과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과학관련 체험학습장으로 자연 생태 체험학습장은 교육기관 주변 자연환경이, 문화역사 체험학습장은 자연사박물관이, 시설기관 체험학습장은 과학관이었는데, 이 모두가 수도권지역에 집중․편중되고 있었다. 지역 학생들에게 공평한 과학학습기회와 효과적인 과학관련 체험활동이 되기 위해서 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과학문화역사 체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역사와 전통에 숨겨진 과학을 찾아보는 과학문화역사 체험학습 중심으로 연구와 자료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문화역사 탐방지에 대한 수업뿐 아니라 체험학습에 대한 전이효과를 높이고, 과학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시켜 나가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run M., Cleghorn, A. & Garfield, C. (1995). Family learning in museums: A bibliographic review. Curator: the Museum Journal, 38(4), 262-270. 

  2. Byeon, J., Lee, J. & Kwon, Y. (2009). An analysis of meanings and processes about scientific observ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5), 531-540. 

  3. Catalano, R. F., Oesterle, S., Fleming, C. B. & Hawkins, J. D. (2004). The importance of bonding to school for healthy development: Findings from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52-261. 

  4. Cho, O. & Kim, Y. (2001).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nd inquiry abilities in traditional cultural contex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1), 901-921. 

  5. Choi, J. & Park, S. (2004).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on historical heritag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930-936. 

  6. Choi, J., Kim, C., Lee, C., Im, J., Lee, S., Byun, H. & Shin, M. (2004).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869-885. 

  7. Choi, S. (2013). Investigation of science camp programs in the Oregon State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 33(1), 21-35. 

  8. Gardner, H. (1991). The unschooled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New York: Basic Books. 

  9. Heo, T. (2016). Domestic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e of science museum for preschooler: Focused on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Hong, J. & Chang, N. (1997). Status of conducting the field trip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7(1), 85-92. 

  11. Jang, K., & Yoon, H. (20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Korea Junior Engineering Achievement' cas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4), 329-336. 

  12. Jeung, S. (2003). Investigation of teacher's recogni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and application (electric energy): Electricity Museum.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ang, K. (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interest in science by experience learning: A study on the change of interest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ence lear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C. (2005).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e-centered science camp program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5. Kim, C., Yun, K., Oh, S., Bak, J., Kim, M. & Shin, M. (2012).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6), 49-72. 

  16. Kim, E. (2002). A study on the practices of scientific wisi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ssets as a scientific inqiry activity.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Korea. 

  17. Kim, J. & Shin, D. (2014). Research articles : Exploring possibilities of science field experience in Jongmyo shrin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286-305. 

  18. Kim, Y., Kim, J. & Kim, Y. (2008). Research on improvemen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implement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2(3), 837-859. 

  19. Kim, Y., Kim, Y. & Jeong, J. (2007). The study about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46(1), 1-19. 

  20. Knapp, C. E. (2008). Place-based curricular and pedagogical models my adventures in teaching through community contexts, In Gruenewald, D. A. & Smith, G. A. (Eds.), Place-based education in the global age: Local diversity.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Kwon, N. (2017). Development of science experiential activity contents based on experience place and curriculum with linkage to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 37(2), 41-58. 

  22. Kwon, N. & Ahn, J. (2011).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hrough the analysis of 'mobile science car' program. School Science Journal, 5(2), 164-173. 

  23. Lee, B. & Choi, M. (2015). The effects of play activities through a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life respect attitude. Journal of Parent Education, 7(1), 53-66. 

  24. Lee, H. & Kim, Y. (2015).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designing creative activitie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4(4), 581-597. 

  25. Lee, M., Hong, J., Han, S., Lee, D. & Kang, W.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utilize field experience learning center in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 53-91. 

  26. Lewin, A. W. (1989). Children's museums: A structure for family learning. Marriage and Family Review, 13(4), 51-73. 

  2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jong: Author.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OEST) (2011). 2011 report: Future Korea opens with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advanced technology. Seoul: Author. 

  29. Park, I. (2015). Study on safety measure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1), 141-167. 

  30. Park, S. (1991). In search of the roots of ethnic science. Seoul: Dusan Donga. 

  31. Shin, H. (2010). Analysis on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nature experience learn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32. Shin, Y. (2013). Effects of experience- oriented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using resources in the local community.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33. Yang, M. (2001). Exploring the meaning and condi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167-196. 

  34. Yoon, C. (1999).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xperience learning.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7(2), 19-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