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Pain, Pelvic Tilt, Functional Disability Index,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1 no.1, 2019년, pp.7 - 12  

Kang, Tae W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Woosuk University) ,  Kim, Beom Ryo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esign Hospital)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s on the pain, pelvic tilt (PT), functional disability, and bal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CLBP).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with CLBP were randomly divided randomly into either experimenta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허리주위의 긴장된 근육에 대한 신장운동과 약화된 근육에 대한 강화운동을 통해서 허리통증과 관절가동범위 및 기능장애지수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만성 허리통증 환자에게 두 가지 유형의 운동을 적용하여 어떤 유형의 운동이 허리 통증, 골반기울기, 기능장애지수 및 균형능력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비교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허리통증환자에게 엉덩관절 굽힘근과 등허리 폄근의 긴장된 근육에 대한 신장운동과 엉덩관절 폄근과 배근육의 약화된 근육에 대한 강화운동을 통하여 허리통증, 골반기울기, 기능장애지수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신장운동과 강화운동에 따른 운동형태가 만성허리통증환자의 골반 기울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골반기울기의 운동 전과 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신장운동 집단은 운동 전 15.
  • 신장운동과 강화운동에 따른 운동형태가 만성허리통증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균형능력의 운동 전과 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신장운동 집단은 운동 전 42.
  • 신장운동과 강화운동에 따른 운동형태가 만성허리통증환자의 기능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기능장애지수의 운동 전과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신장운동 집단은 운동 전 32.
  • 신장운동과 강화운동에 따른 운동형태가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허리통증의 운동 전과 후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신장운동 집단은 운동 전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은 어떤 신체능력인가요? 5                                                                                                      허리통증의 원인을 근육과 자세의 불균형이라 고려할 때6 허리통증 관리를 위해서는 근력강화와 바른 자세유지 및 균형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7 균형은 기저면(base of support, BOS)과 안정성의 제한(limits of stability, LOS) 내에 중력중 심(center of gravity, COG)을 유지하는 신체능력이다. 8 균형을 유지하 기위해서는말초와중추신경계의상호작용이필수적이며, 말초신경 계는 피부와 통증에 대한 고유수용감각을 제공하는 체성감각, 환경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 몸통과 머리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는 전정계로 구성된다.
직업과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직업과관련된근골격계질환은다양한위험요인(risk factors)에의해 발생된다. 위험요인은크게개인, 작업, 사회요인으로구분되며, 작업 요인이 가장 높은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1 특 히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 요인은 부적절한 자세를 초래하며, 허리 통증(lower back pain)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허리통증이 만성화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3 이 중에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12주 이상 통증 이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허리통증(chronic lower back pain)이라 한 다. 4 통증이 만성화되면 허리부위의 가동성과 안정성 및 근력이 감소 되고, 고유수용감각의 변화로 협응력의 저하와 다양한 신체기능의 손상이발생한다. 5                                                                                                      허리통증의 원인을 근육과 자세의 불균형이라 고려할 때6 허리통증 관리를 위해서는 근력강화와 바른 자세유지 및 균형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umar S. Theories of musculoskeletal injury causation. Ergonomics. 2001;44(1):17-47. 

  2. Chung MK, Lee I, Yeo YS. Physiological workload evaluation of screw driving tasks in automobile assembly jobs. Int J Ind Ergon. 2001;28(3-4):181-8. 

  3. O'Sullivan P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4.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t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tomatic after resolution of acute,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1996;21(23):2763-9. 

  5. Koumantakis GA, Watson PJ, Oldham JA.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 Ther. 2005;85(3):209-25. 

  6. Hyoung HK.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lower back in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Acad Nurs. 2008;38(6):902-13. 

  7. Jeon JK. The effects of combination patterns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in elderly patients. J Digital Convergence. 2013;11(4):361-8. 

  8. Nichols DS, Miller L, Colby LA et al. Sitting balance: its relation to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9):865-9. 

  9. Alexander KM, Kinney LaPier TL.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and weight distribution between normal subjects and subjects with chronic unilateral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8(6):378-83. 

  10. McCollum G, Shupert CL, Nashner LM. Organizing sensory information for postural control in altered sensory environments. J Theor Biol. 1996;180(3):257-70. 

  11. Rantanen P. Physical measurements and questionnaires as diagnostic tools in chronic low back pain. J Rehabil Med. 2001;33(1):31-5. 

  12. Frank C, Page P,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Human Kinetics, 2009. 

  13. Nourbakhsh MR, Arab AM.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factors and incidence of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32(9):447-60. 

  14. Van Dillen LR, McDonnell MK, Fleming DA et al. Effect of knee and hip position on hip extension range of motion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0;30(6):307-16. 

  15. An CS. The effects of hamstring stretching exercise on angle of lumbar flexion and pain reduction with chronic low back patients. J Korean Phys Ther. 2005;17(4):559-67. 

  16. Kim BR, Lee HJ.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based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dex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J Exerc Rehabil. 2017;13(4):486-90. 

  17. Lee P, Helewa A, Goldsmith CH et al. Low back pai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in an industrial setting. J Rheumatol. 2001;28(2):346-51. 

  18. Lee JJ, Song BB. The effects of the passive and active stretching exercises of iliopsoas muscles on low back pain patients. J Spec Educ Rehabil Sci. 2015;54(2):291-307. 

  19. Rone-Adams SA, Shamus E, Hileman M. Physical therapists' evaluation of the trunk flexor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JAHSP. 2004;2(2):3. 

  20. Lingjærde O, Foreland AR. Direct assessment of improvement in winter depression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iatry Res. 1998;81(3):387-92. 

  21. Fairbank JC, Pynsent PB.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2000;25(22):2940-53. 

  22.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23. Kwag KI, Lim JH. The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and stretching exercise on muscle strength and pain of patients with lower pack pain. J Korean Acad Clin Electrophys. 2011;9(2):39-46. 

  24. Bong SY, Kim YJ, Kang MG et al.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on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dex of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PNF & Mov. 2016;14(3):185-93. 

  25. Levangie PK, Norkin CC.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Philadelphia, FA Davis, 2011. 

  26. Levine D, Whittle MW. The effects of pelvic movement on lumbar lordosis in the standing posi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4(3):130-5. 

  27. Kim BG. The influence of exercise for trunk stabilizing on lumbosacral region angle in low back pain patien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6. 

  28. Park SJ, Shin JY, Hwang R. Sling exercise effects on sagittal align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Korean J Phys Education. 2015;54(1):527-34. 

  29. Kim JH, Hur JG, Ko TS et al.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work-related back pain in physical therapists. J Korean Acad Med Ther Sci. 2009;1(1):15-23. 

  30. Nagrale AV, Patil SP, Gandhi RA, et al. Effect of slump stretching versus lumbar mobilization with exercise in subjects with non-radicular low back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Man Manip Ther. 2012;20(1):35-42. 

  31. Gawda P, Dmoszynska-Graniczka M, Pawlak H et al. Evaluation of influence of stretching therapy and ergonomic factors on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Ann Agric Environ Med. 2015;22(1):142-6. 

  32. Kim GY, Ahn CS, Kim SS. The effects of 3-dimensional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ain and static or dynamic balance ability in 20's age group with low back pain. J Korean Soc Phys Med. 2011;6(2):235-46. 

  33. Park J, Kim K. The analysis of stabilization exercise on lumbar extension strength, balance ability in adult female of chronic back pain patients. Korean J Sports Sci. 2012;21(21):11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