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수계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3, 2019년, pp.303 - 320  

서미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조창대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임태효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상훈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윤현정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경훈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quality is characterized by various complex factors. Therefor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ater quality trends is required to carry out a proper evalu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using five-year data from 2012 to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전체를 대상으로 최근 5년간(2012~2016)의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수계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군집 분석과 요인 분석의 다변량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수질 결정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낙동강수계에서 시기별, 구간별로 관리해야 하는 우선적인 수질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기상변화, 보의 영향 등 하천 환경의 변화는 우선 관리해야 하는 수질 항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수심이 깊어지고 유속이 느려지며 오염물질이 누적되는 하류 구간으로 갈수록 이러한 하천 환경의 변화에 의해 수계는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은 어떤 특징을 가진 하천인가? 낙동강은 도시·농촌지역, 산업·공업단지 등 다양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왔으며, 본류로의 높은 오염 부하(NRERC, 2009; Yu et al., 2012)와 그에 따른 빈번한 부영양화 현상이 언급되어온 하천이다(Kim, 2005). 이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하천환경개선 대책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여 BOD와 TP항목을 기준으로 지속적인 수질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본 논문에서 안동1 지점부터 구포 지점까지 낙동강본류를 대상으로 시·공간적 수질 특성 분석과 주요 수질인자들을 도출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안동1 지점부터 구포 지점까지 낙동강본류를 대상으로 시·공간적 수질 특성 분석과 주요 수질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낙동강은 수질 특성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류(~상주1), 중·상류(~달성), 중·하류(~구포)구간으로 분류되었으며, 시간적으로 여름/가을철(7~10월)과 그 외 시기(11~6월)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인 낙동강의 수질은 영양염류(N, P)와 유기물질(BOD, COD),대장균군(TC, FC) 항목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중·하류구간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며 중·하류 구간의 수질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드러냈다. 비점 수질 항목인 SS와TP는 경향 분석 결과 감소 경향을 나타내긴 했지만 여름/가을철 시기에는 전 구간에 걸쳐 비점 오염물질들의 영향을 주목해야 하며, 특히, 오염물의 저장소가 되는 중·하류 구간에서의 여름/가을철 비점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또한, 여름/가을철 외 시기와는 달리 대장균군에 의한 영향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여름/가을철 외 시기에는 전 구간에 걸쳐 질소 계열과 유기성 오염물질의 영향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전 시기의 제 1 요인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 중·상류 구간에서의 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시간별 경향성 또한 질소 계열의 경우 서로 일정한 경향성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유기물질(COD, TOC)은 시간별 증가 경향을 나타내면서 점오염원의 제어에 대한 필요성을 드러냈다.
다양한 수질 항목을 이용하여 변화하는 수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하천환경개선 대책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여 BOD와 TP항목을 기준으로 지속적인 수질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수계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수질 항목을 이용하여 변화하는 수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낙동강은 하천을 따라 분포한 많은 산업·공업 단지와 대도시 지역에 의한 공간적 변화가 큰 특징이 있으며, 시간적 변화에 따른 수리·기상학적 특성도 크게 변화하므로 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수질 평가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ai, T., Ikejima, N., 1980, A Survey of Plesiomonas shigelloides from aquatic environments, domestic animals, pets and humans, J. Hyg., 84(2), 203-211. 

  2. Araujo, R. M., Arribas, R., Lucena, F., Pares, R., 1989, Relation between Aeromonas and fecal coliforms in fresh waters, J. Appl. Bacteriol., 67(2), 213-217. 

  3. Baek, S., 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and Escherichia coli based on pollutant sources at Gwangyang Bay of South Sea in Kore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KAIS), 15(5), 3279-3285. 

  4. Beck, Y. S., Sohn, J. S., 2006, Studies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in sewage effluents, J. Korean Soc. Water Qual., 22(1), 166-171. 

  5. Canosa, A., Pinilla, G., 1999, Bacteriological eutrophication indicators in four Colombian water bodies (South America), Lakes Reserv. Res. Manag., 4, 23-27. 

  6. Cho, H. K., 2011, A Study on the related characteristics of discharge-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JESI), 20(3), 373-384. 

  7. Gwak, B. R., Kim, I. K., 2015,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in Changnyeong -Haman weir s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JKSWW), 29(6), 625-632. 

  8. Gwak, B. R., Kim, I. K., 2016,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in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using statistical analy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38(2), 71-78. 

  9. Hiraishi, A., Saheki, K., Horie, S., 1984, Relationships of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and organic pollution levels in Tamagawa River, Bull. Japan. Soc. Sci. Fish., 50(6), 991-997. 

  10. Jeon, Y. I., 2012,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Nakdong River a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tems of water quality, Yeungnam University, Korea. 

  11. Jung, K. W., Yoon, C. G., Jang, J. H., Jeon, J. H., 2006, Water qu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the Hwaong watershed, J. Korean Soc. Agric. Eng., 48(1), 91-102. 

  12. Jung, K. Y., Ahn, J. M., Kim, K. S., Lee, I. J., Yang, D. S., 2016,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grade classification of Geumho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JESI), 25(6), 767-787. 

  13. Jung, S. Y., Kim, I. K., 2017, Analysis of water quality factor and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hl-a in middle and downstream weir section of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KSEE), 39(2), 89-96. 

  14. Kim, G. H., Jung, K. Y., Yoon, J. S., Cheon, S. U., 2013,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J. Korean Soc. Hazard Mitig., 13(6), 429-437. 

  15. Kim, G. H., Jung, K. Y., Lee, I. J., Lee, K. L., Cheon, S. U., Im, T. H., Yoon, J. S., 2014, A Study on instream flow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J. Korean Soc. Water Environ., 30(1), 44-59. 

  16. Kim, H. C., Lee, S. B., Jung, K. W., Han, J. Y., 2004,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stream to the estuary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JKSWW), 62-71. 

  17. Kim, J. G., Lee, J. Y., 2001, Application of QUAL2E model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Keum River(I) Estimation of model input parameter and autochthonous BOD-,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0(2), 119-127. 

  18. Kim, K. A., Kim, Y. J., Song, M. J., Ji, K. W., Yu, P. J., Kim, C. W., 2007,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 Korean Soc. Water Qual., 23, 814-821. 

  19. Kim, K. M., Lee, I. R., Kim, J. T., 2008, Factor analysis of the trend of stream quality in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JKDIS), 19(4), 1201-1210. 

  20. Kim, M. S., Chung, Y. R., Suh, E. H., Song, W. S., 2002, Eutrophication of Nakdong River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lgae, 17(2), 105-115. 

  21. Kim, O. S.,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management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octoral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90-158. 

  22. Kim, S. M., Kim, S. M., Park, T. Y., 2010, Spatial analysis of BOD data in Namgang-Dam watershed for TMDLs, J. Korean Soc. Agric. Eng., 52(3), 81-88. 

  23. Lee, N. D., Kim, J. G., 2007,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using statistic analysis, Jou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6(3), 369-376. 

  24. Lee, S. H., 2015, A Study on mass balance analysi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weir segments,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36-37. 

  25. Min, Y. H., Hyun, D. Y., Eum, C. H., Chung, N. H., Kang, S. W., Lee, S. H., 2011, A Study on relationship of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urbidity and pH with temperature in water and soil,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JAST), 24(5), 378-386. 

  26. NRERC, 2009, '08 management report of target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Nakdong River basin,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142-163. 

  27. Park, J. H., Moon, M. J., Lee, H. J., Kim, K. S., 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in Sumjin River basin. J. Korean Soc. Water Environ., 30(2), 119-127. 

  28. Park, T. Y., Kim, S. J., Kim, S. M., Kim, S. M., 2010,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J. Agric. Life Sci., 44(5), 117-127. 

  29. Ramteke, P. W., Bhattacharjee, J. W., Pathak, S. P., Kaira, N., 1992, Evaluation of coliform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in India. J. Appl. Bacteriol., 72, 352-356. 

  30. Seo, Y. J., Kwak, S. H., Lee, K. S., Lyu, S. W., 2016, Multi-variate analysis for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t lower reach of Geumho River confluence in Nakdong River, 2016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nnual Meeting, Jeju, 304-305. 

  31. Yu, J. J., Shin, S. H., Yoon, Y. S., Kang, D. K., 2012, Water quality prediction and forecast of pollution source in Namgang mid-watershed each reduction scenario,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43-55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