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조석현상에 따른 국지기상 변화가 수도권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Local Meteorology caused by Tidal Change in the West Sea on Ozone Distrib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3, 2019년, pp.341 - 356  

김성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유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안혜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강윤희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정주희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local meteorology caused by tidal changes in the West Sea on ozone distrib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ere analyzed using a meteorological model (WRF) and an air quality (CMAQ)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day (1200-1800 LST) between Aug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00054%)등 다른 물질들은 전반적으로 실험별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토지피복에 따른 기상변화가 오존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갯벌에서 만조가 되거나 간조가 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기상학적인 변화와 이런 변화가 오존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갯벌 분포를 갖는 경기만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가 오존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질 모델에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에 의한 기상과 배출량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대상 지역의 오존 농도 변화에 대한 갯벌 내 배출량과 기상변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3개의 실험을 구성하였다. 각 실험은 (1) 만조와 간조 사이에 지표가 촉촉한 상태 (EXP-BASE), (2) 밀물이 가장 높은 해면까지 꽉 차게 들어와 지표가 물로 덮이는 만조(EXP-HIGH), (3) 바다에서 조수가 빠져나가 해수면이 가장 낮아진 지표가 마른 상태인 간조(EXP-LOW)로 설계하였으며, 실험별로 기상 자료, 토지피복 자료와 배출량 자료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를 고려한 CMAQ 모델링을 수행하여 조석 현상에 따른 국지 기상 변화가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갯벌의 토지피복도를 다르게 적용한(CWE, WBO, BSV) 세 실험을(EXP-BASE, EXP-HIGH, EXP-LOW) 수행하였고 오존농도가 높은 주간(1200 LST-1800 LST)의 평균분포와 만조와 간조에 의한 실험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 사례일 중에서도 오후시간에 만조가 나타난 8월 3-6일에 관측값과 모델값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서해 경기만의 조석 현상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가 기상과 오존농도 분포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고, 다음 절에서는 토지피복의 변화가 기상요소와 오존농도에 주는 영향과 관계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EXP-BASE의 통계검증에서 전반적으로 갯벌의 영향권에 있는 IZ구역의 정확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모의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갯벌의 조석현상에 따른 토지피복의 시간변화를 모델에서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 절에서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EXP-HIGH와 EXP-LOW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기상요소와 오존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의 지표 특성 변화는 대기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갯벌에서는 기조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현상인 조석현상이 일어나며, 이러한 조석현상에 의해 하루에 두 번씩 지표 특성이 변화한다. 이러한 갯벌의 지표 상태 변화는 지표의 물리적 성질(알베도, 토양 열용량, 거칠기 길이 등)의 변화를 초래하고(Lam et al., 2006), 이는 서해안지역에 인접해 있는 연안 지역의 기상변화를 유도한다(An et al., 2017). 이러한 기상변화는 대기 내 광화학적 반응의 변화를 가져와 수도권 오존농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Hanna, 1994; Mao et al., 2006; Dawson et al.
갯벌이란 무엇인가? 갯벌이란 조류로 운반되어 온 미세한 흙들이 파도가 잔잔한 해안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갯벌 면적은 2,487.
서해안 갯벌의 특징은 무엇인가? 서해안은 조차가 크고 넓은 대륙붕이 발달하여 연안에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다. 서해안 갯벌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과 반폐쇄성 해역으로 최대 조차가 약 10 m로 심하고, 수심이 50 m 이내로 얕으며 전체 갯벌면적의 약 83.8%인 2,084.5 km2가 분포되어 있다(Oh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H. Y., Kim, Y. K., Jeong, J. H., 2017, Impacts of land cover change of tidal flats on local meteorology in Gyeonggi Bay, West Sea of Korea, J. Korean Meteor. Soc., Atmos., 27(4), 399-409. 

  2. Banta, R. M., Senff, C. J., Alvarez, R. J., Langford, A. O., Parrish, D. D., Trainer, M. K., Darby, L. S., Hardesty, R. M., Lambeth, B., Neuman, J. A., Angevine, W. M., Nielsen-Gammon, J., Sandberg, S. P., White, A. B., 2011, Dependence of daily peak $O_3$ concentrations near Houston, Texas on environmental factors: Wind speed, temperature, and boundary-layer depth, Atmospheric Environment, 45(1), 162-173. 

  3. Choi, M. K., Cho, K. C., Kang, C. M., Yeo, H. G., Kim, H. K., 199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regions, J. Environ. Health Sci., 24(3), 114-123. 

  4. Community Modeling and Analysis System; CMAS, http://www.cmascenter.org/cmaq/ 

  5. Dawson, J. P., Adams, P. J., Pandis, S. N., 2007, Sensitivity of ozone to summertime climate in the eastern USA: A modeling case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41(7), 1494-1511. 

  6.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GIS, http://egis.me.go.kr/req/intro.do 

  7. Han, Z., Peng, F., 2012, Soil moisture quantitative study of the Nanhui tidal flat in the Yangtze river estuary by using ENVISAT ASAR data,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and Informatics (ICSAI2012), Yantai, 2188-2192. 

  8. Hanna, S. R., 1994,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 evaluation techniques with emphasis on needs of air quality models, Mesoscale Modeling of the Atmosphere, Amer. Meteor. Soc., 25, 47-58. 

  9. Jeon, W. B., Lee, H. W., Lee, S. H., Choi, H. J., Kim, D. H., Park, S. Y., Numerical study on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input data on air quality modeling on high ozone episode at coastal region, J. Environ. Sci. Int., 27(1), 30-40. 

  10. Jeong, Y. M., Lee, S. H., Lee, H. W., Jeon, W. B., 2012, Numerical ttudy on the process analysis of ozone production due to emissions reduc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Environ. Sci. Int., 21(3), 339-349. 

  11. Jung, J. A., 2016, A Numerical study using coupled model on cold water region and fog occurrence over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D. H., Kwon, B. H., Kim, P. G., 2010, $CO_2$ respiration characteristics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coastal ecosystem in Suncheon bay, J. Environ. Sci. Int., 19(2), 217-227. 

  13. Kang, D. H., Kwon, B. H., Yu, H. S., Kim, P. S., Kim, K. H., 2011,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CO_2$ fluxes between surface and atmosphere in foreshore, paddy field and woods sites, J. Environ. Sci. Int., 20(8), 963-975. 

  14. Kang, G. U., 2010, Chemical composition of respirable $PM_{2.5}$ and inhalable $PM_{10}$ in Iksan city during fall, 2004, 36(1), 61-71. 

  15. Kang, J. W., Moon, S. R., Park, S. J., 2004, Necessities of the simulation of tidal flats in hydrodynamic numerical model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24(3B), 259-265. 

  16. Kang, Y. H., Kim, Y. K., Oh, I. B., Hwang, M. K., Kang, J. E., 2008, Improvement of the air quality modeling using high-resolution land use in the greater Seoul a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557-558. 

  17. Kang, Y. H., Oh, I. B., Jeong, J. H., Bang, J. H., Kim, Y. K., Kim, S. T., Kim, E. H., Hong, J. H., Lee, D. G., 2016, Comparison of CMAQ ozone simulations with two chemical mechanisms (SAPRC99 and CB05)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J. Environ. Sci. Int., 25(1), 85-97. 

  18. Kim, D. S., 2007, Greenhouse gas ( $CH_4,\;CO_2,\;N_2O$ ) emissions from estuarine tidal and wetland and their characteristics, J. KOSAE, 2007.4, 225-241. 

  19. Kim, S. T., Lee, C. B., 2010, Estimating influence of local and neighborthood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s over the Kwang-Yang bay based on air quality simulations for a 2010 June Episode, J. KOSAE, 27(5), 504-522. 

  20. Kim, T. H., Kim, Y. K., Shon, Z. H., Jeong, J. H., 2016, Sensitivity analysis of ozone simulation according to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nudging, J. KOSAE, 32(4), 372-383. 

  21. Kim, T. W., Cho, Y. K., Dever, E. P., 2007, An Evaluation of the thermal properties and albedo of a macrotidal flat. J. Geophys. Res., 112, C12009. 

  22. Lam, J. S., Lau, A. K. H., Fung, J. C. H., 2006, Application of refined land-use categories for high resolution mesoscale atmospheric modeling, Bound.-Layer Meteor., 119, 263-288. 

  23. Lee, H. W., Won, H. Y., Choi, H. J., Kim, H. G., 2005, Numerical simulation of effects of atmospheric flow fields using surface observational data on dispersion fields of air pollutants in Gwangyang bay,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2), 169-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J. B., Kim, Y. H., 2004, Sensitivity analysis of ozone concentration calculated by CMAQ model according to emission change, J. KOSAE, 247-249. 

  25. Lee, Y. H., Ahn, K. D., Lee, Y. H., 2016, Parametrization of the tidal effect for use in the Noah land-surface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Bound.-Layer Meteor., 161, 561-574. 

  26. Mao, Q., Gautney, L. L., Cook, T. M., Jacobs, M. E., Smith, S. M., Kelsoe, J. J., 2006, Numerical experiment on MM5-CMAQ sensitivity to various PBL schemes, Atmospheric Environment, 40(17), 3092-3110. 

  2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https://www.mof.go.kr/ statPortal/bbs/report/view.do?ntt_id155) 

  2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Studies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quality modeling, NIER-SP2013-210, 280pp. 

  29. Oh, Y. J., Lee, H. O., Lee, H. J., Shin, M. K., Choi, S. I., Lee, C. D., Kim, J. W., Kim, Y. H., 2012, A Study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evaluation of tidal flat sediments in Incheon, Incheon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http://ecopia.incheon.go.kr/board/784/1815677). 

  30. Park, S. E., Moon, W. M., Kim, D. J., 2009, Estimation of surface roughness parameter in intertidal mudflat using airborne polarimetric SAR data,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47(4), 1022-1031. 

  31. Pielke, R. A., Uliasz, M., 1998, Use of meteorological models as input to regional and mesoscale air quality models-limitations and strengths, Atmospheric Environment, 32, 1455-1466. 

  32. Pirovano, G., Coll, I., Bedogni, M., Alessandrini, S., Costa, M. P., Gabusi, V., Lasry, F., Menut, L., Vautard, R., 2007, On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input on photochemical modelling of a severe episode over a coastal area, Atmos. Environ., 41, 6445-6464. 

  33. Seaman, N. L., 2000, Meteorological modeling for air-quality assess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34(12-14), 2231-2259. 

  34. Stockwell, W. R., Middleton, P., Chang, J. S., Tang, X., 1990, The second generation regional acid deposition model chemical mechanism for regional air quality modeling, J. Geophys. Res., 95, 16343-16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